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예후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Node2Vec 기반의 유전자 발현량 이미지 표현기법
A Node2Vec-Based Gene Expression Image Representation Method for Effectively Predicting Cancer Prognosis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8 no.10, 2019년, pp.397 - 402  

최종환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박상현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암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계획을 제공하기 위해 암의 진행양상 또는 환자의 생존 기간 등에 해당하는 환자의 예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생물정보학 분야에서 다루는 중요한 도전 과제 중 하나이다. 많은 연구에서 암 환자의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기계학습 모델들이 많이 제안되어 오고 있다.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는 약 17,000개의 유전자에 대한 수치값을 갖는 고차원의 수치형 자료이기에, 기존의 연구들은 특징 선택 또는 차원 축소 전략을 이용하여 예측 모델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특징 선택과 예측 모델의 훈련이 분리되어 있어서, 기계학습 모델은 선별된 유전자들이 생물학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예후 예측이 효과적으로 특징 선택 및 예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자들 사이의 생물학적 상호작용 관계를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에 통합하기 위해 Node2Vec을 활용하였으며, 2차원 이미지로 표현된 발현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은 이중 교차검증을 통해 평가되었고,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는 기계학습모델보다 우월한 예후 예측 정확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Node2Vec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량의 새로운 이미지 표현법은 특징 선택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이 없어 예측 모델의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접근법이 개인 맞춤형 의학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tely predicting cancer prognosis to provide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ies for patients is one of the critical challenges in bioinformatics. Many researches have suggested machine learning models to predict patients' outcomes based on their gene expression data. Gene expression data is hig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의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고차원의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표현기법 및 적합한 심층학습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표현 및 예측 전략은 7개의 암종(신장 암, 자궁경부암, 뇌종양, 간암, 폐암, 난소암, 췌장암)에 대하여 기존의 기계학습 모델보다 향상된 예후 예측 정확도를 보여 주어, 제안 모델이 유전체 정보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치료전략을 실현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기대한다.
  •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징 추출과 모델 훈련이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두 가지 심층학습 모델을 이용한 예후 예측 기법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크게 2단계로, 먼저 Node2Vec[10] 및 PP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고, 다음으로 합성곱 신경망 모델(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발현량 이미지 기반의 예후 예측을 진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ode2Vec은 무엇인가? Node2Vec은 자연어처리에서 활용되는 Word2Vec 모델 중 하나인 skip-gram 모델을 그래프 데이터에 적용하여 정점에 대한 분산 표현을 구하는 심층학습 모델이다[10]. Node2Vec은 무작위행보(random walk) 알고리즘을 통해 그래프에서 얻은 경로(path)를 문장(sentence)으로, 경로 위의 정점들을 단어(word)로 인식하여 그래프 구조 정보가 반영된 정점들의 분산 표현을 계산한다.
사람은 몇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가?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는 단백질 정보를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자(protein-coding gene)의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형 자료(numerical data)이다. 사람은 2만여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암 예후에 관련된 기계학습 모델들은 암 환자의 유전자 발현량 벡터를 입력받아 환자의 예후가 좋은지 나쁜지를 예측한다[2]. 그러나, 기계학습 모델이 큰 훈련 집합(training set)을 요구하는 반면에 유전자 발현량에 있는 환자의 수는 극히 한정적이고, 또 특징 개수가 2만여 개나 있어서 기계학습의 성능을 충분히 활용하기가 어렵다[5].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유전자의 수를 줄이는 접근법이 널리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사람은 2만여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암 예후에 관련된 기계학습 모델들은 암 환자의 유전자 발현량 벡터를 입력받아 환자의 예후가 좋은지 나쁜지를 예측한다[2]. 그러나, 기계학습 모델이 큰 훈련 집합(training set)을 요구하는 반면에 유전자 발현량에 있는 환자의 수는 극히 한정적이고, 또 특징 개수가 2만여 개나 있어서 기계학습의 성능을 충분히 활용하기가 어렵다[5]. 이를 위해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특징 선택(feature selection) 또는 차원 축소 기법(dimensional reduction)들을 적용하여 유전자의 수를 줄이는 접근법이 널리 사용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W. Min, B. G. Lee, and S. R. Yoon, "Deep learning in bioinformatics," Briefings in Bioinformatics, Vol.18, No.5, pp.851-869, 2017. 

  2. K. Kourou, T. P. Exarchos, K. P. Exarchos, M. V. Karamouzis, and D. I. Fotiadis,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in cancer prognosis and prediction," Computational and Structural Biotechnology Journal, Vol.13, pp.8-17, 2015.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Korea, "National Cancer Statistics in 2016." 2018. 

  4. C. Sotiriou, P. Wirapati, S. Loi, A. Harris, S. Fox, J. Smeds, H. Nordgren, P. Farmer, V. Praz, B. Haibe-Kains, C. Desmedt, D. Larsimont, F. Cardoso, H. Peterse, D. Nuyten, M. Buyse, M. J. Van de Vijver, J. Bergh, M. Piccart, and M. Delorenzi,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breast cancer: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asis of histologic grade to improve prognosi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Vol.98, No.4, pp.262-272, 2006. 

  5. R. Clarke, H. W. Ressom, A. Wang, J. Xuan, M. C. Liu, E. A. Gehan, and Y. Wang, "The properties of high-dimensional data spaces: implications for exploring gene and protein expression data," Nature Reviews Cancer, Vol.8, No.1, pp.37, 2008. 

  6. L. Wang, Y. Wang, and Q. Chang, ""Feature selection methods for big data bioinformatics: A survey from the search perspective," Methods, Vol.111, pp.21-31, 2016. 

  7. J. Choi, S. Park, Y. Yoon, and J. Ahn, "Improved prediction of breast cancer outcome by identifying heterogeneous biomarkers," Bioinformatics, Vol.33, No.22, pp.3619-3626, 2017. 

  8. E. Martinez-Ledesma, R. G. W. Verhaak, and V. Trevino, "Identification of a multi-cancer gene expression biomarker for cancer clinical outcomes using a network-based algorithm," Scientific Reports, Vol.5, pp.11966, 2015. 

  9. J. Choi, I. Oh, S. Seo, and J. Ahn, "G2Vec: Distributed gene representations for identification of cancer prognostic genes," Scientific Reports, Vol.8, No.1, pp.13729, 2018. 

  10. A. Grover, and J. Leskovec, "Node2vec: Scalable feature learning for networks," Proceedings of the 22nd ACM SIGKD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ACM, 2016. 

  11. S. Varma, and R. Simon, "Bias in error estimation when using cross-validation for model selection," BMC Bioinformatics, Vol.7, No.1, pp.91, 2006. 

  12. J. Bergstra, and Y. Bengio, "Random search for hyper-parameter optimiz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13(Feb.), pp.281-305, 2012. 

  13. T. Dozat, "Incorporating nesterov momentum into adam," 2016. 

  14. K. Tomczak, P. Czerwinska, and M. Wiznerowicz,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an immeasurable source of knowledge," Contemporary Oncology, Vol.19, No.1A, pp.A68, 2015. 

  15. A. Colaprico, T. C. Silva, C. Olsen, L. Garofano, C. Cava, D. Garolini, T. S. Sabedot, T. M. Malta, S. M. Pagnotta, I. Castiglioni, M. Ceccarelli, G. Bontempi, and H. Noushmehr, "TCGAbiolinks: an R/Bioconductor package for integrative analysis of TCGA data," Nucleic Acids Research, Vol.44, No.8, pp.e71-e71, 2015. 

  16. F. Danielsson, T. James, D. Gomez-Cabrero, and M. Huss, "Assessing the consistency of public human tissue RNA-seq data sets," Briefings in Bioinformatics, Vol.16, No.6, pp.941-949, 2015. 

  17. D. Szklarczyk, A. L. Gable, D. Lyon, A. Junge, S. Wyder, J. Huerta-Cepas, M. Simonovic, N. T. Doncheva, J. H. Morris, P. Bork, L. J. Jensen, and C. Mering, "STRING v11: protein-protein association networks with increased coverage, supporting functional discovery in genome-wide experimental datasets," Nucleic Acids Research, Vol.47, No.D1, pp.D607-D613, 2018. 

  18. J. Qiu, Y. Dong, H. Ma, J. Li, and K. Wang, "Network embedding as matrix factorization: Unifying deepwalk, line, pte, and node2vec," Proceedings of the Eleven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Search and Data Mining, ACM,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