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진단기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fabricating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for skeletal class II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7 no.4, 2019년, pp.364 - 373  

이연이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홍성진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백장현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노관태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권긍록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급 악간관계를 갖는 환자는 1급 악간관계인 환자와는 달리 불안정한 교합을 가질 수 있으며, 무치악인 경우 총의치를 사용할 때 불안정한 교합을 보이면서 의치의 움직임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함으로써 의치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 치에서 attachment 종류는 크게 bar type과 solitary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 적응증이 있어 상황에 따라 적용을 달리 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2급 악간관계를 가진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계획함에 있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더 적합한 attachment를 선택하고 임플란트의 위치 및 깊이를 미리 계획하여 계획한 위치에 식립하였다. 상악은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하악은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class I patients, skeletal class II patients have unstable occlusion thus leading to instability of mandibular complete denture. Therefore,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has been the standard of care due to its advantages in stability and retention. The types of attachments can be divid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다만 하악 무치악 부위는 총의치 만으로는 의치의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없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계획 하였고 공간 분석, 임플란트 식립 위치 및 적절한 attachment 선택을 위해 디지털 진단기술을 이용하였다. 상악은 잔존 자연치아를 지대치로 한 국소의치 하악은 CM LOC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치주적, 보철적 유지관리를 정기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litary type의 장점은? Bar type의 경우 충분한 수직고경이 확보되어야 하고 bar 하방의 연조직 관리가 어려우며,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고, 기공과 정이 복잡하고 수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식립된 임플란트가 평행하지 않더라도 의치에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olitary type의 경우 임플란 트의 식립이 평행한 것이 유리하지만 경제적이며 수술과 보철과 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attachment를 위한 공간이 작아도 사용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6-8 이에 진단을 통한 적절한 attachment의선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급 악간관계 환자들의 특징은? 2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환자는 1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환자 와는 다른 교합양식을 가지는데 대표적인 특징은 수평, 수직 피개에 의해 정상적으로 형성되는 전방, 측방 유도에 의한 보호교 합양식이 부족하고 구치부가 대부분의 교합력을 받는다는 것이다. 하악의 크기에 따라 정상교합에 비해 치아가 1 - 2개 후방으로 교합될 수 있고 중심교합 시 교두-와의 관계나 치아 대 치아의 관계가 아니라 상악 설측교두의 사면과 하악 협측교두의 사면끼리 접촉하여 전체적인 교합을 형성한다.
2급 악간관계를 갖는 환자들이 의치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은? 2급 악간관계를 갖는 환자는 1급 악간관계인 환자와는 달리 불안정한 교합을 가질 수 있으며, 무치악인 경우 총의치를 사용할 때 불안정한 교합을 보이면서 의치의 움직임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함으로써 의치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 치에서 attachment 종류는 크게 bar type과 solitary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 적응증이 있어 상황에 따라 적용을 달리 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ensen WO. Occlusion for the Class II jaw relations patient. J Prosthet Dent 1990;64:432-4. 

  2. Schuyler CH. An evaluation of incisal guidance and its influence in restorative dentistry. J Prosthet Dent 1959;9:374-8. 

  3. Doundoulakis JH, Eckert SE, Lindquist CC, Jeffcoat MK. The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as an alternative to the complete mandibular denture. J Am Dent Assoc 2003;134:1455-8. 

  4. Sadowsky SJ. Mandibular implant-retained overdentures: a literature review. J Prosthet Dent 2001;86:468-73. 

  5. Batenburg RH, Meijer HJ, Raghoebar GM, Vissink A. Treatment concept for mandibular overdentures supported by endosseous implants: a literature review.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539-45. 

  6. Preiskel HW. Precision attachments in prosthodontics: the application of intracoronal and extracoronal attachments. Quintessence Pub Co., 1984. p. 102-38. 

  7. Preiskel HW. Overdentures made easy: A guide to implantand root-supported prostheses. Quintessence Pub Co., 1996. p. 81-104. 

  8. Cakarer S, Can T, Yaltirik M, Keskin 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ball, bar and Locator attachments fo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1;16:e953-9. 

  9. Toolson LB, Smith DE. Clinic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vertical dimension. J Prosthet Dent 1982;47:236-41. 

  10. Klemetti E. Is there a certain number of implants needed to retain an overdenture? J Oral Rehabil 2008;35:80-4. 

  11. Hong HR, Pae A, Kim Y, Paek J, Kim HS, Kwon KR. Effect of implant position, angulation, and attachment height on peri-implant bone stress associated with mandibular twoimplant overdentures: a finite element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2;27:e69-76. 

  12. Oda K, Kanazawa M, Takeshita S, Minakuchi S. Influence of implant number on the movement of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J Prosthet Dent 2017;117:38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