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보령 연안 연안개량안강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by Coastal Stow Net Catch from the Coastal Waters Off Boryeong,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3 no.5, 2020년, pp.761 - 772  

최동혁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윤병일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맹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이승종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tudy about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in the coastal water off Boryeong were investigate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9. A total of 10,863 individuals of 87 species of 44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Liparis tanakai accounted for 19.8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보령 연안에서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의 어류군집 특성을 통해 서해 연안의 산란장과 성육장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수온 상승과 더불어 서해 연안의 개발로 인해 수산자원의 변화 따른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보령 연안의 산란장과 성육장의 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령 연안의 지리적 특성은? 서해 중부에 위치하는 보령 연안은 북으로 안면도, 효자도, 원산도 등의 섬들로 둘러싸인 반 폐쇄성 내만인 천수만과 남으로 금강하구와 같은 다양한 수리환경이 존재하고, 주변에 대천천 하구, 삽시도, 장고도, 고대도, 불모도, 용도와 같은 크고 작은 여러 섬과 천수만 남쪽 입구의 좁고 깊은 협수로가 존재해 매우 복잡한 해저지형을 형성한다(Choo and Yoon, 2017). 보령연안의 얕은 수심과 복잡한 해저지형은 큰 조차와 빠른 조류가 특징적이며(KHOA, 2015), 동해역은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성육에 적합한 천수만, 패류나 갑각류 서식에 적합한 간석지, 풍부한 유기물을 운반하는 금강과 대천천, 방조제 등의 존재로 어업 및 수산자원이 다양하다(NIFS, 2000).
동해역의 특징은? 서해 중부에 위치하는 보령 연안은 북으로 안면도, 효자도, 원산도 등의 섬들로 둘러싸인 반 폐쇄성 내만인 천수만과 남으로 금강하구와 같은 다양한 수리환경이 존재하고, 주변에 대천천 하구, 삽시도, 장고도, 고대도, 불모도, 용도와 같은 크고 작은 여러 섬과 천수만 남쪽 입구의 좁고 깊은 협수로가 존재해 매우 복잡한 해저지형을 형성한다(Choo and Yoon, 2017). 보령연안의 얕은 수심과 복잡한 해저지형은 큰 조차와 빠른 조류가 특징적이며(KHOA, 2015), 동해역은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성육에 적합한 천수만, 패류나 갑각류 서식에 적합한 간석지, 풍부한 유기물을 운반하는 금강과 대천천, 방조제 등의 존재로 어업 및 수산자원이 다양하다(NIFS, 2000). 하지만 90년대부터 시작된 대규모 간척사업 또는 해안매립공사로 인해 연안의 지형과 생태 등의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에까지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Koo, 1997).
멸치가 연안의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까닭은? 멸치는 서해 중·남부와 남해 전 연안, 동해 해역에서 연중 산란하며 주 산란기는 5-7월로 알려져있다(Kim, 1983; Kim, 1992). 또한 요각류를 포함하는 동물플랑크톤을 주로 섭취하면서 상위 포식자의 먹이 역할을 하고 있어, 연안의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Shelton et al., 1993; Kim et al., 2013). 제주 주변해역에서 월동을 하고 북상하여 남해와 서해로 이동하면서 산란을 한다(Kw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len LG. 1982.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 in upper Newport Bay, California. Fish Bull US 80, 769-790. 

  2. Cha BY, Im YJ, Jo HS and Kwon DH. 2013. A fish community caught by a stow net in the Water off Hwaseong City, the west sea, Korea. Kor J Ichthyol 25, 119-134. 

  3. Cha HK, Kwon HC, Lee SI, Yang JH, Chang DS and Chun YY. 2008.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 in the east sea of Korea. Kor J Ichthyol 20, 263-271. 

  4. Cha HK, Lee JB, Kang SK, Chang DS and Choi JH. 2009. Reproduction of th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Temminck et Schlegel in the coastal waters around Jeju Island, Korea: Maturation and spawning. J Kor Soc Fish Tech 45, 243-250. 

  5. Cha HK, Park KY, Lee SI, Park HW, Kwon HC and Choi SH. 2006. Maturity and spawning of brown sole, Pleuronectes herzensteini (Jordan et Snyder) in the east sea of Korea. Kor J Ichthyol 18, 363-367. https://doi.org/10.3796/KSFT.2009.45.4.243. 

  6. Choi DH. 2017.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anchoy Engraulis japonicus eggs and larvae in the Yellows Sea, Korea. M.S.Thesis, National University of Kunsan, Kunsan. Korea. 

  7. Choo HS and Yoon EC. 2017.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Boryeong off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2011-2012. J Kor Soc Mar Environ Saf 23, 497-512. 

  8.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Korea, 1-727. 

  9. Clarke KR and Gorley RN. 2001. Getting started with PRIMER v5: User Manual/Tutorial. Primer-E, Plymouth, U.K. 

  10. Huh SH. 1997. Feeding habit of snailfish, Liparis tanakai. Kor J Ichthyol 9, 71-78. 

  11. Hwang SD, Im YJ, Kim HK, Cha HK and Choi SH. 1998. Fishery resources off Yongkwang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stow net. J Kor Fish Soc 31, 727-738. 

  12. Jeong JM, Yoo JT, Kim HY, Lee SK, Go WJ and Kim YH. 2015a.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in the coastal waters of Jin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8, 783-788. https://doi.org/10.5657/KFAS.2015.0783. 

  13. Jeong JM, Yoo JT, Kim HY, Lee SK, Go WJ and Kim YH. 2015b. Species composition of bycatch fishes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in the coastal waters of Dolsan-do, Yeosu, Korea. Korea J Fish Aqut Sci 48, 805-809. https://doi.org/10.5657/KFAS.2015.0805. 

  14. KHOA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2015. Technical reports 2015. KHOA, Busan, Korea, 190-202. 

  15. Kim IS, Choi Y, Lee CH,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 Seoul, Korea, 1-615. 

  16. Kim JY. 1983. Distribution of anchovy eggs and larvae of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Bull Kor Fish Soc 16, 401-409. 

  17. Kim JY. 1992. Relationship between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 and larval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waters of Korea. Bull Kor Fish Soc 25, 495-500. 

  18. Kim MJ, Youn SH, Kim JY, and Oh CW. 2013. Feeding characteristics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Kor J Environ Biol 31, 275-287. https://doi.org/10.11626/KJEB.2013.31.4.275. 

  19. Statistics Korea. 2019. The fishery production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kosis.kr/on Feb 15, 2020 

  20. Kwak SN and Huh SH. 2003. Feeding habits of juvenile Liparis tanakai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n J Fish Sic 36, 372-377. https://doi.org/10.5657/kfas.2003.36.4.372. 

  21. Kwon DH, Hwang SD and Lim DH. 2012. Catch predictions for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larvae in the Yellow sea. Korean J Fish Aquat Sci 15, 345-352. https://doi.org/10.5657/FAS.2012.0345. 

  22. Lee CL and Park MH. 1992.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Sciaenidae(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Korea J Icthoyol 4, 29-53. 

  23. Lee JB, Lee JH, Shin YJ, Zhang CI and Cha HK. 2010. Seasonal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middle Yellow Sea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6, 126-138. https://doi.org/10.3796/KSFT.2010.46.2.126. 

  24. Lee SH, Chung SD, Yoo JT and Kin YH. 2017. Age and growth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t in the south-western water of Korea. Kor J Ichthyol 29, 69-74. 

  25. Lee SY. 2006.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egg of anchovy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Kunsan, Kunsan, Korea. 

  26. Lee TW and Hwang SW. 1995. The demersal fish of Asan Bay. IV.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from 1990 to 1993. Korean J Fish Aquat Sci Fish 28, 67-79. 

  27. Lee TW and Seok KJ. 1984. Seasonal fi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Kor J Oceanol Soc 19, 217-227. 

  28.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Korean J Fish Aquat Sci 29, 654-664. 

  29. Nakashima J. 1982. On the growth and age of three populations of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the western seas of Japan. Bull Seikai Reg Fish Res Lab 57, 47-57. 

  30. NFRDI (Nation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ue). 2005.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 shore water in Korea. Hangul Graphics, Busan, Korea. 

  31. Nikolsky GV. 1963. The ecology of fishes. Academin press, London, U.K., 1-352. 

  32. NIF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2000. Environmental quality in the coastal area of West Sea, Korea (May, 2000), Let. Oceanograp Fish Res Yellow Sea 3, 9-18. 

  33. Oh TY, Lee JB, Seo YI, Lee JH, Choi JH Kim YJ and Lee DW. 2012.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by the stow nets and the stow net on boat fisherie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J Kor Soc Fish Tech 48, 452-468. https://doi.org/10.3796/KSFT.2012.48.4.452. 

  34. Park J, Jeong GS, kim JN, Im YJ and Kin MJ. 2018.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caught by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s off Baekryoung-do, Korea. J Kor Soc Fish Ocean Technol 54, 306-314. https://doi.org/10.3796/KSFOT.2018.54.4.306. 

  35. Pianka ER. 1973. The structure of lizard communities. Ann Rev Ecol Syst 4, 53-74. 

  36. Shelton PA, MJ Armstrong and BA Roel. 1993. An over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daily egg production method i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nchovy in the southeast atlantic. Bull Mar Sci 53, 778-794. 

  37. Song MY, Sohn MH, Im YJ, Kim JB, Kim HY, Yeon IJ and Hwang HJ. 2008. Seasonal varia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bag-net catch from the coastal waters of Incheon, Korea. Korean J Fish Aquat Sic 41, 272-281. https://doi.org/10.5657/kfas.2008.41.4.272. 

  38. Song SH, Jeong JM, Lee SH and Kim DH. 2019.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by shrimp beam trawl between Sacheon Bay and coastal waters off Namhae, Korea. J Kor Soc Fish Ocean Technol 55, 217-232. https://doi.org/10.3796/KSFOT.2019.55.3.217. 

  39. Ustadi, Kim KY and Kim SM. 2005.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rotease inhibitor from glassfish Liparis tanakai eggs. J Agric Food Chem 53, 7667-7672. https://doi.org/10.1021/jf0482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