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출다변화를 통한 G2 리스크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수출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G2 Risk and Export Diversification: Focusing on Export Support System for SM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48 - 55  

최돈승 (안동대학교 경제무역학부) ,  고경일 (백석대학교 경상학부)

초록

본 연구는 미-중 무역분쟁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G2 리스크'로 정의하고 급변하는 세계무역환경 속에서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는 이를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고, 사업별로 제도가 운용되면서 정책 간 중복으로 인해 행정적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첫째,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를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컨트롤 타워를 명확하게 설정한 이후 중장기 로드맵을 구축하여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 수출지원조직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한 후 조직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가 잘 수립되고 운영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성과평가기준과 환류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rgued problems and improvement of export support system for SMEs in the uncertain world global trade environment with G2(US-China) risk. In SMEs export support system, The authorities needs stronger control tower to promote consistent export support policies. There is also another proble...

Keyword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국이 부과한 관세품목 중 항공우주, 정보통신 등 첨단 기술 분야가 포함된 것은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볼 수 있다. 셋째, 장기적으로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미국이 세계경제 패권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목적이 있을 수 있다. 최근 중국의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 무역분쟁을 일으킨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급변하는 무역환경 속에서 수출기업의 리스크 관리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중앙정부에서 마련하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수출지원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중 무역분쟁을 ‘G2 리스크’의 개념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중 무역분쟁을 ‘G2 리스크’의 개념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보다 중소기업의 입장에 초점을 맞춰 G2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할 것이다. 대기업에 비해서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수출시장의 다변화는커녕 중요 시장에만 집중하여 성과를 거두는 것조차 벅찰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의 수출지원제도가 매우 중요하다[2,5,6].
  • 본 연구에서는 수출다변화를 수출시장의 다변화와 수출품목의 다변화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시장을 다변화하는 것과 품목을 다변화하는 것은 전혀 다른 의미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여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 이하에서는 중소기업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는 중소벤처기업부와 그 산하기관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를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미-중 무역분쟁을 보다 넓은 의미에서 ‘G2 리스크’로 정의하고 급변하는 세계무역환경 속에서 중 소기업 수출지원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성과평가기준을 설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수출지원제도의 정책 혹은 주체별로 세부적인 평가기준을 조금씩 달리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출지원 전 과정에 일자리 창출효과를 최우선으로 반영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무엇인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1979년 설립된 중소벤처기업 부 산하의 정책금융기관으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조에 의한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이 주 업무이므로 2012년 12월 금융형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되었다.
미-중 무역분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앞서 살펴본 미-중 무역분쟁의 근본적인 원인을 한 가지로 축약하면 ‘세계경제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미국과 중 국의 경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중 무역분쟁이 조기에 해결된다 하더라도 두 국가 사이의 경쟁으로 촉발된 긴 장관계는 향후 지속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사회 환경이 매우 빠르게 변화할 뿐만 아니라 사업전환의 패러다임을 예측하기 어려워 정부부처 간 정보공유, 소통 등의 노력을 통해 은 부처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협력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하다[26]. 그러므로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정부조직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한 후 조직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중소기 업 지원정책과 관련하여 가장 큰 책임과 역할은 중소벤처 기업부가 담당해야 하겠지만 수출지원분야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분담하고, 정치·외교적인 협조를 위해서는 외교부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를 주도하는 것은 중앙정부지만 사업단위로 세분화할 경우 이를 직접적으로 실행 하고 지원하는 역할은 기업의 역량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현장에 가까운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의 산하기구가 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 Burns, J. Ekblom & A. Shalal (2019.08.10.). Timeline: Key dates in the U.S.-China trade war . Reuters. https://www.reuters.com/article/us-usa-trade-china-timeline/timeline-key-dates-in-the-us-china-trade-war-idUSKCN1UZ24U 

  2. K. Hwang. (2019). Phenomenological Analysis for the Employment Policy and Creating Jobs: Understand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abors and Techn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29-39. DOI : 10.14400/JDC.2019.17.4.029 

  3.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2019). The Effect of US.China Trade War on Export, Trade Focus, 24, Seoul :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4.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2019). 2019 Import and Export First Half Trends and Second Half Forecast. Trade Focus, 24, Seoul :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5. J. H. Lee & T. H. Kim. (2018).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export environ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225-230. DOI : 10.22156/CS4SMB.2018.8.4.225 

  6. S. G. Kim & B. H. Hyun. (2019). Analysis of SMEs internationalization theory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4), 88-99. DOI : 10.22156/CS4SMB.2019.9.4.088 

  7. J. Larimo. (2006). Different types of exporting SM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xport performance. Advances in International Marketing, 17, 17-62. DOI : 10.1016/S1474-7979(06)17001-5 

  8. L. C. Leonidou, C. S. Katsikeas & D. N. Coudounaris. (2010). Five decades of business research into exporting: a bibliographic analysis. Journal of International Management, 16(1), 78-91. DOI : 10.1016/j.intman.2009.06.001 

  9. J. Cieslik, R. Kaciak & D. H. B. Welsh. (2012). The impact of geographic diversification on expor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Journal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10, 70-93. DOI : 10.1007/s10843-012-0084-7 

  10. D. Crick, S. Chaudhry & S. Batstone. (2000). Revisiting the concentration versus spreading debate as a successful export growth strategy: the case of UK SMEs exporting agricultural-related products.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12(1), 49-67. DOI : 10.1080/089856200283081 

  11. E. S. Katsikea, M. Theodosiou. R. E Morgan & N. Papavassiliou. (2005). Export market expansion strategies of direct-selling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mplications for export sales management activitie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13(2), 57-92. DOI : 10.1509/jimk.13.2.57.64856 

  12. E. Helpman & P. Krugman. (1985). Market structure and foreign trade: Increasing returns, imperfect competition and the international economy. MIT Press, Cambredge, MA. 

  13. R. Feenstra. (1994). New product varieties and the measurement of international price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84(1), 157-177. 

  14. D. Hummels, J. Peter & P. Klenow. (2005). The variety and quality of a nation's export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5(3), 704-715. DOI : 10.1257/0002828054201396 

  15. D. Herzer & F. Nowak-Lehnmann. (2006). What does export diversification do for growth? An econometric analysis. Applied Economics, 38, 1825-1838. DOI : 10.1080/00036840500426983 

  16. M. Heddad, J. J. Lim, C. Pancaro & C. Saborowski. (2010). Trade Openness reduces growth volatility when countries are well diversified.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46(2), 765-790 DOI : 10.1111/caje.12031 

  17. E. Fischer & A. R. Reuber. (2003). Targeting export support to SMEs: Owners' International Experience as a Segmentation Basis. Small Business Economics, 20(1), 69-82. DOI : 10.1023/A.1020296405149 

  18. J. Audet & E. St-Jean. (2007).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public support services by SME owners: Evidence from a periphery region of Canada. Journal of Developmental Entrepreneurship, 12(2), 165-180. DOI : 10.1257/0002828054201396 

  19. H. Kang. (2013). A study on the problems and utilization of export support programs for SMEs: 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Area. Korean International Commercial Review, 28(4), 363-382. 

  20. C. Mason & R. Brown. (2013). Creating good public policy to support high-growth firms. Small Business Economics, 40(2), 211-225. DOI : 10.1257/0002828054201396 

  21. M. Ciszewska-Minaric. (2018). Export intensity, geographic diversification and the role of public support: The evidence from old and new Europe SMEs. Entrepreneurial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6(2), 45-69. DOI : 10.15678/EBER.2018.060203 

  22. J. H. Choi. (2018).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export support policy for the SME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3), 114-123. 

  23. K. I. Kim.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R&D investment and a firm's performa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213-217. DOI : 10.22156/CS4SMB.2018.8.4.213 

  24. K. S. Park & J. S. Ko. (2018).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export support system of Korea SME. The International Commerce and Law Review, 79, 209-228. 

  25. Korea Federation of SMEs (2018). The effects analysis report of US-China trade war on SMEs. Seoul : Korea Federation of SMEs. 

  26. S. Y. Lee, K. H. Cho & K. K. Park. (2019).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6), 35-42. DOI : 10.14400/JDC.2019.17.6.03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