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sitive List System 도입에 따른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Tropical Fruits Depending on Implementation of Positive List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4, 2018년, pp.310 - 315  

강향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박용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도영숙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정진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이성봉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조상훈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이효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손지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이미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이병훈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박진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수원농수산물검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는 당해 농산물에 등록된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없으면 일률기준 0.01 mg/kg을 적용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에서 유통되는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PLS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국내 재배 열대과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내 유통되는 열대과일류 120건에 대해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에 따라 잔류농약 220종을 검사한 결과 바나나, 망고, 키위 3품목 7건에서 6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바나나에서 azoxystrobin와 chlorpyrifos, 망고에서 chlorfenapyr, 키위에서 chlorothalonil, iprodione, procymidone이 검출되었다. 그 중 국내산 망고에서 chlorfenapyr, 국내산 키위에서 chlorothalonil이 각각 1건씩 검출되었고 PLS 적용 결과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 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재배되는 열대과일류를 대상으로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a uniform limit of 0.01 mg/kg is applied if the agricultural product does not have a Maximum Residue Limit (MRL) for a pesticid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residual pesticide monitoring on tropical fruits distributed in Gyeonggi-do to invest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에서 유통되는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PLS 도입에 따른 PLS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국내 재배 열대과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산물의 잔류농약 기준은 어떻게 설정되는가? 국내 잔류농약허용기준은 이론적 일일최대섭취량(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TMDI)이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의 80%를 초과하지 않은 수준에서 설정하게 되어있다7). 농산물의 잔류농약 기준은 잔류허용기준이 있으면 그 기준을 적용하고, 잔류허용기준이 정해지지 않은 것은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Codex) 기준 및 유사농산물 기준을 적용한다. 하지만 유사농산물 기준 적용은 일일섭취허용량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6).
수입으로 유통되는 열대과일은 왜 잔류농약이 문제가 되는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열대과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수입으로 유통되는 열대과일은 운송 과정 중 병해충의 방제를 위해 농약을 사용하고, 창고저장상태로 이동되어 광분해 효과가 낮아 잔류농약에 대한 위해성이 문제가 된다5). 전 세계적으로 식품에 사용 가능한 농약은 550여종에 달하고, 나라마다 농약의 안전성 기준이 달라 550여종의 농약 모두가 수입 농산물에 잠재적인 위해요소로 작용한다6).
열대과일류 및 견과종실류에 PLS 기준을 우선 시행한 이유는? 5배 증가했다고 보고한 바 있다10). 열대과일류 및 견과종실류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이유는 해당 농산물의 대다수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안전하다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6). 또한 국내에서 재배되는 열대과일류도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똑같이 강화된 기준을 적용받기 때문에 국내 농가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i, S.T.: Can it be 'take control of a group by using another group's.' with domestic tropical fruit?, Newsfarm, Available from http://www.newsfar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942 

  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gricultural prospects 2017, Korea, 523-525 (2017). 

  3. Lee, C.K., Kwak, K.S., Kim, J.W., Son, J.Y., Yang, W.H.: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llow-up cropping season shift on growing period and temperature in different rice maturity types. Korean J. Crop. Sci., 56(3), 233-243 (2011). 

  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cent Trends and Implications of Tropical Fruit Supply and Demand, Korea, 8-12 (2016). 

  5. Cho Y.S., Kang J.B., Kim Y.H., Jung J.A., Huh J.W., Lee S.H., Lim Y.S., Bae H.J., Kang H.G., Lee J.H., Jung E.S., Lee B.H., Park Y.B., Lee J.B.: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imported fruits circulated in gyeonggido. Korean J. Pestic. Sci., 16(3), 195-201 (2012). 

  6. Kim H.J.: Changes in residual pesticide management system with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List System (PLS),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ture and Agriculture, Korea, 26-29 (2015).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inciples for the establishment criteria for foods, 3rd Ed., Korea (2017). 

  8. Jeon Y.H., Hwang J.I., Ahn J.W., Kim H.Y., Do J.A., Oh J.H., Hwang I.G., Im M.H., Lee J.K., Lee Y.D., Kim J.E.: Multiresidue analysi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unregistered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Korea for imported agrifood. Korean J. Environ. Agric., 31(3), 227-285 (2012).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fication (No. 2015-78). 

  10.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Available from http://www.naqs.go.kr 

  11. Ahn C.H., Kim Y.H., Eom H.S., Lee G.H., Ryu G.H.: A Study on crop group for pesticide efficacy and crop safety of minor crops. Korean J. Pestic. Sci., 18(4), 364-375 (2014).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fication (No. 2017-57).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alytical Manual for Pesticide Residues in Foods, 5th Ed., Korea (2017). 

  14.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uidelines on good laboratory practice in residue analysis (CAC/GL 40-1993, Rev.1- 2003)., Italy (2003). 

  15. Han D.H.: Airborne chlorpyrifos concentrations and RBC cholinesterase activity of workers in its formulation workplac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2(2), 91-99 (2012). 

  16. Park D.W., Kim A.G., Kim T.S., Yang Y.S., Kim G.G., Chang G.S., Ha D.R., Kim E.S., Cho B.S.: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Korean J. Pestic. Sci., 19(1), 22-31 (2015). 

  17. Hwang L.H., Cho T.H., Cho I.S., Eom J.H., Choe B.C., Park Y.H., Kim H.J., Kim J.H.: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in post-harvest treated import fruits during storage. J. Food Hyg. Saf., 25(3), 245-250 (2010). 

  18. Chin K.M., Wirz M., Laird D.: Sensitivity of Mycosphaerella fijiensis from banana to trifloxystrobin. Plant Dis., 85(1), 1264-1270 (2001). 

  19.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The 2015 european union report on pesticide residues in food, Italy, 19-20 (2017). 

  20. Kim H.J., Cho H.C., Lee J.H., Ku P.T., Na Y.R., Lee I.S., Kim K.A., Hwang I.Y., Kim C.H.: A study on the pesticide residues of circulating pepper powder in busan area(2010).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20(1), 62-66 (2010). 

  2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Mango imports and domestic production trends, Korea, 3-4 (2014). 

  22. Cho J.I., Cho J.Y., Park Y.S., Yang S.Y., Heo B.G.: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Bacillus sp. #72 against the pathogenic stem-end rot of kiwi fruit.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8(2), 241-246 (2007). 

  23.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2016 Annual report of th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Korea, 78 (2014). 

  24.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Korea (2016). Available from http://www.koreacp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