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디지털 연표 기반의 지능형 전통문화 검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Traditional Culture Retrieval System based on 3D Digital Timelin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154 - 162  

신유탁 ((주)피씨엔 연구소) ,  조재춘 (상명대학교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사회와 문화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전통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 및 최신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아직까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문화 콘텐츠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3D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체계적인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융복합서비스가 가능한 전통문화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전통문화 콘텐츠를 수집하는 기능, 수집된 전통문화 콘텐츠를 분류 및 저장하는 기능, 저장된 전통문화 콘텐츠에 기반을 두어 3D 디지털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시스템 만족도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대학생 19명이 참여하여 시스템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시스템 만족도에서는 모든 문항이 평균적으로 '만족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has a great impact on society and culture, there is no platform that provides a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state-of-the-ar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a traditi...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기존에 없던 전통문화 콘텐츠 플랫폼을 새롭게 개발한 3D 디지털 연표기반의 지능형 정보검색 시스템 을 제안하고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의 사용성 만족도 평가를 통해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본 논문은 새로운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3D 디지털 연표를 자동으로 표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전통문화 사이트를 통해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 데이터 저장부의 전통문화 콘텐츠 데이터 웨어하우스 (Cultural Contents Data Warehouse : CCDW)에 매핑 되도록 수집된 콘텐츠를 적재하는 기능, 전통문화 콘텐츠의 특성 중에서 시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초 디지털 연표를 생성하는 기능, 시간 데이 터와 콘텐츠 연결망 분석에 따라 디지털 연표와 콘텐츠 매핑을 수행하는 기능 및 기초 디지털 연표와 매핑된 콘텐츠들을 시각화하여 3D 디지털 역사 연표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 본 논문은 전통문화 콘텐츠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3D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시각화함으로써 정보 이용자에게 체계적인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융복합 서비스가 가능한 전통문화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문화 검색 시스템이 제공하는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문화 콘텐츠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3D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체계적인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융복합서비스가 가능한 전통문화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전통문화 콘텐츠를 수집하는 기능, 수집된 전통문화 콘텐츠를 분류 및 저장하는 기능, 저장된 전통문화 콘텐츠에 기반을 두어 3D 디지털 연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시스템 만족도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대학생 19명이 참여하여 시스템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텍스트 형식의 연표가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기존 역사 연표는 텍스트를 역사적 사건 순으로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나열하는 텍스트 형식과 사건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이미지 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텍스트 형식은 시간순으로 많은 내용을 기록할 수 있지만 사건 간의 맥락을 표현하기 어렵고 구조가 단순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미지 형식은 사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는 있지만, 공간의 한계가 있다.
연표란 무엇인가? 연표는 역사적 사실과 사상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대 순으로 배열한 표로, 발생의 시점을 표시할 수도 있고, 연속 된 시간, 사건과 사건과의 관계 등을 표시할 수 있다[1].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간편하고 좋은 방법은 연표를 통해 시각적인 도구로 활용하여 사건 간의 연관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 J. Kim. (2007). The content and method of history education. Seoul: With a book. 

  2. Y. C. Kim. (2011). Development of 3D design history chronological table by study of design history theory : based on cocept of structure of form and action.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 Y. A. Hur, D. Y. Lee, K. K Kim, W. H Yu & H. S. Lim. (2017). A System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ex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9-47. 

  4. D. K. Park. (2002). Analysis of ANOVA and Iterative Measurement, Seoul: Min Youngsa. 

  5. H. J. Jang, J. M Kim & W. G Lee. (2018).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subjects related to future profession of high school girl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2), 21-29. 

  6. E. M. Kim. (2011). Is Internet literacy inherited from parent to childre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2), 155-177. 

  7. C. W. Nam & S. H. Ahn. (2016). The Effec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on their ICT Literacy Level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10), 18-32. 

  8. S. J. Lee & E. H. Youk. (2014). Digital Capability Divide and Digital Outcome Divide : Gaps in the Digital Capability and itsEffects on Informational Suppor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8(5), 206-232. 

  9. W. J. Sung. (2014). A Study on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in the Smart Society.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5(2), 53-75. 

  10. Y. J. Choi, H. S. Chung, G. W. Ban & S. M. Kim. (2016). Competencies of Korean Women and Its Implications: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OECD PIAAC.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6(1), 1-318. 

  11. M. S. Min & J. H. Lee. (2005). Analysis of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Experiences of Women Studying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5(2). 

  12. J. J. Good, J. A. Woodzicka & L. C. Wingfield. (2010). The effects of gender stereotypic and counter-stereotypic textbook images on science performanc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50(2), 132-147. 

  13. N. J. Hafkin & S. Huyer. (2007). Women and Gender in ICT Statistics and Indicators for Developm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4(2), 25-41.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