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아 마모로 인한 수직고경감소와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and deep bite due to tooth wear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7 no.4, 2019년, pp.405 - 415  

채현석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전보슬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이정진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안승근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서재민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교합면에 비가역적 손상을 야기하고, 심미 및 적절한 전방유도를 위한 전치의 구조를 파괴하여 전치부 교합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치부 과개교합은 그 자체가 병적인 교합 상태는 아니나, 하악 전치의 절단연과 상악 전치의 설면 간에 안정된 교합 접촉이 결여된 경우 연조직 외상, 대합치 정출, 치아 마모, 교합 외상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치료의 가장 큰 목표는 중심위에서 안정된 교합 접촉을 형성해 주는 것이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구치부 치아 상실 및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인해 수직고경의 감소와 전치부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수복공간 확보 및 전치부 교합관계와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다. 중심위에서 모든 치아의 균등한 접촉, 기능운동과 조화를 이루는 전방유도, 법랑질 범위를 벗어난 마모면의 회복을 통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cessive tooth wear can cause irreversible damage to the occlusal surface and can alter the anterior occlusal relationship by destroying the structure of the anterior teeth needed for esthetics and proper anterior guidance. The anterior deep bite is not a morbid occlusion by itself, but it may ca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에서는 구치부 지지 상실 및 과도한 치아 마모로 인해 수직고경의 감소와 전치부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수복공간 을 확보하고, 전치부 교합관계와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보철 수복을 시행하였다. 중심위에서 모든 치아의 균등한 접촉, 기능운동과 조화를 이루는 전방유도, 법랑질 범위를 벗어난 마모면의 회복을 통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치부의 과개교합을 진단할시 중점적으로 파악해야하는 부분은 어디인가? 3 하악이 최대교두감합위 또는 중심교합위에 있을 때 상,하악 절치 절단 간의 수직 거리가 정상보다 과도한 경우를 과개교합이라고 하는데, 3-5 전치부의 과개교합은 그 자체가 문제되는 것은 아니며, 안정된 교합 접촉이 없을 경우에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1  따라서 과개교합의 진단 시 중심위에서 하악 전치의 절단연이 상악 전치의 설면에 안정된 접촉을 이루는 가를 관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치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치는 저작, 발음, 심미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하악의 편심운동 시 하악을 유도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교합면에 비가역적 손상을 일으켜 심미 및 적절한 전방 유도를 위해 필요한 전치의 구조를 파괴할 수 있다.
치아의 과도한 마모가 구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교합면에 비가역적 손상을 야기하고, 심미 및 적절한 전방유도를 위한 전치의 구조를 파괴하여 전치부 교합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치부 과개교합은 그 자체가 병적인 교합 상태는 아니나, 하악 전치의 절단연과 상악 전치의 설면 간에 안정된 교합 접촉이 결여된 경우 연조직 외상, 대합치 정출, 치아 마모, 교합 외상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St. Louis; Mosby Elsevier; 2007. p. 430-66. 

  2. Akerly WB. Prosthodontic treatment of traumatic overlap of the anterior teeth. J Prosthet Dent 1977;38:26-34. 

  3. The council of professors of dental universities. Textbook of orthodontics. 3rd ed.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2006. p. 109, 177-83. 

  4. The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Ninth edition. J Prosthet Dent 2017;117:e1-e105. 

  5.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7th ed. St. Louis; Mosby Elsevier; 2008. p. 56-61. 

  6. Beddis HP, Durey K, Alhilou A, Chan MF. The restorative management of the deep overbite. Br Dent J 2014;217:509-15. 

  7. Ramfjord SP, Ash MM Jr. Significance of occlusion in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early, moderate, and advanced periodontitis. J Periodontol 1981;52:511-7. 

  8. Gwon GR. The prosthetic approach for collap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J Korea Acad Stomatognathic 2004;20:170-81. 

  9. Park JH, Jeong CM, Jeon YC, Lim JS.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41-51. 

  10.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11. Pleasure MA. Correct vertical dimension and freeway space. J Am Dent Assoc 1951;43:160-3. 

  12. Yang WS, Kim TW, Baek SH. Current orthodontic diagnosis.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2007. p. 447. 

  13. Rodriguez-Cardenas YA, Arriola-Guillen LE, Flores-Mir C. Bjork-Jarabak cephalometric analysis on CBCT synthesized cephalograms with different dentofacial sagittal skeletal patterns. Dental Press J Orthod 2014;19:46-53. 

  14.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15. Orthlieb JD, Laurent M, Laplanche O. Cephalometric estimation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J Oral Rehabil 2000;27:802-7. 

  16.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