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9 개정 RDA 특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Features of 2019 Revised RD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3, 2019년, pp.97 - 116  

이미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9년 RDA 개정에 따라 개정 RDA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록 측면에서 고려사항을 제안하고자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정 RDA 분석을 통해 목록분야에서 고려사항으로 다음 3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목록데이터를 시맨틱 웹 구축이 가능한 링크드데이터로 변환하려면 목록데이터 보완 및 어휘집 구축과 같은 고품질의 데이터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MARC 데이터를 링크드데이터로 완전하게 변환하기 전까지 MARC가 서지데이터의 유일한 인코딩 포맷이므로 개정 RDA에 반영된 LRM 및 링크드데이터의 새로운 개념을 MARC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이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정 RDA에 포함된 개체 및 요소별로 다양한 조건과 옵션이 있고, 자료유형에 따라서도 입력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일관된 기술을 위해서는 정책 문서와 이에 적합한 응용프로파일이 구체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MARC뿐만 아니라 BIBFRAME에서도 개정 RDA의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목록 규칙의 개정이 필요한 국가 및 도서관에서는 개정 RDA 규칙과 레지스트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RDA를 수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2019 revised RDA and suggest the consideration in aspects of cataloging using the literature reviews. The following 3 things are suggested with analyzing the revised RDA. First, high quality data such as supplementing cataloging data and constructing v...

주제어

참고문헌 (11)

  1. Baron, A. 2019. Authority Control and Creating Access Points. [cited 2019. 8. 5]. 

  2. Dunsire, G. 2018. LRM and RDA: overview of the 3R project. [cited 2019. 6. 1]. 

  3. Glennan, K. 2019a. The New RDA Toolkit: Everything Has Changed or Has It? [cited 2019. 3. 5]. 

  4. Glennan, K. 2019b. RDA 3R Project: Stabilization Phase. [cited 2019. 5. 5]. 

  5. Glennan, K. 2019c. Getting a Handle on the New RDA Toolkit. [cited 2019. 5. 10]. 

  6. IFLA Working Group on FRANAR. 2013. Functional Requirements for Authority Data. Amended and corrected. [cited 2019. 4. 15]. 

  7. James, K. 2019. Relationship elements. [cited 2019. 8. 7]. 

  8. Maxwell, R. L. 2019. New Concepts: Nomens and Appellations. [cited 2019. 7. 17]. 

  9. Riva, P., P. L. Boeuf, & M. Zumer. 2017. IFLA Library Reference Model. [cited 2018. 1. 10]. 

  10. RDA Steering Committee. 2017. Implementation of the LRM in RDA. [cited 2019. 7. 17]. 

  11. RDA Steering Committee. 2019. RDA Toolkit Beta Site. [cited 2019. 4. 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