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구강보건교육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신념과 OHIP-14의 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lief and OHIP-14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 adul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59 - 66  

장경애 (신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치위생학과) ,  허성은 (신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강보건교육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구강보건교육 유경험자가 구강보건교육 무경험자보다 구강건강신념의 하위요인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의 하위요인 점수가 각각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경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_14)은 요인별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애주기별 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은 구강건강증진은 물론 삶의 질 향상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living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s 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구강건 강관리 행위는 구강건강신념이 바르게 정립되었을 때 가능하며[26],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과 태도, 행동 변화를 도모함으로써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4,6,27]. 또한, 구강보건교육이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포괄적 개념의 건강은 물론 구강건강과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됨에 따라 [2-4,10], 성인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신 념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융합적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구강보건교육은 구강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는 구강보건 관리 과정이라 할 수 있다[6]. 학습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의 목적은 자신의 구강건강관리 및 구강병 예방행위를 열심히 하겠다는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주어 행동변화를 통한 구강건강증진 행위의 습관화에 있음으로[7], 행동 변화의 근원이 되는 구강건강신념이야말로 성인 구강건강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8]. 즉, 성인 구강건강 관리의 핵심은 구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며, 이는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구강건강의 관심에서부터 시작된다[9].
인간행동이 학습을 통한 교육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최근,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강건강과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2,3],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4]. 교육이란 인간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를 의미하며, ‘인간행동’은 외현적인 행동 변화 뿐 아니라 내면적 특성을 포함하고 있음으로 ‘인간행동’은 학습을 통한 교육의 대상이 된다[5]. 구강보건교육은 구강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는 구강보건 관리 과정이라 할 수 있다[6].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하위요인의 모든 영역에서 구강보건교육 유경험자의 구강건강관련 삼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는 판단은 어떤 연구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가? 셋째,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하위요인인 기능적 제한, 신체적 통증, 심리적 불편, 신체적 무능, 심리적 무능, 사회적 무능, 사회적 불리의 모든 영역에서 구강보건교육 유경험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남지역 14,7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한 보건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윤 등[18]의 연구 결과, 금연 등 구강 건강과 관련한 교육 경험이 있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의미를 같이하였으며,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를 연구한 윤의[20] 연구 결과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을 때 행복지 수를 측정하는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하였다. 반면, 치위생과의 스켈링 센터 방문 자의 구강건강행위가 OHIP-14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김 등[19]의 연구 결과 칫솔질 교육 경험이 없는 사람의 OHIP-14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I. S. Lee & H. S. Jeong. (2012).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220-228. DOI : 10.5977/jkasne.2012.18.2.220 

  2. S. E. Heo.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9), 135-142. DOI : 10.15207/JKCS.2018.9.9.135 

  3. D. Kushnir, S. P. Zusman & P. G. Robinson. (2004). Validation of a Hebrew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 63(4), 71-75. DOI : 10.1111/j.1752-7325.2004.tb02730.x 

  4. H. O. Lee & J. Kim. (2008). Effects of elders' oral health belief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8(2), 57-63. 

  5. E. J. Son., S. K. Choo & H. S. Lim. (2015). Educational method and technology, Kyung gi: Kyoyookbook Publishing. 

  6. I. S. Kim et al. (2005). Oral health education, Seoul : Komoonsa Publishing. 

  7. J. Hoogstraten & G. Moltzer. (1983). Effects of dental health care instruction on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nd fear. Journal of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11(5), 278-282. DOI : 10.1111/j.1600-0528.1983.tb01893.x 

  8. S. E. Heo.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Determinants of Oral Health Practice i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61-174. DOI : 10.15207/JKCS.2017.8.9.161 

  9. H. S. Kim. (2016). Effect of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for visiting caregiver on elderly care recipients.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nbuk. 

  10. H R. Park. (2011). The oral impacts on daily performance of some university students and an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to oral health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nbuk. 

  11. J. Y. Park. (2005). Effects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Variable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Ope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1(1), 43-67. 

  1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9). Evaluation of medical expenses in 2018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 0045030000&brdScnBltNo4&brdBltNo2392 

  13. H. S. Kwun et al. (2012).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Management, Seoul : Komoonsa Publishing. 

  14. H. Y. Oh, E. J. Kim & S. Y. Ahn. (2012). Oral Care in Resulting in Oral Health Education in Oral Health Attitudes and Awareness of Relevant Research.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14(3), 151-160. 

  15. M. G. Ji. (2007). An investigation on the actual status of oral health care and perceptions of oral health among the under graduates of S college of education in Cheongju-si.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in oral health care educatio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7(4), 569-582. 

  16. Y. H. Kim & J. H. Lee. (2018). Oral health behavior change of some adults who were participated in prevention program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4), 701-710. DOI : 10.21742/AJMAHS.2018.04.12. 

  17. C. M. Park & H. S. Yoon. (2018). Oral Health Care Behaviors of Male Adults in the Region of Busan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Implementation or Non-implementation of Regular Checkup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8), 119-128. DOI : 10.21742/AJMAHS.2018.08.71 

  18. H. S. Yoon, C. M. Park & J. H. Chun. (2018). Local Residents' Levels of Perception of Health and Happin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d Public Health Education(Smoking, Drinking, Nutr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6(4), 101-110. DOI : 10.15268/ksim.2018.6.4.101 

  19. J. H. Kim & G. U. Kim. (2014). The influence of oral health behavior and periodontal status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scaling in Dental Hygienics on their OHIP-14.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461-468. DOI : 10.14400/JDC.2014.12.11.461 

  20. H. S. Yoon. (2013).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Happiness Indexes among Industrial Worker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11), 313-321. DOI : 10.5392/JKCA.2013.13.11.313 

  21. S. S. Kegeles. (1963). Why People Seek Dental Care: A Test of Conceptual Formulatio. Journal of Health Hum Behav, 4, 166-173. 

  22. M. S. Park. (2001).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by Oral Health Belief of Student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College Student in Seoul.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1(2), 107-119. 

  23. B. R. Lee & Y. H. Lee. (2017). Oral Health Beliefs and Oral Health Behaviors Related Factors of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Dental Hygiene, 17(3), 431-440. 

  24. R. Larson. (1978).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 Journal of Gerontology 33, 109-25. 

  25. S. J. Kwon & E. J. Lee. (2013).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Use of Dental Service of Students of Health and Medical Department of Universit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3), 83-93. DOI : 10.12811/kshsm.2013.7.3.083 

  26. S. J. Moon, I. Y. Ku, H. Y. Choi & K. H. Ka. (2015).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Education Awareness of Workers in the Workpla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3), 159-174. DOI : 10.12811/kshsm.2015.9.3.159 

  27. K. A. Jang & I. C. Hwang.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its education recognizance of child care teach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2), 735-741. DOI : 10.5392/JKCA.2009.9.12.735 

  28. S. S. Park, G. W. Jang & Y. A. Lee.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o oral health awareness among work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6), 1250-1259. DOI : 10.13065/jksdh.2012.12.6.1250 

  29. H. E. Shin, M. J. Cho, E. J. Park, Y. H. Choi & K. B. Song. (2019). Association between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and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an investigation of influential factors of the PHP index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3(1), 21-25. DOI : 10.11149/jkaoh.2019.43.1.21 

  3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Status of Outpatient Frequent Illness by Disease Subclassification.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73&vw_cdMT_ZTITLE&list_id350_35001_6&conn_pathF0&path 

  31. Statistics Korea. (2013).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12 Objectiv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pi/8/6/1/index.board?bmoderead&aSeq269685 

  32. N. R. Park & S. H. Sohn. (2010). The effects of food safety education on children's food safety knowledge,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Consumer Policy Education Review, 6(1), 47-66. 

  33. J. H. Ji & S. E. Heo. (2019).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6), 183-193. DOI : 10.22156/CS4SMB.2019.9.6.183 

  34. S. E. Heo & K. A. Jang. (2019). Associations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HIP-14 among Chinese Resid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5), 190-200. DOI : 10.22156/CS4SMB.2019.9.5.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