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팽창 캡슐을 적용한 발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최적 공정 조건 및 발포 특성
Optimal Process Condition and Blowing of Thermoplastic Polyester Film using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31 no.3, 2019년, pp.187 - 194  

박아람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박정현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이승걸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owing film was prepared using polyester elastomer with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 to investigate the optimum blowing properties and the film making process.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specific gravity, blowing efficiency, foaming shap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polyester film w...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발포제로 사용하여 경량 발포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공정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여 발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압출기의 공정 조건에 따라 시편을 제작하여, 비중, 발포 효율, 발포 셀 형성, 인장강도, 신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여 발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여 경량 발포 필름 제조를 위한 최적 공정 조건을 확립하였다. 제조 공정 조건에 따라 발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작한 후, 비중, 발포효율, 발포 셀 형상, 인장강도, 신율 등 발포 특성 분석하고 낮은 비중과 높은 발포 효율 그리고 적절한 기계적 성질을 보여주는 필름의 제조 공정 조건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무엇인가? 우수한 유연성과 성형 가공성을 동시에 발현하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는 자동차, 가전제품, 의료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1,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는 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Hard Segment와 비결정성의 Soft Segment가 결합한 다중 블록 공중합체로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한 유용한 엘라스토머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장점은 어떤 분야에서 활용되는가? 따라서 자동차용으로 경량성을 위해 자체 구성요소 또는 좌석 시트에 적용되며, 의류용으로는 편안함을 추구하는 패션 경향에 따라 신축성이 중요한 아웃도어 제 품에 활용되고, 건축용으로는 우수한 방수성을 기반으로 건물의 내장재로 사용되고 있다3).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경량화로 에너지 절약, 원자재 및 생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여 친환경소재로 산업계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4).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에 의한 발포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은 상온에서는 일단 파우더 형상이나, 열을 흡수하여 특정 분해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마이크로캡슐의 코어에 위치한 탄화수소가 팽창하여 발포 셀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10) .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에 의한 발포는 일반적인 화학 발포제(Chemical Blowing Agent, CBA)와 달리 가스가 표면으로 나오지 않아 가공 시 외관 특성이 기존 발포공정보다 우수 하며, 낮은 점도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사용하더라도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통해 발포 셀을 유지할 수 있어 발포 셀의 붕괴 및 융합 현상이 작아 여러 제품에 열팽창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하고 있다 11-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 U. Ha, S. K. Jeoung, P. C. Lee, Y. J. Hwang, B. K. Nam, I. S. Han, S. B. Kwak, and J. Y. Lee, Phys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oam Blended with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s, Polymer(Korea), 39(1), 64(2014). 

  2. Korea Textile Development Institute, "R&D Trends in 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extopia, Daegu, pp.3-19, 2012. 

  3. Y. Lee, J. Jeong, and J. Park, A Trend of R&D in Enviromental Thermoplastic Elastomer, Elastomers and Composites, 45(4), 245(2010). 

  4. J. E. Sabahy, G. Castellan, F. Ricoul, and V. Jousseaume, Porous SiOCHThin FilmsObtained by Foaming,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120(17), 9184(2016). 

  5. A. H. Landrock, "Handbook of Plastic Foams", Noyes, New Jersey, 1995. 

  6. C. X. Chen, Q. Q. Liu, X. Xin, Y. X. Guan, and S. J. Yao, Pore Formation of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Scaffolds with Melting Point Reduction in Supercritical $CO_2$ Foaming, The Journal of Supercritical Fluids, 117, 279(2016). 

  7. D. Weaire and S. Hutzler, "The Physics of Foam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1. 

  8. D. S. Morehouse and R. J. Tetreault, U.S. Pat., 3,615,972(1971). 

  9. M. Jonsson, O. Nordin, A. L. Kron, and E. Malmstrom, Influence of Crosslink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Expanding at High Temperature,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18(2), 1219(2010). 

  10. M. Jonsson, O. Nordin, E. Malmstrom, and C. Hammer,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Thermally Expandable Core/shell Particles, Polymer, 47(10), 3315(2006). 

  11. Y. Kawaguchi, Y. Itamura, K. Onimura, and T. Oishi, Effects of the Chemical Structure on the Heat Resistance of Thermoplastic Expandable Microsphere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96(4), 1306(2005). 

  12. Y. Kawaguchi and T. Oishi, Synthesis and Properties of Thermoplastic Expandable Microspheres: The Relation between Crosslinking Density and Expandable Property,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93(2), 505(2004). 

  13. M. Tomalino and G. Bianchini, Heat-expandable Microspheres for Car Protection Production,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32(1-4), 17(1997). 

  14. H. F. Mark, N. M. Bikales, C. G. Overberger, G. Menges, and J. I. Kroschwitz,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Wiley, New Jersey,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