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여성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dimensional Poverty of Female Youth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85 - 91  

유지영 (남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년빈곤이 소득결핍만이 아닌, 주거결핍, 근로결핍, 건강결핍등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여성청년 가구의 빈곤 및 결핍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한다. 다차원적 빈곤은 소득, 근로, 주거, 건강의 네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표본은 한국복지패널 10년치 자료에서 pooling한 2630명의 1인 가구 여성청년이다. 분석도구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틀은 차원별 결핍율, 결핍차원간 상관분석, N개 차원 빈곤 중첩률이며 이를 위해 빈도분석, 평균분석, 상관분석 등의 기술통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여성청년은 근로와 주거에서 다른 차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핍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두개 차원이 동시에 빈곤인 여성청년 비율도 다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청년 여성 맞춤형 일자리 서비스 구축, 강소기업과의 일자리 매칭, 장기전세주택 대상자 중 청년여성 1인 가구 할당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와 함께 여성청년 스스로의 공유경제 공동체 설립 등도 대안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sent study notes that youth poverty is not only an income deficit, but also a deficit in various dimensions of life such as housing, work and health deficit. Multidimensional poverty is measured by four dimensions: income, work, housing and health. The sample is a 2630 one-person household femal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년 연구 분야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흡했던 여성청년 삶의 다차원적 결핍을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여성청년 소득, 근로, 건강, 주거 차원의 결핍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진다.
  • 그만큼 그들의 빈곤한 삶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한다. 이들을 위한 주거 및 근로 지원 조치가 시급히 강화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청년들의 실업과 실직은 다시 말해 이들의 삶이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 다양한 차원에서의 빈곤위험 속에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청년 빈곤이 소득 빈곤만이 아닌, 주거빈곤, 근로빈곤, 건강빈곤 등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여성 청년들 삶의 빈곤에 집중하고자 한다. 청년정책에서도 젠더적 관점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여성청년은 우선 순위에서 밀리거나 소외되어온 측면이 있었다.
  • 선행연구 중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을 분석한 연구들은 성별 분석이 미흡하여 여성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에 대한 강조가 미흡하였고, 여성청년 관련 선행 연구는 주로 비정규직 및 일자리 문제에 집중되어 여성청년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 속에서 본 연구는 여성청년이 상대적으로 남성청년보다 더 빈곤 위험 집단일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여성청년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을 드러내어 정책 수립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1인 가구를 구성한 15-29세 여성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년들의 실업과 실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들의 삶이 실업, 아르바이트, 최저임금, 이직, 구직, 고시원, 높은 등록금 등 현재 삶의 부담과 미래 삶의 불안으로 둘러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년들의 실업과 실직은 다시 말해 이들의 삶이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 다양한 차원에서의 빈곤위험 속에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청년 빈곤이 소득 빈곤만이 아닌, 주거빈곤, 근로빈곤, 건강빈곤 등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여성 청년들 삶의 빈곤에 집중하고자 한다.
여성청년은 남성청년과 다른 방식으로 빈곤을 경험하는데 이는 어떤 경우가 있는가? 아울러 여성청년은 남성청년과 다른 방식으로 빈곤을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성들은 빈곤에 처했을 때, 가부장적 전통을 내재한 결과, 빈곤 가구 내에서도 불평등을 감내한다고 한다[5]. 빈곤 속에서 여성은 다중역할, 과중한 노동, 생계꾸려가기 등의 전략을 취하며 상대적으로 더 빈곤해진다는 것이다.
청년기란? 청년기는 생애주기 상 부모로부터 경제적 독립을 시도하는 과도기적 과정이다. 그러나 여성에게 주어지는 불완전한 노동자 지위는 그들이 남성 청년보다 더 독립에 불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H. Shin. (2017. 8). 93% of Female job seekers are too high. Barriers Alpha: an Education Newspaper. p. 20 

  2. Welfare State Youth Network. (2016). Student Generation Multidimensional Inequalities Study. Welfare State Youth Network Policy Institute. 

  3. E. Y. Moon. (2013). Life status and grievances of 2030 young women in Seoul. Seoul Women's Family Foundation Research Project Report, 1145-158. 

  4. S. J. Lee. (2010). Government job policies and jobs for young women." A Study on Feminism, 10(1), 335-349 

  5. H. J. Roh. (2013). Women's social status and poverty. Feminist Studies, 13(2), 1-34 

  6. Welfare State Youth Network. (2015). Working Poor Youth Qualitative Research. Welfare State Youth Network Policy Institute. 

  7. N. R. Choi. (2008). Realities of employment among women in their 20s." Seoul Women's Family Foundation Research Project Report, 1-13. 

  8. S. Y. Do. (2014). Women's life in neo-poverty from the view of foucault's governance: on the case of korean agricultural migrant women workers in the 21st century. Korean Women's Philosophy, 22, 5-33. 

  9. A. Sen. (1992). Inequality Re-examined. Oxford Economic Paper, 35. 

  10. K. Choi & B. S. Suh. (2006). An exploratory study of Sen's functional approach as an alternative paradigm of poverty research: focusing on concept and measurement aspects. Social Welfare Policy, 25, 333-362 

  11. D. A. Clark. (2003). Concepts and Pperceptions of human well-being: some evidence from south africa. Oxford Development Studies, 31(2), 111-134. 

  12. K. H. Kim. (2011). A New Perspective on Poverty. Policy Report. 

  13. J. H. Jang & Y. J. Kim. (2016). A study on women's life in seoul single-family: 2030 living conditions and policy plan. Seoul Women's Family Foundation Research Report, 1-226. 

  14. J. Chu & H. Chu. (2017). Employment anxiety and work experience of young women in chonnam area. Female Study, 27(3), 105-148. 

  15. H. C. Shin, J. Y. Jang & J. Y. Lee.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unemployment and mental health graduates from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tudies, 16(2), 43-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