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첨단산업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ite Selection Planning Factors for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 Focused on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5, 2020년, pp.595 - 608  

박광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노후산업단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의 문제점과 혁신체계이론, 외부효과이론을 바탕으로 핵심 계획요인을 선정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최종 입지선정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노후산업단지 재생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조성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성 관련 계획요소, 산업단지 분양률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수요 요인 관련 계획요소, 입주기업의 인적자원을 유지하여 지식의 축적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근로자 관련 계획 요소, 인접지역과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협력적 관계형성을 위한 계획 요소 등 총 4개 영역에서 19개의 최종 요소가 도출 되었다. 이러한 계획요소들은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의 문제점으로 나타난 분양률 저조와 개발 불균형에 따른 지역 내 갈등 해결 및 지역 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rive site selection planning factors in reforming aging industrial complex into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 this study selected key planning factors based on the problems of creating the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 innovation system theory, and external effect theory.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에서 근로자 요인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첨단산업단지가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외부효과이론을 고려하여 지역과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인접 지역과 연계성의 4가지 요인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계획요소를 도출하자 한다.
  • 본 연구는 노후산업단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사전에 고려해야 하는 계획요소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는 무분별한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개발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노후산업단지의 재생이라는 두 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한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 본 연구에서 델파이 설문조사는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관계자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예비계획요소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였는데, 1차 설문지는 각 계획요소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제시하고 각 개념에 대한 긍정비율을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후산업단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사전에 고려해야 하는 계획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현재 문제점의 진단과 지역혁신체계이론과 외부효과이론을 바탕으로 입지선정 계획요소를 도출한 다음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계획요소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첨단산업단지란 무엇인가?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산업단지와 달리 지식 및 문화산업, 정보통신산업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도시에 조성하는 산업단지를 의미한다[3]. 도시첨단산업단지는 도시산업의 구조고도화를 통한 도시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고도화로 인한 산업용지 부족 문제 해소, 근로자의 정주 여건과 현대화된 시설로 작업환경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
노후산업단지 재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이처럼 산업단지 노후화는 국가의 산업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노후산업단지 재생은 국가의 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경제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도시 외곽에 조성된 노후산업단지가 도시 확장으로 인하여 도심에 편입되어 교통 및 환경 문제, 지역주민과의 갈등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다. 이에 최근 노후산업단지 재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도시재생의 새로운 대안으로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
도시첨단산업단지의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산업단지와 달리 지식 및 문화산업, 정보통신산업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도시에 조성하는 산업단지를 의미한다[3]. 도시첨단산업단지는 도시산업의 구조고도화를 통한 도시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고도화로 인한 산업용지 부족 문제 해소, 근로자의 정주 여건과 현대화된 시설로 작업환경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양원탁, 노후산업단지의 경쟁력 결정요인 및 경쟁력 약화 실태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 윤정중, 이현주, 송영일, "도시첨단산업단지의 현황과 과제," 도시정보, 제421호, pp.3-17, 2017. 

  3. 김성엽, "패러다임 변화와 도시첨단산업단지 발전 방향," 도시정보, 제421호, pp.42-58, 2017. 

  4. 장인석, "지역혁신체제의 경제적 효과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8권, 제1호, pp.19-39, 2007. 

  5. 임창호, 김정섭, "산업집적의 외부효과가 도시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pp.187-201, 2003. 

  6. 김철회, 박경순, 이진, "대전광역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실패의 원인분석," 사회과학연구, 제18권, pp.77-93, 2009. 

  7. 구상욱, "한국 산업단지별 클러스터 평가 및 경쟁전략 수립,"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3446-3451, 2011. 

  8. 최일용, 한장협, "국가산업단지의 창조클러스터화를 위한 발전방안 우선순위 도출,"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95-218, 2014. 

  9. 홍진기,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산업경제분석, 2009년 2월호, pp.57-65, 2009. 

  10. 한연오, 양승호, 박태원, "노후산업단지 재활성화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7권, 제6호, pp.31-49, 2016. 

  11. 이현주, "산업의 융복합화를 지원하는 새로운 산업단지 개발제도 도입방안,"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05-206, 2015. 

  12. 최형구, 김원필, "도시 내 구조고도화 산업단지와 연접지역의 이질적 도시 공간 특성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7617-7628, 2015. 

  13. 박성식, 정주용, 연익준, "오창산업단지 주변지역 주민의 행정규제에 대한 인식과 악취수용성의 상관성 연구," 환경영향평가, 제24권, 제4호, pp.332-343. 2015. 

  14. P. Cooke, G. Mikel, and E. Goio,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stitutional and organisational dimensions," Research policy, Vol.26, No.4-5, pp.475-491, 1997. 

  15. 허문구, 임종인, "혁신잠재력과 기반인프라 분석을 통한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지역개발연구, 제44권, 제2호, pp.75-96, 2012. 

  16. 구교준, "지역혁신체계; 지역혁신체계 이론의 어제와 오늘," 정부학연구, 제11권, 제2호, pp.7-33, 2005. 

  17. C. Oughton, L. Mikel, and M. Kevin, "The regional innovation paradox: innovation policy and industrial policy,"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Vol.27, No.1, pp.97-110, 2002. 

  18. 김민재, 사회기반시설의 외부효과와 갈등의 양상에 관한 연구: 김해 신공항 소음에 대한 지불용의액과 수용용의액의 비교를 통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9. 박형서, "공공시설의 외부효과와 입지갈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37권, pp.47-63, 2003. 

  20. 김윤희, 김준환, "부동산개발에 있어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접근," 부동산경영, 제17권, pp.101-118, 2018. 

  21. 허문구, 임종인, "혁신잠재력과 기반인프라 분석을 통한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지역개발연구, 제44권, 제2호, pp.75-96, 2012. 

  22. 이정찬, 송위진, 채윤식, 노후산업단지의 재생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23. 정성훈, 정혜윤, "노후산업단지 공간조성 모델 개발을 위한 기술적 애로사항 및 유형 분석-강원도 춘천(후평) 일반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27권, 제3호, pp.183-192, 2017. 

  24. 정성훈, "노후산업단지 재생에 있어서 민간 참여 개발에 대한 경제지리교육적 접근,"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3권, 제4호, pp.836-844, 2017. 

  25. 김성태, "우리나라 첨단정보산업단지 활성화 모형과 전략요인 분석 연구: 외국사례의 Fish-bone Analysis," 한국정책학회보, 제9권, 제2호, pp.237-265, 2000. 

  26. 박종안, "첨단산업과 산업단지 조성," 지역개발연구, 제8권, 제1호, pp.247-265, 2003. 

  27. 박용규, "내외 산업클러스터의 성공사례와 시사점," 지역정책연구, 제14권, 제2호, pp.15-28, 2003. 

  28. 한장협, 윤상현, 김채복, "SWOT/AHP 분석을 이용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성공전략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7권, 제3호, pp.465-483, 2014. 

  29. 왕정한, 류현욱, 금상수, "지식산업센터의 개발 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경영, 제18권, pp.7-25, 2018. 

  30. 장철순, 김주훈, "경쟁력 지표를 통한 노후산업단지 진단과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재생사업지구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45-258, 2017. 

  31. 김주훈, 노후산업단지의 진단과 재생사업 추진 유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2. 장철순, 서태성, 류승한, 강호재, 공공과 민간의 참여를 통한 산업단지 재생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33. 조기술, 도시재생사업에서 기반시설이 산업단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4. 송승민, 도시첨단산업클러스터의 구조변화에 대응을 위한 공간계획과 제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5. 신기동, 문미성, 이양주, 송제룡, 최석현, 조영진, 경기도 노후산업단지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정책연구, 2013. 

  36. 김태현, 임동일,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방향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6권, 제3호, pp.159-180, 2014. 

  37. 이미영, 경기도의 산업단지 입지 선호요소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8. M. Andersson and C. Karlsson, "Knowledge in regional economic growth-the role of knowledge accessibility," Industry and innovation, Vol.14, No.2, pp.129-149, 2007. 

  39.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Vol.28, No.4, pp.563-575,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