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Inquiry of Features of Science Core School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4, 2019년, pp.525 - 534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  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  이성희 (서울강서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인 과학중점학교의 업무담당 교사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가 학생긍정경험에 주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의 정의적 태도, 즉 과학긍정경험 향상에서 과학중점학교의 효과성을 가져온 요인을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측면, 과학중점학교의 2015개정 교육과정 적용 측면 등에서 탐색하고, 일반학교에 파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학중점고의 경우 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열의로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대한 참여도 향상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중점반 이외의 학생들에게도 과학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높아진 실험실 접근성을 통해 학생들의 실험과 탐구 능력 및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며, 과학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협력 등의 역량을 신장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 체험을 토대로 진로 탐색 및 진로 찾기에서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중점고의 특성을 일반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과학 공부의 가치를 체험할 기회 제공, 선배들을 통해 이공계열 진로 체험의 기회 제공, 팀프로젝트 등을 통한 자기주도적 과학탐구의 기회 제공, 과학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변화 의지의 필요성, 일반고 학생과 교사를 위한 공동실험실 운영 및 실험조교 지원의 필요성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cience Core school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core schools.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led to th...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기A: 제일 좋은 건 개방형 탐구가 제일 좋더라. 각자 자료를 찾아서 주제를 정하고 원하는 실험을 해서 결론을 얻도록 한다. 대신 시간이 들어도 아이들이 자기 수준에 맞게 정리를 한다.
  •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일반 학교에 파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선도학교 중 과학중점학교를 대상으로 학생 긍정경험 신장과 관련된 과학중점학교의 질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Shin et al, 2017b; Shin et al, 2018)에 따르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수준이 지역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나므로, 전국을 4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 권역별로 심층면담에 참가할 교사 초점집단成G) 을 구성하였다 4개 권역별로 총 10명의 과학 중점학교 업무 담당 교사들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인 과학중점학교의 업무담당 교사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가 학생긍정 경험에 주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의 정의적 태도 즉 과학긍정경험 향상에서 과학중점학교의 효과성을 가져온 요인을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측면, 과학중점학교의 2015개정 교육과정 적용 측면 등에서 탐색하고, 일반학교에 파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학중점고의 경우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열의로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대한 참여도 향상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중점반 이외의 학생들에게도 과학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높아진 실험실 접근성을 통해 학생들의 실험과 탐구 능력 및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며, 과학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협력 등과 같은 핵심역량을 신장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 체험을 토대로 진로 탐색 및 진로 찾기에서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인 과학중점학교의 업무담당 교사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가 학생긍정 경험에 주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의 정의적 태도 즉 과학긍정경험 향상에서 과학중점학교의 효과성을 가져온 요인을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측면, 과학중점학교의 2015개정 교육과정 적용 측면 등에서 탐색하고, 일반학교에 파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학중점고의 경우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열의로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대한 참여도 향상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중점반 이외의 학생들에게도 과학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높아진 실험실 접근성을 통해 학생들의 실험과 탐구 능력 및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며, 과학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협력 등과 같은 핵심역량을 신장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 체험을 토대로 진로 탐색 및 진로 찾기에서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중점학교의 업무담당 교사들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특성을 탐색하고,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제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원인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일반 학교에 파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ncze, L., & Hodson, D. (1999). Changing practice by changing practice:Toward more authentic science and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5), 521-539. 

  2. Ha, M., Shin, S., Lee, J., Park, H., Chung, D., & Lim, J. (2014). The study of causal Model on Science Teachers' Adoption of "Science" focusing on the fus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235-246. 

  3. Jung, Y.-H., Shin, S., & Lee, J.-K. (2015). The qualitative case study on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f reflective practice.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2), 315-351. 

  4. Kim, H. & Na, J. (2018). A study on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fiel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5. Kim, H., Kwak, Y., Kang, H., Shin, Y., Lee, S., & Lee, S-Y.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component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3), 507-521. 

  6. Kim, J., Na, J., & Song, J. (2018).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565-574. 

  7. Kim, Y., Lee, H., & Park, K. (2005). The study of differences of class objects for science teacher and students recognize in middle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 45-56. 

  8. Ku, J., Cho, S., Lee, So., Park, H., & Ku, N. W. (2017).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An in-depth analysis of PISA 2015 results (Research Report RRE 2017-9). Seoul: KICE. 

  9. Kwak, Y., Son, J., Kim, M., & Ku, J. (2014).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21-330. 

  10. Lee, B. (2014). Analysis of factors that stress science teachers and analysis of stresses related to teaching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165-173. 

  11. Lee, K. Y., & Park, J. Y. (2014).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er as perceived by studen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eacher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7), 625-634. 

  12. Ministry of Education (2016a). General plans for science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2.). 

  13. Ministry of Education (2016b). Result announcement of PISA 2015.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 12. 6.). 

  14. Ministry of Education (2016c). Result announcement of TIMSS 2015.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 11. 29.). 

  15. Mun, J., & Shin, Y. (2018). The effect of science-centered STEAM program on science positive experience: Focused on the "Earth and Moon" uni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Jounal of Science Education, 42(2), 214-229. 

  16. Oh, H.-R., & Kim, H.-B. (2011). A study on the extra curricula sciencerelated hands-on experience programs implemented in science-focused high schools. School Science Journal, 5(2), 73-83. 

  17. Park, H. (2013). A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lessons with experim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79-86. 

  18. Pekrun, R., Goetz, T., Frenzel, A. C., Barchfeld, P., & Perry, R. P. (2011).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6(1), 36-48. 

  19. Ryu, K., & Kim, B. (2015). Qualitative case study on conflict aspect and causes that teachers experience: Focused o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First-grade teacher qualific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3), 483-512. 

  20. Shin, Y., Kang, H., Kwak, Y., Kim, H., Lee, S.-Y., & Lee, S. (2017a).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s. Biology Education, 45(1), 41-54. 

  21. Shin, Y., Kwak, Y., Kim, H., Lee, S.-Y., Lee, S., & Kang, H. (2017b).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2), 335-346. 

  22. Shin, Y., Kwak, Y., Kim, K., Noh, K., Park, C., Son, Y. ... Ji, J. (2016).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Integrated Science & Science Inquiry and Experiment. MOE.Daej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3. Sim, J., Shin, M., & Lee, S. (2010).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1), 140-156. 

  24. Son, Y., Yoon, S., Kim, E., Park, J., Yoo, H., Jo, S., & Kim, D. (2013).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high school convergence-type science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proper solutions. The Journal of the smeieccu, 34(2), 1-27. 

  25. Yu, E., Lee, S., Choi, J., & Kim, C. (2010).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by life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8), 97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