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을 활용한 컬러모듈 BIPV 건축 설계 최적화 방안 연구 - 서울 지역 실증 일사량 데이터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Color Module BIPV Architectural Design Using BIM - Based on the data of Seoul surveyed solar radiation -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9 no.3, 2019년, pp.19 - 29  

전현우 ((주)비아이엠에스) ,  윤혜경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  박서준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design technology lacks analysis function at the planning stage, an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reliability of BIPV design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designers. To design and consider various building integrated solar design alternativ...

주제어

표/그림 (2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IPV 건축 설계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일사량에 대한 데이터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연구의 일사량(90°) 예측방법과 BIPV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실측 일사량(90°)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를 통하여 BIPV 시스템 설계 및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BIPV시스템의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될 사항들에 대하여 연구의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건축외장재로서 실증 데이터를 활용한 컬러모듈의 에너지성능 분석 및 BIM 건축 설계기술을 적용한 사례연구로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설계자가 건축물의 계획 및 설계 과정에서 다양하게 컬러모듈의 선택이 가능하고 설계방법의 혼돈을 줄일 수 있도록  컬러모듈 태양전지의 특성 분석과 서울지역 실증 일사량 및 예측 일사량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유효성을 증명하고 음영분석과 발전성능을 건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BIM설계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국내의 학교 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BIPV 제품개발과 BIM기반 컬러모듈 BIPV의 설계 환경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부이다.
  • 본 연구는 학교 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BIPV 제품과 BIM기반 컬러모듈 BIPV 설계 환경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부로써, 연구와 관련하여 BIPV설계와 실증에 대한 협의가 완료된 서울지역 학교 시설을 대상으로 앞장에서 서술한 연구 내용을 적용하였다. Table 6의 적용 건물은 남서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주거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주변의 고층 아파트와 저층부의 식생에 의한 일조 영향을 분석하고 컬러 모듈 설치 위치 선정, 설치각도와 예측 일사량과 실측 일사량을 적용한 연간 발전량 효율 검토, 초기 설계 단계에서 컬러 모듈과 건물 디자인과의 연계성 검토, 외장재와 컬러 모듈의 조화성을 검토하였다.
  • 최대효율을 위한 시스템의 설치 위치 결정을 위해서는 국내 지역별 방위 및 경사각과 연중 누적 일사량에 의한 상대적 발전성능 비교 데이터의 수립을 통해 효율적인 발전성능 데이터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실측 일사량 데이터와 예측일사량의 데이터, 경사각 90도에 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설계통합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설계자가 건축물의 계획 및 설계 과정에서 다양하게 컬러모듈의 선택이 가능하고 설계방법의 혼돈을 줄일 수 있도록  컬러모듈 태양전지의 특성 분석과 서울지역 실증 일사량 및 예측 일사량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유효성을 증명하고 음영분석과 발전성능을 건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BIM설계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건축물에 심미성을 발현할 수 있는 컬러모듈 태양전지 적용성 및 지역별 태양광 예측발전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초기설계단계에서 BIPV 시스템의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외부 주변 환경 분석과  설치 면적에 의한  각 설치각도와 설치 방향별로 발전성능을 해석하고, 이에 따른 설계의 적정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BIPV을 적용하기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BIPV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기획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주변 환경, 성능, 법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며, 현재 BIPV 산업의 활성화와 사용자의 수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건축 설계 단계부터 건축 설계자를 통해 BIPV이 반영되어야한다. 그러나 BIPV 설계기술은 기획단계에서 분석기능이 부족하고, 설계자의 BIPV에 대한 설계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BIPV 설계 중 계획설계 단계란 무엇인가?? 계획설계 단계는 기획설계의 계획방향과 규모검토를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개괄적인 계획과 주요재료의 결정, 태양전지 종류 결정, 건축성능 확인, 건물 디자인 확인, 대안별 디자인 검토 등의 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2015) ASHRAE Guideline 14, Section 5.3.3.3.10. 

  2. Eiffert, P. (2003). Guidelines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Power Systems, NREL, TP-550-31977. 

  3. Jeon, H. W., Choi, K. H., Ahn, J. H., Park, S. J. (2018). A BIM-based design support model for BIPV installation elevation design, KIEAE Journal, Vol. 17, No. 6, Dec. 2017, pp. 177-186. 

  4. Jeon, H. W., Choi, K. H., Lee, S. J., Park, S. J. (2018). Development of BIM based BIPV Architectural Design Environment, KIEAE Journal, Vol. 18, No. 1, Feb. 2018, pp. 71-82. 

  5. Kim, S. K., Do, S. Y., Lee, Y. J. (2018). Comparison and Verification of Total Solar Irradiance on Inclined Surface of BIPV Panel According to Global Horizontal Solar Irradiance Prediction Method, KIEAE Journal, Vol. 18, No. 1, Feb. 2018, pp. 25-30.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ather data open portal, https://data.kma.go.kr 

  7. Lee, S. J., Lee, J. C. (2018). BIPV System Design to Enhance Electric Power Generation by Building up a Demonstration Mock-up and Analyzing Statist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6, pp. 587-599. 

  8. Lee, S. J., Lee, J. C. (2018). SysML-Based System Modeling for Design of BIPV Electric Power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10, pp. 578-589. 

  9. Lee, S. Y., Lee, A. Y. (2017). A Study on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Design Process based on th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Archit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33, No. 4, pp. 49-57. 

  10. Liu, B. Y. H., Jordan, R. C. (1960). The Inter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Direct, Diffuse and Total Solar Radiation, Solar Energy, Vol. 4, No. 3, pp. 1-19.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Roadmap for Construction Productivity Innovation and Safety Reinforcementa, pp. 16. 

  12. Paul, D., Mandal, S. N., Mukherjee, D., Bhadra Chaudhuri, S. R. (2010). Optimization of significant insolation distribution parameters- A new approach towards BIPV system design," Renewable Energy, Vol. 35, pp. 2182-2191. 

  13. Sandia Lab. PV performance modeling collaborative, https://pvpmc.sandia.gov 

  14. Scolari, E., Sossan, F., Paolone. M. (2018) Photovoltaic-Model-Based Solar Irradiance Estimators: Permance Comparison and Application to Maximum Power Forecasting, IEEE Transaction on Sustainable Energy, Vol. 9, No. 1, pp. 35-44. 

  15. Sim, J. S., Song, D. S. (2016). Applicability of the Solar irradiance Model in Preparation of Typical Weather Data Considering Domestic Climate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8, No. 12, pp. 467-476. 

  16. Yang, H. S., Park, H. S., Yoon, H. K.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Generation Efficiencies of the Photovoltaic Systems and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s, Jour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11), pp. 37-44. 

  17. Zhang Q., Joe H., Lang, S. (2002). Development of Typical Year Weather Data for Chinese Locations, ASHRAE Transactions, Vol. 108, pp. 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