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연안-하구에 서식하는 어류의 식성 관련 연구 현황
A Literature Review of Fish Feeding Research in the Coast - Estuary Areas of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2 no.2, 2019년, pp.126 - 135  

조현빈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김동균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박기연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이완옥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곽인실 (전남대학교 환경해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 (1969~2018년) 우리나라 연안 - 하구에서 수행된 어류먹이원 분석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확인된 연구논문은 총 101편 이었으며, 이 중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81편, 보고서는 6편 그리고 국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14편이었다. 발표된 연구 논문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보면, 1990~1999년에 21편(19.4%; 2.1편${\pm}$3.0/년 [평균${\pm}$표준 편차]), 2000~2009년에 26편(24.1%; 2.6편${\pm}$2.3/년)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2018년에는 52편(48.1%; 5.8편${\pm}$2.3/년)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국내 연안-하구에서 어류먹이원 분석을 수행한 조사수역의 해역을 방위(남해, 남-동해, 동해, 서해)로 나누어보면, 남해에서 65편(69.1%)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뒤를 동해가 13편(13.8%), 서해와 남-동해에서 각각 8편씩(8.5%)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의 분포를 보면 광양만에서 18편(24.3%)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가덕도에서 8편(10.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출간된 논문의 방법론적 특성을 보면, 먹이원 중요도나 생태적 지위의 범위를 나타내주는 지표를 계산하는 방법은 총 14가지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지수는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와 Pi (Prey-specific abundance)였으며, E (electivity index)와 Bi (dietary breadth index)가 그 뒤를 이었다. 총 11가지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correlation analysis와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생태학적 연구 주제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 논문들은 계절적 또는 조사 지점별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2000년도 이후부터는 국제 학회지에 출판되기 시작한 논문들은 종간 경쟁(competition), 동소성(sympatric), 생태직위중첩(niche overlap) 등과 같은 세부적인 생태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 학회지에 출판된 논문들의 경우 다소 정형화된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으며 조사되지 않은 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향후 국내 학회지에 발표되는 연구논문에서도 종간 경쟁, 먹이망 구조 파악 등과 같은 생태학적 주제를 반증할 수 있는 연구 방향이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arried out a literature review of fish food sources research in the coast - estuary areas of Korean peninsula for the last fifty years(1969~2018). A total of 101 research papers were reviewed, of which 81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7 were puliched in domestic reports and 14 were publis...

주제어

참고문헌 (14)

  1. Barbier, E.B., S.D. Hacker, C. Kennedy, E.W. Koch, A.C. Stier and B.R. Silliman. 2011. The value of estu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 Ecology Monography 81(2): 169-193. 

  2. Carreon-Martinez, L. and D.D. Heath. 2010. Revolution in food web analysis and trophic ecology: diet analysis by DNA and stable isotope analysis. Molecular Ecology 19: 25-27. 

  3. Choi, B.H. and K.H. Shin. 2018.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Stable Isotope in Aquatic Ecology and Environmental Study.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1(1): 96-104. 

  4. Do, Y., E.J. Ko, Y.M. Kim, H.G. Kim, G.J. Joo, J.Y. Kim and H.W. Kim. 2015. Using text-mining metho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f freshwater exotic spec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3): 195-202. 

  5. Ha, S., W.K. Min, D.S. Kim and K.H. Shin. 2014. Trophic importance of meiofauna to polychaetes in a seagrass (Zostera marina) bed as traced by stable isotopes.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94(1): 121-127. 

  6. Jeong, S.J., M.S. Yoon, C.R. Lee, J.K. Ahn, H.S. Noh and J.B. Jeong. 2014. Assessing the ecological function of Doksal in Taeanhae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5: 68-75. 

  7. Jeppesen, E., J.P. Jensen, M. Sondergaard, T. Lauridsen, L.J. Pedersen and L. Jensen. 1997. Top-down control in freshwater lakes: the role of nutrient state, submerged macrophytes and water depth. In Shallow Lakes' 95 (pp. 151-164). Springer, Dordrecht. 

  8. Jo, H., J.A. Gim, K.S. Jeong, H.S. Kim and G.J. Joo. 2014. Application of DNA barcoding for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carnivorous fish diets: Is number of prey items dependent on size class for Micropterus salmoides?. Ecology and Evolution 4(2): 219-229. 

  9. Jo, H., E. Jeppesen, M. Ventura, T. Buchaca, J.S. Gim, J.D. Yoon and G.J. Joo. 2018. Responses of fish assemblage structure to large-scale weir construction in riverine ecosystem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57(20): 1334-1342. 

  10. Jo, H., J.D. Yoon, J.H. Kim, K.S. Jeong, Y. Do and G.J. Joo. 2016. Diet shifts and delayed piscivory specialization during the ontogenesis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Lacepede, 1802) in the Nakdong River and Upo Wetlands, South Korea. Indian Journal of Fisheries 63(4): 48-54. 

  11. Kang, S., B. Choi, Y. Han and K.H. Shin. 2016. Ecological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in the intertidal mud flat of Yeongheung Island; application of stable isotope analysis (SI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9: 80-88. 

  12. Kwak, S.N., S.H. Huh and D.W. Klumpp. 2004. Partitioning of food resources among Sillago japonica, Ditremma temmincki, Tridentiger trigonocephalus, Hippocampus japonicus and Petroscirtes brevicep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71: 353-364. 

  13. Park, J.M., H.S. Huh, J.M. Jeong and G.W. Baeck. 2014. Diet composition and feeding strategy of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Jordan, 1902),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Applied Ichthyology 30(1): 151-155. 

  14. Pauly, D., V. Christensen, S. Guenette, T.J. Pitcher, U.R. Sumaila, C.J. Walters, R. Watson and D. Zeller. 2002. Towards sustainability in world fisheries. Nature 418: 6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