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도내 유통 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 Products Circula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5, 2019년, pp.421 - 430  

이강범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김남우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송낙수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이중호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정상미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신명희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최선실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지희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  성시열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충남에서 유통되는 과일류에 대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유통 과일류 150건을 실험대상으로 식품공전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으로 분석이 가능한 195종의 잔류농약을 실험하였다. 150건의 과일 시료 중 63건에서 40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률은 42.0%였다. 각 과일의 잔류농약 검출률은 감귤류(55.2%), 인과류(41.3%), 장과류(38.7%), 핵과류(36.0%) 순이였으며 표본이 작지만 열대과일에서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빈도가 높은 과일은 사과 21회, 감귤이 16회로 다른 과일에 비해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검출빈도가 가장 높은 농약은 bifenthrin(21회), pyraclostrobin(17회), novaluron(13회)로 나타났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74.6%의 시료에서 2종 이상의 동시에 검출되었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63건의 과일 모두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잔류농약 검출률이 높고, 농약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195 pesticide residues in fruit samples (n=150) at local markets in Chungcheongnam-do Chungnam, Korea were monitored using a multi-residue method combined with GC-MS/MS and LCMS/MS. Among 150 fruit samples, 40 types of pesticides were detected in 63 samples and the detection rate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우리나라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촌진흥청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PLS제도를 전면 도입하여 실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충청남도에서 유통되는 과일류에 대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여 소비자의 과일 먹거리 안전성 확보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럽 (PLS)제도의 기준은 무엇인가?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국가에서 잔류농약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9). 미국의 경우, 무관용 원칙(Zero Tolerance System)에 따라 허용기준이 정해지지 않은 농약은 불검출로 적용하고 있고, 일본은 2006년, 유럽은 2008년부터 Positive List System(PLS)제도를 도입하여 잔류허용기준이 없는 농약에 대하여 0.01 ppm 아래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10). 우리나라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촌진흥청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PLS제도를 전면 도입하여 실행하고 있다.
과일의 섭취로 기대할 수 있는 유병률 감소폭은 얼마인가? 과일을 하루에 200 g씩 섭취하는 것으로 심장병 위험 16%, 뇌졸중 위험 18%, 심혈관질환 위험 13%, 암 위험 4%, 조기 사망위험은 15%가 감소한다고 보고되어 있다4). 이처럼 과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과일을 재배할 때 사용하는 농약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도 증가하고있다.
잔류농약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이처럼 과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과일을 재배할 때 사용하는 농약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도 증가하고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잔류농약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 87.6%가 잔류농약에 대한 불안과 우려를 표시했으며, 나이가 많고 학력이 높을수록 잔류 농약에 더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gricultural prospects 2017, Korea, 523-525 (2017). 

  2. Ismail, T., Sestili, P., Akhtar, S., Pomegranate peel and fruit extracts, a review of potential anti-inflammatory and anti-infective effects. J. Ethnopharmacol., 143(2), 397-405 (2012). 

  3. Key, T.J., Allen, N.E., Spencer, E.A., Travis, R.C., The effect of diet on risk of cancer. The Lancet., 360(9336), 861-868 (2002). 

  4. Vieira, A.R., Vingeliene, S., Chan, D.S.M., Aune, D., Abar, L., Rosenblatt, D.N., Greenwood, D.C., Norat, T., Fruits, vegetables, and bladder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ncer Med., 4(1), 136-146 (2015). 

  5. Woo, H.D., Lee, J.K., Han, G.D., Consumer awareness survey on safety management of pesticide residue. J. Food Sci. Ind., 43(2), 24-40 (2010). 

  6. Mostafalou, S., Abdollahi, M., Pesticides and human chronic diseases: evidences, mechanisms, and perspectives. Toxicol. Appl. Pharmcol., 268(2), 157-177 (2013). 

  7. Hu, R., Huang, X., Huang, J., Li, Y., Zhang, C., Yin, Y., Chen, Z., Jin, Y., Cai, J., Cui, F., Long- and short- term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 cohort study from china. PLoS one, 10(6), e0128766 (2015).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Pesticide Registration status, Korea, (2017). 

  9. Kim, H.Y., Lee, S.Y., Kim, C.G., Choi, E.J., Lee, E.J., Jo, N.K., Lee, J.M., Kim, Y.H., A survey on the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markets in Incheon area from 2010 to 2012. Korean J. Environ. Agric., 32(1), 61-69 (2013). 

  10. Jeon, Y.H., Hwang, J.I., Ahn, J.W., Kim, H.Y., Do, J.A., Oh, J.H., Hwang, I.G., Im, M.H., Lee, J.K., Lee, Y.D., Kim, J.E., Multiresidue analysi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unregistered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Korea for imported agri-food. Korean J. Environ. Agric., 31(3), 277-285 (2012).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fication (No. 2017-57) (2017).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alytical Manual for Pesticide Residues in Foods, 5th Ed., Korea (2017). 

  13. Chung, S.J., Kim, H.Y., Kim, J.H., Yeom, M.S., Cho, J.H., Lee, S.Y.,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in some fruits on the market in Incheo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32(2), 111-120 (2014). 

  14. Kang, N.S., Kim, S.C., Kang, Y.J., Kim, D.H., Jang, J.W., Won, S.R., Hyun, J.H., Kim, D.G., Jung, I.Y., Rhee, G.S., Shin, Y.M., Joung, D.Y., Kim, S.Y., Park, J.Y., Kwon, K.S., Ji, Y.A., Monitoring and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Pestic. Sci., 19(1), 32-40 (2015). 

  15. Park, K.A., Lee, J.S., Jung, S.Y., Jo, S.A., Kim, N.H., Kim, Y,H., Park, H.W., Ryu, H.J., Lee, J.M., Yu, I.S., Jung, K.,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peel, fruit and pulp of tropical, citrus, and pome fruits. Rep. S.I.H.E., 51, 71-82 (2015). 

  16. Ha, H.Y., Park, S.E., You, A.S., Gil, G.H., Park, J.E., Lee, I.Y., Park, K.Y., Ihm, Y.B., Survey of pesticide use in leaf and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Weed Turf. Sci., 5(4), 203-212 (2016). 

  17. Choi, S.J., Kim, E.J., Lee, J.I., Cho, I.S., Park, W.H., Hwang, I.S., Kim, M.S., Kim, G.H., Determination of post-harvest fungicide in citrus fruits using L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4), 409-415 (2013). 

  18. Lee, J.B., Jeong, M.H., Sung, H.J., Lee, H.K., Yang, J.S., Acute toxicity response caused by mixture or tank of several insecticides. Korean J. Pestic. Sci., 5(4), 57-61 (2001). 

  19. Musch, A., Toxicity of mixtures. Toxic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CRC Press, Boca Raton, 270-287 (1996). 

  20. Do, Y.S., Kim, J.B., Kang, S.H.,Kim, N.Y., Um, M.N., Park, Y.B., Oh, M.S., Yoon, M.H.,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collected in Gyeonggi-do, Korea from 2006 to 2010. Korean J. Pestic. Sci., 6(2), 85-97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