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활성화를 위한 주민대학 사례연구: 강점모델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
A Case Study on the Community School for Urban Regeneration: A Convergence Approach Based on the Strength Mode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249 - 257  

김남숙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쇠퇴하고 노후되는 도시재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글로컬 시대는 국가단위보다는 주민의 실질적 삶에 근거를 둔 지역, 즉 마을 중심의 도시재생에 무게를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쇠퇴하는 도시의 재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핵심축으로써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부산광역시 S구 일대를 대상지로 한 도시재생사업(새뜰마을사업) 일환의 주민대학을 강점모델 기반으로 설계하고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주민참여프로그램을 위해 몇 가지 경험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의 문제에 기반을 둔 병리적 모델에서 벗어나 지역과 주민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이고 가능성을 지향하는 강점모델로 접근한다. 이러한 접근은 주민들이 마을에 대한 자긍심과 소속감을 갖고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주민의 주체적 태도와 주민역량강화를 증진한다. 둘째, 마을 주변의 지역대학자원을 활용한 지역과 대학의 상생이다. 셋째, 지역주민의 다각적인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대학전공의 융합을 통한 지역 지원과 교류를 모색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promote residents' participation as an important key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hancing urban competition.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The cas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academy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New 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민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자료와 새뜰 마을사업 진행을 위해 실시된 실거주 638세대 전수 설문 조사(응답 558세대)의 결과 중 일부를 발췌한 자료[26]를 토대로 주민대학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재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현재 한국사회에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성공과 그 핵심축이라 할 수 있는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함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역량 있는 주민의 주인 된 참여를 추진하고자 강점관점에서 설계하고 진행된 주민대학운영사례를 연구하여 향후 주민참여를 강조하는 ‘아래로부터의 변화 방식 (bottom-up)’이 성공적으로 이행되고자 노력하는 주체들에게 정보제공을 하고자 한다.
  •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역량 있는 주민의 주인 된 참여를 추진하고자 강점관점에서 설계하고 진행된 주민대학운영사례를 연구하여 향후 주민참여를 강조하는 ‘아래로부터의 변화 방식 (bottom-up)’이 성공적으로 이행되고자 노력하는 주체들에게 정보제공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마을변화를 위해서 3년간 주민들과 함께 하였던 인근 대학의 노력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도시계획학, 건축학, 건축공학, 경제학, 사회 복지학, 교육학 전공자들의 전문적 접근은 주민들의 다차 원적 욕구를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는 성공의 첩경이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최근 대학 내에서 일고 있는 혁신교수법 중 하나인 서비스러닝교수법과 매칭 가능성에 대해 제시한다. 대학생들에게는 각자의 전공에 대한 쓰임새를 지역봉사를 통해 학생 스스로 점검하게 되며 책임감 있는 예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리라 여긴다.
  •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역량 있는 주민의 주인 된 참여를 추진하고자 강점관점에서 설계하고 진행된 주민대학운영사례를 연구하여 향후 주민참여를 강조하는 ‘아래로부터의 변화 방식 (bottom-up)’이 성공적으로 이행되고자 노력하는 주체들에게 정보제공을 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주민대학을 운영하여 주민들의 환경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대인관 계의 역량을 높이고자 강점모델을 기반으로 주민대학을 설계, 운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민의 강점을 활용한 주민대학운영에 대한 경험과 그 경험을 바탕으로 얻게 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인구감소, 도시쇠퇴, 노후된 정주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최우선되어야 하는 과업은 주민역량강화이며 이를 위해 주민대학운영이라는 신념으로 본 연구는 진행하였다. 주민대학 설계 과정에서 가장 고려한 점은 주민의 지역환경과 주민들 관계에 대한 이해 증진이며 이를 강점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주민대학을 운영한 이유는? 도시의 재활성화를 통한 도시경쟁력과 살기 좋은 마을을 이루기 위해서 가장 핵심적인 사안은 바로 거주인들의 주인된 참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보았듯이, 마을만들기는 단순히 공간의 문제가 아니라 장소와 관계의 이해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18]. 이를 위해 주민대학을 운영하여 주민들의 환경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대인관 계의 역량을 높이고자 강점모델을 기반으로 주민대학을 설계, 운영하였다.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의 면적 규모별 다섯 가지 유형은? 글로컬 시대는 국가 단위보다는 도시 중심의 지역 발전 경쟁의 심화를 강조하고 있으며[1] 한국 역시 90년대 지방자치시대가 열리면서 도시관리권한이 지방으로 이양되고 그 도시만의 문화·예술·경제·복지 등 차별화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역시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동네 살리기’, ‘주거정비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 시가지형‘, ’경제기반형‘ 다섯 가지 유형으로 ’도시재생뉴딜(Urban Regeneration New Deal)정책을 추진하고 있다[2].
사회복지학이란? 의학, 약학과 마찬가지로 사회복지학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적응을 방해하는 부적응 요소들, 문제, 결함, 실패 등을 찾아내어 예방하고 해결하는 실천학문이다. 이런 관점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이 되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에 초점을 두는 병리적 모델을 근간으로 발달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Y. H. Lee. (2019). Developing a Promotional Design of Pyeongtaek City for the Improvement of its Imag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6), 147-155. 

  2. S. I. Choi. (2019),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angible nad Intangible Results Types of Service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2). 480-491. 

  3. Y. W. Kim. (2008). Paradigm Shift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planning and policy. 315. 142-154. 

  4. G. U. Lee.(2018). A Study on the Narrative Approach for Maul-mandulgi.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66. 1-26. 

  5. W. S. Nam & S. R. Lee.(2012). The condition of success in making a village. Issue&Analysis. 47. 1-25. 

  6. SPECIAL ACT ON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2019),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molit.go.kr/portal.do 

  7. T. H. Lee. (2015). Examinations of Meaning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Their Applications in Regeneration Policy: Focusing on New Deal for Communities Programme in the UK,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86, 139-159. 

  8. C. Y. Kim. (2013).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Focusing on Case Studies of Collaboration Planning Program between Local Universities Communities in Japa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5), 65-78. 

  9. T. H. Lee, S. E. Park & T. H. Kim. (2016). Urban Regeneration through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s in Japan - A Case Study of Yokohama City and Yokohama City University Partnership,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1(1), 57-75. 

  10. J. E. Kim. (2010). A Case Study of Neighborhood Renewal through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 UIC Neighborhood Initiative, Seoul Study, 11(3), 69-86. 

  11. C. H. Lee & W. K. Bae.(2007), University-Led Community Revitalization - Focusing on University Facilities Development and Community Planning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6), 89-104. 

  12. J. Y. Hwang. (2018). Analysis o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Empowerment Enhanc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1). 245-252. 

  13. C. H. Lee. (2009). A Study on the Regeneration of a University Town through Off-Campus Facilities - A Case Study of Waseda University, Japa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0(2), 43-57. 

  14. C. Y. Kim. (2013).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 Focusing on Case Studies of Collaboration Planning Program between Local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in Japa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5), 65-78. 

  15. Y. J. Bae & Y. R. Kim. (2019). Urban Regeneration of Regional Universities in Japan, PLANNING AND POLICY, 451, 70-76. 

  16. S. H. Lee. (2017. 9. 9). Campers Town and COC Projects, A Different Look at Local Contributions, Kyunghee Newspaper, p.8. 

  17. S. S. Kim, (2019), A Case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of Residents in Korea, PLANNING AND POLICY, 453, 80-87. 

  18. G. T. Sim.(2003), Explanation of Space, Understanding of Place and Value of Environment in the Regional Instru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1(3), 17-31. 

  19. S. H. Lee & K. W. Hwang. (1997). The Ambiguous Concepts of Place and Placenes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2(5), 169-184. 

  20. J. K. Kim, J J. Lee & K. W. Hwang. (2011). A Case Study on 'Learning Program of Academy of Urban Planning' for Citizen's Empowerment in Public Facilities Planning Process - Focused on the 2009 Year 'Learning Program of Academy of Urban Planning' in Capital A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4). 105-125. 

  21. A. Weick, R. C. Rapp, W. P. Sullivan, & W. Kishardt. (1989). A strengths perspective for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34(4), 350-369. 

  22. D. Saleebey. (2006). The Strengths Approach to in Social Work Practice, D. E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7(4th ed.), Boston, MA : Allyn & Bacon. 

  23. B. Fast & R. Chapin. (2000). Strengths-Based Care Management for Older Adults. Baltmore: Health Professions Pr. 

  24. R. K. Yin.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n. London. 

  25. S. D. Hwang. (2007). Research Methods in Social Welfare, Seoul: Hajisa. 

  26. Seogu. (2016). New Ddeul Village Project. Seogu. 

  27. J. S. Kyung & J. H. Kim. (2018). Model Development of Convergence Curriculum by Specialization Area Linkage between Local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2). 251-2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