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목의 관점에서 본 링크드 데이터: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Linked Data in Library Cataloging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3, 2019년, pp.71 - 95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로의 이행(移行)이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체질 개선과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강화를 위해 링크드 데이터에 어떻게 접근하여 전략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편목의 관점에서 링크드 데이터 모델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2) 링크드 데이터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성과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미(歐美) 도서관계의 내밀한 경험과 노력을 추적해 가면서 (3) 향후 링크드 데이터 모델로의 체제 전환을 위해 우리가 검토하고 준비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처럼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우리 도서관계에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웹 환경에서 도서관이 상생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high interest in linked data, there are various attempts to accommodate the linked data model in cataloging process.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how to adopt and make the best use of linked data based bibliographic framework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brary catalogs and to enhance l...

주제어

참고문헌 (38)

  1. Noh, Young-Hee. 2012. "A Study on Configuring dCollection as the Linked Dat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247-271. 

  2. Park, Ok Nam. 2012.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Linked Data from Authority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5-25. 

  3. Park, Ok Nam and Jung Sun Oh. 2014. "Deployment of BIBFRAME as a New Bibliographic Framework in Linked Data." Jo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235-263. 

  4. Park, Ziyoung. 2012. "Extend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Linked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1): 231-251. 

  5. Park, Ziyoung. 2016. "Linking Bibliographic Data and Public Library Service Data Using Bibliographic Frame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1): 293-316. 

  6. Lee, Mihwa. 2017.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Constructing BIBFRAME by Analyzing BIBFRAME 2.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107-127. 

  7. Lee, Mihwa. 2018. "Analyzing BIBFRAME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BIBFRAME Application Pla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59-78. 

  8. Lee, Mihwa. 2019. "Considerations for BIBFRAME Acceptance of Expression and Representative Expression Attributes in LRM." Jo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2): 33-50. 

  9. Lee, Sung-Sook and Ji Won Lee. 2018. "Study on Conversion between MARC 21 and BIBFRAME 2.0."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9(3): 73-93. 

  10. 이현주. 2015.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서지 LOD 구축 사례. 디지틀 도서관, 77: 21-35. 

  11. 현민환. 2014. 도서관 데이터 공유개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Linked Data)의 활용. 2014 KSLA bulletin, 6: 34-41. 

  12. Alemu, Getaneh, Brett Stevens, Penny Ross and Jane Chandler. 2012. "Linked data for libraries: benefits of a conceptual shift from library-specific record structures to RDF-based data models." New Library World, 113(11/12): 549-570. 

  13. Coyle, Karen. 2013. "Library Linked data: an evolution." Italian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 53-61. 

  14. Deliot, Corine, et. al. 2016. "The British National Bibliography: who uses our linked data?" SWIB 2016(2016. 11. 30). http://swib.org/swib16/slides/deliot_british_library.pdf 

  15. Godby, Carol Jean and Karen Smith­Yoshimura. 2017. "From records to things: managing the transition from legacy library metadata to linked data." Bulletin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43(2): 18-23. 

  16. Godby, Carol Jean.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BIBFRAME and OCLC's Linked-Data Model of Bibliographic Description: A Working Paper. https://www.oclc.org/content/dam/research/publications/library/2013/2013-05.pdf 

  17. Gonzales, Brighid M. 2014. "Linking libraries to the web: linked data and the future of the bibliographic record."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Dec. 2014. 

  18. Jin, Qiang, Jim Hahn and Gretchen Croll. 2016. "BIBFRAME Transformation for Enhanced Discovery." Library Resources and Technical Services, 60(4). https://journals.ala.org/index.php/lrts/article/view/6134/7929 

  19. Halla, Michelle L. 2013. "Linked Data in Libraries: Library of Congress Bibliographic Framework Transition Initiative." Library Philosophy and Practice, 1015. 

  20. LC. 2008. On the record: Report of The Library of Congress Working Group on the Future of Bibliographic Control. [cited 2018. 11. 12] 

  21. Li. 2015. Implementing BIBFRAME: the UC Davis BIBFLOW project. [cited 2018. 7. 22] 

  22. Library of Congress. 2019a. BIBFRAME Frequently Asked Questions. [cited 2019. 6. 15]. 

  23. Library of Congress. 2019b. Overview of the BIBFRAME 2.0 Model [cited 2019. 6. 15]. 

  24. OCLC. 2005. Perceptions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resource: : a report to the OCLC membership. Dublin, OH : OCLC. 

  25. OCLC. 2014. WorldCat Discovery API and Linked Data. [cited in 2018. 11. 12]. 

  26. OCLC. 2019a. OCLC Linked Data. [cited 2018. 11. 12]. 

  27. OCLC. 2019b. OCLC and lined data. [cited 2019. 6. 30]. 

  28. PCC Linked Data Advisory Committee. 2017. Linked Data Infrastructure Models: Areas of Focus for PCC Strategies. [cited 2019. 7. 3]. 

  29. Seeman, Dean and Lisa Goddard. 2015. "Preparing the way: creating future compatible cataloging data in a transitional environment." Catalo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3: 331-340. 

  30. Shieh, Jackie. 2016. "Embedded URI in MARC: an essential for linked data". Webminars #3: From MARC to BIBFRAMEL Linked Data on the Ground. [cited 2019. 6. 20]. 

  31. Smith, MacKenze, et. al. 2017. BIBFLOW: a roadmap for library linked data transition.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and Zepheira Inc. 

  32. Smith-Yoshimura, Karen. 2018. "Linked data implementation: who, what, why?" SWIB 2018 (Berlin, Germany. 2018. 11. 28) 

  33. Suominen, Osma. 2017. "From MARC silos to Linked Data silos?" Bd. 4 Nr. 2. [cited 2018. 11. 18] 

  34. Tennant, Roy. 2002. "MARC must die." Library Journal, 127(17): 26-28. 

  35. Tillet, Barbara. 2013 "RDA and the semantic web, linked data environment." Italian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 139-145. 

  36. Van Ballegooie, Marlene, Juliya Borie and Andrew Senior. 2017. "The Canadian Linked Data Initiative: Charting a Path to a Linked Data Future." The Serials Librarian, 72(1-4): 207-213. 

  37. Wang, Yongming and Sharon Q. Yang. 2018. "Linked data technologies and what libraries have accomplished so far." International Journal of Librarianship, 3(1): 3-20. 

  38. Wood, David 등. 오원석 등 공역. Linked Data: structured data on the web. 공존의 미학,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