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부모의 가족탄력성,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 학대행위인식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 Parents' Family Resilience, Experience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Abuse Behavi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519 - 526  

황환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이병록 (건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부모의 가족탄력성,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 학대행위인식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경기도 양평군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389부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자료분석은 주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이 학대행위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학대행위인식 간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족탄력성 증진서비스를 포함한 패키지 형태의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의 제공과 아동학대예방서비스 전달체계의 보완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resilience, experience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abuse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from 389 school parents residing A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variable of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부모의 학대행위인식과 영향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양평군에 거주하는 초⋅중학생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의 가족탄력성이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을 매개변수로 하여 학대행위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른 학대행위유형에 비해 방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의 모호함이 나타났다.
  •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학부모가 인식한 가족탄력성과 학대행위인식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결과는 기존의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 콘텐츠에 가족관점을 반영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공공기관의 아동학대교육프로그램은 피해아동 부모 및 가족을 대상으로 상담, 가족기능강화, 심리치료 등 사후대책에 집중하며[1], 가정, 병원, 학교 등의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에는 강의, 역할극, 관찰 등을 활용하여, 양육기술향상,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과 행동개선을 위한 활동이 포함되었다[3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기 상황 속에서 가족탄력성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가? 아동학대와 같은 스트레스 상황을 예방하고 극복하는데 유용한 강점으로서 가족탄력성이 있다. 가족탄력성은 위기 상황 속에서도 낙관적인 미래에 대한 공유된 희망과 신념, 구성원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협력 등을 제공한다[12]. 가족탄력성이 풍부한 가족은 서로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협력하며, 아동학대와 같은 가족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대처방안을 배우고 실천하고자 노력한다[13].
가족탄력성이 풍부한 가족구성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가족탄력성은 특정 문제행위에 대한 신념을 공유하면서 개인의 행위인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가족탄력성이 풍부한 가족구성원은 문제행위에 대한 인식을 서로공유하면서 의미를 부여하고 미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다[12]. 선행연구에 따르면, 가족탄력성은 문제상황에 노출된 개인의 자기효능감[14]이나 가족스트레스 인지[15], 자살생각[16], 자활의지[17] 등 어느 행위에 대한 개인의 심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
아동학대의 원인으로 지적된 학대행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문제로 무엇이 있는가? 다수의 연구자들은 아동학대의 원인으로서 학대행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문제를 지적한다. 이들은 체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훈육과 학대 사이에 모호하게 형성되었으며[4,5], 방임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도 명확하지 않은 것을 지적한다[6]. 학부모의 학대행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을수록 자녀가 실제 학대행위에 노출될 수 있으며, 자신이 아동에게 한 행위가 학대인지 아닌지조차 알지 못하기에 아동학대행위를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ealth and Welfare Ministry &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2018). A Report of the National Child Abuse. Sejong : Health and Welfare Agency. 

  2. J. S. Ha & Y. S. Kim. (2019). About Child Abus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4), 189-196. DOI : 10.5762/KAIS.2019.20.4.189 

  3. Y. H. Kim & C. K. Han. (2017).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58, 141-170. 

  4. A. F. Collier, F. H. McClure, J. Collier, C. Otto & A. Polloi. (1999). Culture-specific Views of Child Maltreatment and Parenting Styles in a Pacific-island Community. Child Abuse & Neglect, 23(3), 229-244. DOI : 10.1016/S0145-2134(98)00129-X 

  5. J. O. Oh & K. W. Lee. (2015). A Study for Preschool Child Parents Awaring and Experiencing Discipline and Abus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2), 247-271. DOI : 10.13049/kfa.2015.20.2.247 

  6. J. B. Choi. (2008). Korean Parents' Perception of Child Neglect. Dongkwang, 104, 1-38. 

  7. Y. S. Kim. (2011). A Comparison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heir Awareness toward Child Abuse.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3(4), 63-82. 

  8. S. W. Kim. (2016). A Study on Exploring Multi-type Maltreatment Experiences, Parental and Famil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20(4), 583-608. DOI : 10.21459/kccr.2016.20.4.583 

  9. K. H. Kim, D. M. Yum & B. Ryou. (2019). Profile Analysis of Abusive Families Based on Child Safety and Risk Assessment. Korean Journal of Victimology, 27(1), 163-189. 

  10. B. J. Kaplan, B. Wilson, D. Dewey & S. Crawford. (1998). DCD may not be a Discrete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17(4-5), 471-490. DOI : 10.1016/S0167-9457(98)00010-4 

  11. I. J. Lee, Y. S. Bang & B. Y. Son. (2015).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on Parenting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1), 251-261. DOI : 10.21184/jkeia.2015.03.9.1.251 

  12. F. Walsh. (2016).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the Guilford Press. 

  13. W. J. Mullin & M. Arce. (2008). Resilience of Families Living in Poverty.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4), 424-440. DOI : 10.1080/10522150802424565 

  14. H. J. Choi & I. S. Lee. (2009). Effects of Familiy Resilience on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7(2), 175-194. 

  15. H. Y. Lee, J. Y. Park & Y. H. Cho. (2013).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upon the Perception of Family Stress-Focusing on Married Middle aged Men. Journal of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7(4), 39-56. 

  16. C. G. Kim. (2018).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Violence, Family Resilience,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 child welfare, 61, 51-80. DOI : 10.24300/jkscw.2018.3.61.51 

  17. D. H. Jang & J. E. Kim. (2017). A Study about how the Family Resilience of Self-sufficiency Program's Participant affect the Willingness for Self-efficac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8(2), 295-312. DOI: 10.22143/HSS21.8.2.16 

  18. G. S. Kim. (2016).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Relationship who have Childre with Disability: Mediating Effects of prognosis of disability.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1, 163-192. 

  19. T. J. D'Zurilla & A. M. Nezu. (199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2, 156-163. DOI : 10.1037/1040-3590.2.2.156 

  20. D. Cicchetti & S. L. Toth. (1998).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st, 53(2), 221-241. DOI : 10.1037/0003-066X.53.2.221 

  21. Y. E.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Self-assessment and Child abus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7(3), 17-30. 

  22. J. W. Han. (2017). The Cognition and Reporting Attitude toward Child Abuse according Job Stress Level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21(1), 237-261. 

  23. M. A. Ryu, H. J. Yun & B. H. Lee. (2019).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 Abuse an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4(2), 35-53. DOI : 10.16978/ecec.2019.14.2.002' 

  24. S. O. Hong & O. K. Lee. (2010).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Busa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3), 75-90. 

  25. B. R. Lee & H. Hwang. (2018). The Effect of School Parents' Parenting Stress on the Child Abuse Aware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535-542. DOI : 10.14400/JDC.2018.16.11.535 

  26. B. R. Lee & S. H. Jung. (2019). The Effect of the Family Relationship on School Parents' Child Abuse Awareness for Life Care. Journal of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3(3), 279-290. DOI : 10.21184/jkela.2019.4.13.3.279 

  27. S. K. Kwon & E. J. Lee. (2016).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Category of Acceptance in the Framework of the Current Regulation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3(3), 347-362. 

  28. M. Matsunaga. (2008). Item Parc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primer. Communication Methods and Measures, 2(4), 260-293. DOI : 10.1080/19312450802458935 

  29. J. Y. Park & K. S. Kim. (2012).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Single Paren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1), 23-46. 

  30. L. Hu & P. M. Bentler.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l versus New Alterna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DOI : 10.1080/10705519909540118 

  31. S. H. Hong, M. L. Malik & M. K. Lee.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DOI : 10.1177/0013164403251332 

  32. S. K. Ahn, J. H. Yang & I. J. Chung. (2012). Meta-analysis on Protective and Risk Factors in the Family Domain affecting Child Abus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8, 331-358. 

  33. M. Y. Ko, W. J. Jang & H. M. Yoon. (2013).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 of Reflecting Team Members of the Narrative Therapy for Family Accused of Child Abuse.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7(4), 699-737. 

  34. J. H. Cho. (2007). The Effect of the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towards Child Sexual Abuse. Korean Journal of Child Welfare, 5(3), 19-37. 

  35. S. I. Kim & J. Y. Kang. (2017). The Effect of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Education on the Intervention to report Child Maltreatment among Future mandatory Reporters: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of Recognizing and Reporting Child Maltreat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55, 373-400. DOI : 10.17997/SWRY.55.1.13 

  36. Y. K. Lee & G. E. Kim. (2019). Effectiveness of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6(1), 81-92. 

  37. H. J. Jung & M. K. Jang. (2016). The Effect of Filial Therapy on the Self-esteem, Sibling Relationship ADHD Children and Family Resilience of Their Families.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4(2), 41-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