$\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의미분석을 활용한 성격검사문항의 의미표상과 요인구조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Factor Structure and Semantic Representation of Personality Test Items Using Latent Semantic Analysis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30 no.3, 2019년, pp.133 - 156  

박성준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  박희영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김청택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검자가 검사 문항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검사문항의 의미표상을 탐구하였다. 잠재의미분석을 활용하여 성격검사문항과 성격요인의 의미표상 간 유사도를 나타내는 의미유사도 행렬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존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연구에서 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제한된 맥락에서 성격의 5요인을 각각 묘사하는 지문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차원의 축소하여 의미공간을 구성하였다. 연구 1에서는 간편형 한국어 BFI의 요인부하량 행렬과, 예비 연구에서 구성한 의미공간에서 생성한 의미유사도 행렬을 비교하여, 두 행렬이 높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 2에서는 의미유사도를 기반으로 성격검사문항을 생성하고, 수검자의 반응을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도출하여 두 행렬이 유사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격검사에 대한 수검자의 반응 없이 검사문항의 의미표상을 분석하여 구성타당도를 추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성격검사의 요인구조를 검사문항과 성격요인의 의미표상 간 유사도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검사 개발에 실용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how personality test items are understood by participants, their semantic representations were explored by Latent Semantic Analysis, In this thesis, Semantic Similarity Matrix was proposed, which contains cosine similarity of semantic representations between test items and personalit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색적 요인분석이란? 성격검사 개발 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통적인 기법은 탐색적 요인분석이다(Fabrigar, Wegener, MacCallum, & Strahan, 1999). 이는 각 문항과 대응되는 리커트(likert) 척도에 대한 수검자의 응답을 기반으로 문항 간의 공변관계에 내재한 공통요인과 특이요인을 분석한다(Tucker & MacCallum, 1997).
수검자의 인지과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Watson(1913)은 심리학을 자극과 반응 간의 관계 탐구라고 정의하였다. Tourangeau, Rips와 Rasinski(2000)는 검사문항에 응답하는 수검자의 인지과정은 이해(comprehension), 인출(retrieval), 판단(judgement), 응답(response)의 4단계로 구성됨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성격검사 문항과 그에 대응하는 수감자의 응답과 연결할 수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어떠한 것을 기반으로 문항 간의 공통요인과 특이요인을 분석하는가? 성격검사 개발 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통적인 기법은 탐색적 요인분석이다(Fabrigar, Wegener, MacCallum, & Strahan, 1999). 이는 각 문항과 대응되는 리커트(likert) 척도에 대한 수검자의 응답을 기반으로 문항 간의 공변관계에 내재한 공통요인과 특이요인을 분석한다(Tucker & MacCallum, 1997). 즉, 문항 간 수검자 응답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소수의 잠재요인과 문항 간의 관계를 요인구조를 통해서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승식 (2002).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정보 검색.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2. 김지현, 김복환, 하문선 (2011). 간편형 한국어 BFI(Big Five Inventory) 타당화 연구. 인간이해, 32, 47-65. 

  3. 민경환 (2002). 성격심리학. 서울: 법문사. 

  4. 박홍석, 이정미 (2016). 정적 정서 부적 정서 척도(PANAS)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4), 617-641. 

  5. 이태헌 (2003). ELSA를 이용한 주제별 문서분류 및 다의어 의미 해소.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6. 김청택, 이태헌 (2002). 뇌와 인지 모형: 잠재의미 분석을 사용한 문서분류. 한국심리학회: 인지 및 생물, 14, 309-319. 

  7. 이태헌, 김청택 (2004). LSA 모형에서 다의어 의미의 표상. 인지과학, 15, 1-53. 

  8.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9. 지혜성, 조준희, 임희석 (2010). 한국어 문장 표절 유형을 고려한 유사 문장 판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6), 79-89. 

  10. Barrick, M. R., & Mount, M. K. (1991).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44(1), 1-26. 

  11. Cattell, R. B. (1943).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Basic traits resolved into cluster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38, 476-506. 

  12. Costello, A. B., & Osborne, J. W.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0(7), 1-9. 

  13. Fabrigar, L. R., Wegener, D. T., MacCallum, R. C., & Strahan, E. J. (1999).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4(3), 272. 

  14. Galton, E. (1884). Measurement of character. Fortnightly Review, 36, 179-185 

  15. Goldberg, L. R. (1990).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6), 1216-1229. 

  16. Gong, Y., & Liu, X. (2001). Generic text summarization using relevance measure and latent semantic analysis. In Proceedings of the 24th annual International ACM SIGIR Conference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19-25. 

  17. Graesser, A. C., Singer, M., & Trabasso, T. (1994). Constructing inferences during narrative text comprehension. Psychological Review, 101(3), 371-395. 

  18. Hill, F., Reichart, R., & Korhonen, A. (2015). Simlex-999: evaluating semantic models with (genuine) similarity estimation. Computational Linguistics, 41(4), 665-695. 

  19. Hofstee, W. K., Kiers, H. A., De Raad, B., Goldberg, L. R., Ostendorf, F. (1997). A comparison of big-five structures of personality traits in Dutch, English, and Germa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1(1), 15-31. 

  20. John, O. P., & Srivastava, S. (1999). The big 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2(1999), 102-138. 

  21. Kaiser, H. F. (1960).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uters to factor analysi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1), 141-151. 

  22. Kwantes, P. J., Derbentseva, N., Lam, Q., Vartanian, O., & Marmurek, H. H. (2016). Assessing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ith latent semantic analysi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2, 229-233. 

  23. Tucker, L. R., & MacCallum, R. C. (1997).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npublished manuscript,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24. Landauer, T. K., Laham, D., Rehder, B., & Schreiner, M. E. (1997). How well can passage meaning be derived without using word order? A comparison of latent semantic analysis and humans. In Proceedings of the 19th Annual Meeting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412-417. 

  25. Landauer, T. K., & Dumais, S. T. (1997). A solution to Plato's problem: The latent semantic analysis theory of acquisition, induction, and representation of knowledge. Psychological Review, 104(2), 211. 

  26. Le, Q., & Mikolov, T. (2014).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sentences and documents. In Proceedings of the 3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ICML), 1188-1196. 

  27. Finkelstein, L., Gabrilovich, E., Matias, Y., Rivlin, E., Solan, Z., Wolfman, G., & Ruppin, E. (2002). Placing search in context: The concept revisited.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Systems, 20(1), 116-131. 

  28. McCrae, R. R., & Costa, E T. (1985). Comparison of EPI and psychoticism scales with measures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6, 587-597. 

  29. McCrae, R. R., & Costa, P. T. (1987).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81-90. 

  30. McCrae, R. R., & Costa, P. T. (1989). The structure of interpersonal traits: Wiggins's circumplex and the five-factor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4), 586-595. 

  31. Nakov, P., Popova, A., & Mateev, P. (2001). Weight functions impact on LSA performance. EuroConference RANLP, 187-193. 

  32. Nigg, J. T., John, O. P., Blaskey, L. G., Huang-Pollock, C. L., Willicut, E. G., Hinshaw, S. P., & Pennington, B. (2002). Big five dimensions and ADHD symptoms: Link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linical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2), 451-469. 

  33. Noftle, E. E., & Robins, R. W. (2007). Personality predictors of academic outcomes: Big five correlates of GPA and SAT sco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3(1), 116-130. 

  34. Norman, W. T. (1967). 2800 personality trait descriptors: Normative operating characteristics for a university population. Ann Arbor: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Michigan. 

  35. Ozer, D. J., & Benet-Martinez, V. (2006). Personality and the prediction of consequential outcom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7, 401-421. 

  36. Saucier, G. (2002). Orthogonal markers for orthogonal factors: The case of the big fiv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6, 1-31. 

  37. Thurstone, L. L. (1934). The vectors of mind. Psychological Review, 41, 1-32. 

  38. Tourangeau, R., Rips, L. C., & Rasinski, K. (2000). The psychology of survey respon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063-1070. 

  40. Watson, J. B. (1913). Psychology as the behaviorist views it. Psychological Review, 20(2), 158-177. 

  41. Wild, F. (2014). lsa: Latent Semantic Analysis: R package version 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