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표시 현황과 독성자료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Labeling Status and Toxicity Data of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5 no.5, 2019년, pp.443 - 456  

이지윤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지효 ((사)에코맘코리아) ,  문명희 ((사)에코맘코리아) ,  이기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지경희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Children are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through contact with children's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KC mark, certification number, and contained substances labeled on children's products through market research and collected the toxicological data on these substance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6576개 어린이용품에 표시된 KC 마크, 인증번호, 환경유해인자 표시 현황과 독성자료의 보유 현황을 조사하였다. 완구류, 문구/도서류, 놀이기구류에는 KC마크 또는 인증번호가 표기되어 있으며, 상세 재질 또는 개별 화학물질명이 기재된 빈도가 적었다.
  • 본 연구에서는 6576개 어린이용품을 대상으로 제품에 기재된 KC마크와 인증번호를 확인하고, 함유된 환경유해인자가 어떻게 표시되어 있는지, 제품별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재질 또는 물질은 무엇인지,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독성자료는 충분한지 살펴보았다(Fig.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환경보건정책 중, 어린이의 건강보호에 관한 것은? 화학물질이 함유된 어린이용품 사용이 증가되면서 어린이의 건강보호를 위한 환경보건정책이 다양하게 마련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어린이용품의 안전관리를 위해 규정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어린이제품안전특 별법」과 환경부의「환경보건법」등이 대표적이다. 3)
어린이용품 중 위해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대한 조치는? 대표적으로 위해가 높은 물질인 다이-n-옥틸 프탈레이트(di-n-octyl phthalate; DNOP), 다이-아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트라이뷰틸주석(tributyltin), 노닐페놀(nonylphenol)에대해서는 플라스틱, 목재, 잉크류의 어린이용품에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135종 환경유해인자가 어린이용품에 함유된 경우 건강 영향을 고려한 위해성 평가를 시행하고, 위해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판매 금지, 회수 등의 조치를 강구할 수있도록 하고 있다.
어린이가 성인보다 환경유해인자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이유는?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단위 체중 당 더 많은 물을 마시고, 더 많은 음식을 먹으며, 더 많은 공기를 호 흡하기 때문에, 1) 환경유해인자에 더 많이 노출될 수있다. 또한 성장기의 어린이는 환경오염물질에 노출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성인에 비해 신진대사 속도가 빨라 1-2) 어린이는 성인과 차별화된 환경보건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hild-Specific Exposure Factors Handbook. EPA/600/R-06/096F. 2008. 

  2. Ginsberg G, Hattis D, Sonawame B, Russ A, Banati P, Kozlak M, et al. Evaluation of child/adult pharmacokinetic differences from a database derived from the therapeutic drug literature. Toxicol Sci. 2002; 66: 185-200. 

  3. Lee CW, Chang JY, Song KB, Lee SY, Yu M, Park KH et al. Risk assessment and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products. Korean Soc Environ Toxicol. 2012; 5: 153-154. 

  4. Kim HH, Choi IS, Nam YH, Lee JH, Yoo SE, Park CH et al. Selection of new high-maintenance children's activity spaces based on children's life patterns. J Environ Health Sci. 2019; 45(2): 164-172. 

  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xposure Status and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III)-Focused on Dermal Exposed Products. 2009. 

  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xposure Status and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IV)-Focused on Inhalation Exposed Products. 2010. 

  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Hazardous Substances for Children's Products (I). 2011. 

  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Hazardous Substances for Children's Products (II). 2012. 

  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Hazardous Substances for Children's Products (III). 2013. 

  10. Ministry of Environment. Survey on the Status of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2015. 

  11. Park JY, Lim M, Lee K. Estimation of exposure to boron from children's slime use in Korea. J Environ Health Sci. 2018; 44(6): 556-562. 

  12. Ficheux AS, Bernard A, Chevillotte G, Dornic N, Roudot AC. Probabilistic assessment of exposure to hair cosmetic products by the French population. Food Chem Toxicol. 2016; 92: 205-216. 

  13. Gomez-Berrada MP, Gautier F, Parent-Massin D, Ferret PJ. Retrospective exposure data for baby and children care products: an analysis of 48 clinical studies. Food Chem Toxicol. 2013; 57: 185-194. 

  14. Lee E, Yun J, Ha J, Park BC, Park GH, Kim HR, et al. Assessment of exposure for baby cosmetic care products in a Korean population. Food Chem Toxicol. 2017; 106: 107-113. 

  15. Kim J, Seo JK, Kim T, Park GH. Survey of exposure factors for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in child-specific products. J Environ Health Sci. 2014; 40: 17-26. 

  16. Kim S, Lee S, Shin C, Lee J, Kim S, Lee A, et al. Urinary parabens and triclosan concentrations and associated exposure characteristics in a Korean population-a comparison between night-time and firstmorning urine. Int J Hyg Environ Health. 2018; 221: 632-641. 

  17. Koniecki D, Wang R, Moody RP, Zhu J. Phthalates in cosmetic and personal care products: concentrations and possible dermal exposure. Environ Res. 2011; 111: 329-336. 

  18. Larsson K, Bjorklund KL, Palm B, Wennberg M, Kaj L, Lindh CH, et al. Exposure determinants of phthalates, parabens, bisphenol A and triclosan in Swedish mothers and their children. Environ Int. 2014; 73: 323-333. 

  19. Philippat C, Bennett D, Calafat AM, Picciotto IH. Exposure to select phthalates and phenols through use of personal care products among Caifornian adults and their children. Environ Res. 2015; 140: 369-376. 

  20. Gosens I, Delmaar CJE, ter Burg W, de Heer C, Schuur AG. Aggregate exposure approaches for parabens in personal care products: a case assessment for children between 0 and 3 years old. J Expo Sci Environ Epidemiol. 2014; 24: 208-214. 

  21. Choi IS, Choi SC. Contents and migration of heavy metals and phthalates in children's products. J Kor Soc Environ Eng. 2014; 36: 127-138. 

  22. Aboel Dahab A, Elhag DE, Ahmed AB, Al-Obaid HA. Determination of elemental toxicity migration limits, bioaccessibility and risk assessment of essential childcare products. Environ Sci Pollut Res Int. 2016; 23: 3406-3413. 

  23. Pomatto V, Cottone E, Cocci P, Mozzicafreddo M, Mosconi G, Nelson ER, et al. Plasticizers used in food-contact materials affect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18; 178: 322-332. 

  24. Benjamin S, Masai E, Kamimura N, Takahashi K, Anderson RC, Faisal PA. Phthalates impact human health: Epidemiological evidences and plausible mechanism of action. J Hazard Mater. 2017; 340: 360-383. 

  25. Negev M, Berman T, Reicher S, Balan S, Soehl A, Goulden S, et al. Regulation of chemicals in children's products: How U.S. and EU regulation impacts small markets. Sci Total Environ. 2018; 616-617: 462-4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