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심리적 요인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339 - 348  

조영문 (동신대학교 한의과 대학 간호학과) ,  강승랑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J와 S시, G광역시에 소재한 16곳의 노인종합복지센터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남녀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SPSS 23.0 프로그램을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성공적 노화는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자아통합감(${\beta}=.372$, p<.001), 문화역량(${\beta}=.410$, p<.001),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변수인 관계성(${\beta}=.168$, p=.003)이 71.1%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자아통합감, 문화역량, 관계성 증진을 위한 사회문화 심리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sociocultural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187 elderly people aged at least sixty who used 16 elderly welfare center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and S city from december 2018 to january 2019. Data analy...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첫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노인의 공적 노화,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의 정도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기본심리욕구, 자아 통합감, 문화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이 지각하는 사회문화·심리적 변인으로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과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심리적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를 통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이해를 높이고,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문화·심리적 중재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문화·심리적 변인으로 기본심리욕구, 자아통합감, 문화역량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제 변수들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간호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공적 노화는 무엇인가? 성공적 노화는 개인이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변화하는 신체적, 사회·심리적, 환경적 상황에 스스로가 성공적으로 잘 적응해 가면서 주어진 발달과업을 성취하는 것으로 건강상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사회﹡심리적 건강과 삶의 만족이 높은 상태이다[3]. 성공적 노화는 긍정적인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삶의 태도로, 평생을 통해 이루어지는 삶의 과정이며, 일생을 살아오면서 겪은 경험, 상호작용한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관리하고 돌보는 것에 대하여 자신이 내린 결정의 축적과 관련 있다[4].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우리사회의 성공적 노화는 초고령사회를 이룰 노인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노화과정에 잘 적응하는 심리·사회적 적응상태에 따른 삶의 안녕감 상태이다[5]. 최근 선행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 중 사회·심리적 지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3,6], Jeong(2014) 등의 연구에 의하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자녀수, 직업, 연령, 주거형태 등과 신체적·인지-기능적 변인인 건강상태, 신체기능, 인지전략 등이 있으나, 신체적·인지-기능적 변인보다는 심리적 안녕감, 지혜, 자기효능감과 자존감 등의 사회·심리적 변인의 관련성이 더 높았다[7]. 또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3].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통합이 이루어진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행동은? 노인은 노년기의 성공적 적응으로 궁극적인 심리적 안녕을 이루고 성공적 노화에 이르게 된다. 자아통합이 이루어진 노인은 자신의 선택한 삶과 삶의 결과를 인정하고, 과거의 삶을 수용하며 만족하며, 지속적인 자아실현을 통해 미래에 대한 공포 없이 자연스럽게 죽음을 수용한다. 그러나 자아통합을 실패한 노인은 절망에 빠지고 죽음 불안과 공포감에 시달리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s for estimated future population 2017 in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for estimated future population;2015 [cited 2019 Julyl 1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C1723&vw_cdMT_ZTITLE&list_idA12_2015_1_10_1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 H. J. Sa, C. W. Lee & M. J. Kim. (2017).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articipation, Successful Aging, and Social Support among Older Adul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5), 511-521. DOI: 10.23949/KJPE.2017.09.56.5.37 

  3. H. Y. Kim & B. K. Chung. (2015). A Research on Demographic Parameters, Life Style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5(2), 295-313. 

  4. M. J. Kim & K. B. Kim. (2012). Influenc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Middle Aged Adults and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50-158. DOI: 10.14370/jewnr.2013.19.2.150 

  5. J. H. Oh & J. N. Kim. (2017). The Influence of a Sense of Loss, a Sense of Coherence and Depression on Ego-integrity in the Elder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2(3), 687-710. DOI: 10.17315/kjhp.2017.22.3.012 

  6. B. J. Jeon. (2017).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Successful Aging by Family Type of Elderly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 Journal of Wellness. 12(1), 203-216. DOI: 10.21097/ksw.2017.02.12.1.203 

  7. Y. J. Jeong, N. Y. Yu, B. A. Kim, H. J. Shin & Y. S. Chong. (2014). A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with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4(4), 781-797. 

  8. E. L. Deci & R. M. Ryan. (2008).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 49(3), 182-185. DOI: 10.1037/a0012801 

  9. R. M. Ryan & E. L. Deci.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10. N. S. Kim. (2014). Effects of Vital Power Based o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 in Erly Participants of Life Time Sports. [master's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11. M. J. Nam & Y. M. Cho. (2018).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isdom on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1), 70-78. DOI: 10.7475/kjan.2018.30.1.70 

  12. S. L. Kim & H. O. Oh. (2016).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and Ego Integrity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6), 509-20. 

  13. G. E. Kim & E. J. Shin. (2016).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 Focusing on Mediator of Self-actualizat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1(3), 109-136. 

  14. J. S. An., Y. S. Chong & S. G. Seo. (2013).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tured Aging Atitude, Sccessful Aing, and Psycho-Social Maturation: The Examination of the Matured Aging.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2), 127-143. 

  15. E. K. Kim. (2018).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Enhancing Cultural Competence of the Eerl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3),111-134. DOI: 10.22251/jlcci.2018.18.3.839 

  16. M. Y. Lee. (2008). Exploratory Research on Cultural Competenc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main of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3(2), 111-134. DOI: 10.15815/kjcaes.2008.3.2.111 

  17. J. U. Ko. (2016). The Senior o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Plans. Journal of the Global Senior Health Promotion Institute, 2(1), 27-40. 

  18. H. S. Hong & M. J. Kwak. (2015).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mpact on seniors of Leisure Satisfaction Successful Aging.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ment Administration, 29(4), 199-213. DOI : 10.18398/kjlgas.2015.29.4.199 

  19. M. H. Kim & K. R. Shn. (2005).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2), 35-52. 

  20. Y. S. Jung. (2010). The relationship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ensation Seeking, Flow, and Exercise Addiction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1. S. G. Kwak, M. J. Kim & H. Y. Ahn. (2014). Lifelong Learning and Happiness index in Seodaemun-Gu Citizen. Seoul: Seodaemun-Gu; 2014. 

  22. J. S. Kim. (1989). A study of Social Aivities and Ego Integrity of the Aged. Health & Nursing, 1(0), 20-31. 

  23. E. H. Park. (2016). Mediating Effects of Ego-Integ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of Elders and Successful Aging; Focused using Senior Welfare Cente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eoul Christian University. 

  24. K. W. Sung. (2011). Relation of Successful Aging and Wisdom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1), 48-57. 

  25. A. L. Kim. (2013).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 Integrity on Successful Aging of Elders -Focused on the Elderly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4), 2041-2054. 

  26. E. L. Deci & R. M. Ryan. (2004). Avoiding Death or Engaging Life as Accounts of Meaning and culture. Psychological Bulletin, 130(3), 473-477. 

  27. S. S. Kim. (2015). The Structure Relationship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Life Goa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9(1), 1-25. DOI: 10.17286/KJEP.2015.29.1.01 

  28. V. H, Alain & M. Vansteenkiste. (2009). Ambitions Fulfilled? The Effec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 Attainment on Older Adults' Ego-Integrity and Death Attitud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68(1), 27-51. 

  29. Y. M. Shon. (2014). Impact of perceived cultural competence on industrial performances and the publicnes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30. H. J. Lee. (2017). The Effect of the Senior education program o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Meta-analysis, focused on domestic journal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3(1), 1-30. 

  31. H. S. Lim. (2017).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olving Depression for The Elderly of Low Income Class.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6(1), 265-282. DOI:10.20497/jwce.2017.6.1.265 

  32. H. K. Han. (2018). Effects of the Elderly's Human,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s on Successful Ag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8(4), 981-997. DOI: 10.31888/JKGS.2018.38.4.981. 

  33. Y. J. Jeong & J. S. An. (2010).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535-5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