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산(茶山)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교육주체들의 관계 고찰 - 효(孝)·제(弟)·자(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Subjects in Dasan's 『Dàxuégōngyì』 - piety(孝), admiration(弟), mercy(慈) - 원문보기

한국교육논총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40 no.2, 2019년, pp.17 - 33  

조문숙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여 그가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궁극적인 실천윤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 주자는 훈고(訓詁)에서 『대학(大學)』을 대인(大人)의 학문이라 풀이하여 어린이의 학문과 대소(大小)로 대조를 이루어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배워야 하는 학문으로 그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에 반해 다산은 『대학』을 가리켜 경문(經文)에서 말한 '태학의 도[太學之道]'는 태자를 가르치는 도이지, 분명 백성을 가르치는 도가 아니며, 이를 '태학의 도'라 말할 수는 있지만 '향학의 도[鄕學之道]'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하여 『대학』을 나라의 태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소로써 해석한다. 또한 『대학』에서는 유학의 이념으로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至於善)의 삼강령(三綱領)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산은 『대학』의 실천윤리는 효·제·자(孝·弟·慈)이며 효·제·자야 말로 명덕(明德)이라고 풀이한다. 또한 효·제·자를 가리켜 백성을 효도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아들된 사람은 그 부모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공경으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동생 된 사람은 그 형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어린 사람은 그 웃어른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자애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어버이 된 사람이 그 자식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웃어른 된 사람이 그 어린 사람에게 친하게 한다. 그러므로 태학의 도는 친민(親民)에 있다고 하여, 주자의 신민(新民)을 부정하고, 효·제·자를 친민(親民)의 실천윤리로 제시한다. 다산은 임금이 이러한 효·제·자를 실천하면 백성에게까지 그 가르침이 미치어 백성들에게 또한 효·제·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효·제·자라는 대학의 실천윤리가 단지 나라의 태자에게만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 아닌 백성들에게도 필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효·제·자(孝·弟·慈)는 인륜(人倫)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렇듯 다산이 유학의 실천윤리로 제시한 효·제·자(孝·弟·慈)에는 『대학』에서의 교육적 내용과 교육적 관계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제·자(孝·弟·慈)가 인륜이라고 할 경우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적 관계들은 구체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가정 안에서부터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효·제·자(孝·弟·慈)에 내포되어있는 교육적 관계들의 주체와 객체를 구체화 시키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다산이 『대학공의』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구체적인 실천윤리를 더욱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을 통하여 다산이 풀이한 『대학공의』를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ethics of practice that Dasan Jung Yak-yong(1762-1836) argued at the book, "Dàxuégōngyì大學公議, The Public debate of Great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agents of education. "Dàxuégōn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산의 『대학공의』를 주요텍스트로 하며 다산의 여러 저서를 부차적인 사료로 삼아 유학의 실천윤리로써의 제시한 효·제·자(孝·弟·慈)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안에 형성되어있는 교육적 내용과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다산은 『대학공의』에서 실천윤리로 효·제·자를 제시하며 그것의 교육을 주장했으며, 효·제·자안에는 임금과 백성을 모두 아우르는 교육적 내용과 덕목, 관계를 포함하고 이것의 실천으로써 가정을 평안하게 하며 나아가 나라의 평안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또한 효경에서는 ‘작은 효는 부모 곁에 맴돌며 부모의 시중을 드는 것이고, 큰 효는 세계를 무대로 큰일을 해서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해 드리는 데 있다하여 ≪시경(詩經)≫의 대아편(大雅篇)에서의 조상의 위대한 업적과 가르침을 잊지 말고, 늘 조상에게 부끄럽지 않은 훌륭한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라 했다.
  •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

가설 설정

  • 효·제(孝·弟)와 마찬가지로 자(慈) 또한 가정에서, 가문에서, 학교에서, 그리고 나아가 국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실천윤리가 된다. 가문에서는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교육을 행하여 가르치고, 학교에서는 스승이 제자에게 교육을 가르쳐 사랑으로 대하며, 나아가 국가에서는 임금이 백성에게 교육을 가르치고 사랑을 베푸는 실천윤리의 관계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산의 『대학공의』는 어디서 지어졌는가?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2) 다산은 여러 문헌들을 인용하여 자신의 논리의 정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는데, 그의 의도는 『대학공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학공의』는 어떻게 평가받는가?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2) 다산은 여러 문헌들을 인용하여 자신의 논리의 정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는데, 그의 의도는 『대학공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산이 『대학』을 태자만이 배울 수 있는 곳으로 정의한 이유는? 다산이 이처럼 『대학』을 태자만이 배울 수 있는 곳으로 제한한 이유는 당시의 시대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왕권을 견제하고 세도를 장악하려는 사대부들이 횡행하는 정치상황에서 정치개혁의 주도권을 가져야 할 왕권을 수호하려했던 다산으로서는 사대부를 견제하고 왕권강화를 주장5)하기 위해 교육에서부터 차별성을 두었던 것이다. 그러나 과연 다산이 풀이한『대학』을 한 나라의 태자만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인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大學公議 

  2. 大學講義 

  3. 大學章句 

  4. 茶山詩文集 

  5. 孝經 

  6. 孟子 

  7. 금장태(2004). 도와덕:다산과 오규 소라이의 >. > 해석. 파주: 이끌리오. 

  8. 박완식(1993). 대학.대학혹문.대학강어. 서울: 이론과 실천. 

  9. 박완식(2010). 다산대학. 전북: 전주대학교 출판부. 

  10. 백민정(2007). 丁若鏞철학에서 '孝弟'관념이 갖는 公的의미. 한국 실학연구 23. 

  11. 백민정(2009). 正祖와 茶山의 대학에 관한 철학적 입장 비교. 퇴계학보 126권. 

  12. 신지연(2007). 茶山의 다산에 대한 觀點과 解釋. 한문고전연구 15. 

  13. 신창호(2001). 대학의 교육론 산책. 인천: 내일을 여는 책. 

  14. 신창호(2007). 大學章句 序에 담긴 敎育의 體系 探究. 동양철학연구 제49집. 

  15. 신창호(2010). 대학. 유교의 지도자 교육철학. 파주: 교육과학사. 

  16. 신창호(2011). 백호 윤휴의 대학해석. 퇴계학 논총 제18집. 

  17. 이성춘(1993). 茶山 丁若鏞의 天命思想과 人論. 범한 철학회 8. 

  18. 이성춘(1996). 茶山 經書解釋과 天觀. 한국 종교사학회 4. 

  19. 이을호(1974). 정다산의 대학공의. 서울: 명문당. 

  20. 임옥균(2010).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동양철학연구 제61집. 

  21. 임옥균(2012). 주자학과 일본고학파.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2. 임재윤(1994). 茶山 經學思想의 敎育目的論的 理解. 한국 교육사학 제16집. 

  23. 임헌규(2008). 朱子와 茶山의 대학에 관한 관점 비교(1):대학과 그 편제. 한국사상과문화45. 

  24. 임헌규(2009). 朱子의 大學 관에 대한 茶山의 비판(2). 퇴계학과 유교문화. 

  25. 오병문(2008). 대학공의를 통해 본 다산 정약용의 교육개혁사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지준호(2003). 大學公議를 통해 본 茶山 丁若鏞의 大學 觀. 한국철학논집, 한국철학사연구회, 12권. 

  27. 한재훈(2012). 朱子의 '新民' 해석과 '道統論'의 함수관계. 한국 공자학회 12.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