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효과성 모형 탐색
Exploratory study on the model of the software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non-major under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3 no.5, 2019년, pp.427 - 440  

홍성연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서주영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구은희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신승훈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오하영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이택균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공과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SW)를 기초교육으로 의무적으로 수강하도록 하는 대학이 늘고 있다. 교육의 제공자와 수요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책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W 교육 효과성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기초로 SW 기초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하고 효과성 모형의 영역으로 컴퓨팅 사고력, SW 문해력, SW 인식, SW 태도를 제시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은 일반적인 문제해결과정과 비교하여 문제의 분석과 설계에 초점을 맞춘 분해, 패턴인식, 추상화,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었다. SW 문해력은 디지털 시대에 정보 읽기와 활용을 넘어서 SW를 바탕으로 한 사회발전을 조망하는 것을 포함한다. SW 인식과 태도는 전공이 정해진 대학생의 상황과 수준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SW 교육 효과성 모형은 추후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ftware courses required for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major in many universities. SW educational effectiveness model needs to be developed to enable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professors, and SW educators, and to identify the responsibilities of SW educators. SW educational e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W 기초교육 효과성 모형은 구성요소들의 개념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지표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SW 기초교육의 내용을 일관되게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어떤 유형이든 간에 SW 교육의 핵심은 컴퓨팅 사고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대학의 비전공자 SW 교육에 대해 다루는 이 연구는 모든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SW 기초교육 유형을 집중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도구 활용 교육은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프로세스 등 사무 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학습하는 것으로, 도구로써 컴퓨터를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구 활용 교육은 대학에서 컴퓨터 교육이 활성화되던 1990년대 초반부터 교양교육으로 운영되었다.
  • 따라서 교육 효과성이란 교육을 통해 나타나게 되는 성과를 지칭하는 다분히 성과지향적인 용어이다[19]. 따라서 교육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를 효과성의 구인으로 개발하고 이를 측정함으로써 교육의 성과를 확인하고 개선의 방향을 모색한다.
  •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비전공자 SW 교육의 유형과 목적, 내용 등을 살펴보고, SW 기초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성과인 컴퓨팅 사고력과 SW 문해력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SW 기초교육의 효과성 모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대학의 비전공자 대상 SW 교육이 무엇을 목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논하고, 구체적인 지표가 포함된 SW 기초교육의 효과성 모형을 제안하였다.
  • 비전공자 대상 SW 교육이라 하더라도 목적에 따라 SW 기초교육과 SW 융합교육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교육 내용과 성격도 차이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공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기초교육에 한정하여 SW 교육의 효과성 모형을 개발한다.
  •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비전공자 SW 교육의 유형과 목적, 내용 등을 살펴보고, SW 기초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성과인 컴퓨팅 사고력과 SW 문해력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SW 기초교육의 효과성 모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헌고찰의 특징은? 문헌고찰(literature review)은 학술 연구나 논문의 한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양적연구나 질적연구처럼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미국심리학회(APA)에서 분류한 연구 방법의 한 유형으로 ‘앞서 출판된 자료를 조직화와 통합화를 하고, 평가함으로써 문제를 명료화하고 연구의 진척을 이루어’내는 연구 방법 이다.
대학의 SW 교육을 분류하면? 대학의 SW 교육을 내용에 따라 나누면 일반적으로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래밍 교육, 컴퓨팅 사고 교육의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비전공자에 대한 SW 교육의 문제점은? 그러나 비전공자에 대한 SW 교육이 의도했던 바대로 효과적인 SW 융합인재를 양성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여지가 있다. 교육방식의 이질감으로 문과생들의 SW 교육 참여는 아직도 충분하지 못하고[18], 학년과 경험에 따라 수준과 요구의 차이가 상당한 학생들에게 적절한 SW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다 [33].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SW 문해 교육을 글쓰기나 수학, 과학과 같이 디지털 사회에서 대학생이면 누구나 갖춰야 하는 기초교육의 한 영역으로 분류하였지만[30], 여전히 SW 교육의 효과가 무엇이며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는지에 대해 의심하는 시선도 대학 내에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ungSoo Na, Hyun Joo, JinJu Lee, DongSik Kim(2018). Induc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Korean SW Education: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 Changes through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4(3), 775-815. 

  2. CSTA & ISTE(2011).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 teacher resources, 2nd edition, CSTA & ISTE. 

  3. DaeSu Kim(2016). Software and Computational Thinking. Life and Power Press. 

  4. GeumJu Park, YungJoon Choi(2018).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software education for the non-major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4(4), 273-292. 

  5. HwanChul Lee, HyunSook Lee, JungSook Sung, SoonWon Jeong, SooHwan Kim, SeokHee Kim, JongHye Kim, JooYeon Park, ByungMo Lee(2015). A Study on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5-JinHeung-077. 

  6. HyoMin Park(2014). Global Trend of SW Education Status and Educational Methodology. KISA Internet & Security Focus 2014-9. 40-56. 

  7. HyunSeok Shin, YoungHyio Joo, Yoon Jung Yang, SuHyeon Jung(2016). Analyzing Trends of Literature Review Methods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 Administration, 34(4), 1-24. 

  8. InHwan Yoo(2016). Software Engineering: A Study on SW Development Process for Increasing Computational Thinking.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ta Engineering, 5(2), 51-58. 

  9. JaeKyung Kim(2017). Development of Rubric for Assessing Computational Thinking Concepts and Programming 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uter Education, 20(6). 27-36. 

  10. Jeannette M. Wing(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 of ACM, 49(3), 33-35. 

  11. JeongEun Nah(2017). Software Education Needs Analysis in Liberal Ar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3), 63-89. 

  12. JinSook Kim, SunKwan Han, SooHwan Kim, SoonWon Jung, JaeMyung Yang, UiDeok Jang, JungNam Kim, MiYoung Ryu, JinTae Lee, SooJin Jeon, SangHong Kim(2015).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W Education.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3. JooYoung Seo(2017). A Case Study on Programming Learning of Non-SW Majors for SW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123-132. 

  14. JooYoung Seo, SeungHun Shin, EunHee Goo(2018). A Study on Non-Majors Students' Perception of the SW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21-31. 

  15. JungCheul Oh, JongHoon Kim(2016). A Development of a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Instruction Model an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5), 1183-1197. 

  1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2015). Inform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2015. 

  17. KyungMin Kim(2017).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4), 59-66. 

  18. MinSeok Kim(2018). Status and Implicat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W Educa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oft-power Issue Report 2018-53,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Korea. 

  19. MinWon Seo(1994). Conception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ollege/University Educational Effectiveness: Exploring Conceptual Framework and its Application. Korea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2). 97-136. 

  20. OakYoung Han, JaeHyoun Kim(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Computational Thinking for Nonmajors Through Software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1), 139-141. 

  21. SooHwan Kim(2015). Analysis of Non-Computer Majors' Difficulties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3), 49-57. 

  22. SungHoon An, JongMin Kim, TaeOak Song, CheolHyun Lee, SungHyun Kim, JungHwan Lee(2017). Research o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for SW Education Research School in 2016.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R 2016-4. 

  23. WonGyu Lee, JaeMyung Yang, JaMi Kim, JungHee Seo(2017). Research on Tool Development for Measuring SW Education Effectiveness in 2017.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 2017-8. 

  24. YongMin Kim, JongHoon Kim(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of App Inventor Utilization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Girls'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4), 385-398. 

  25. YoungHo Seo, MirYeong Yeom, JongHoon Kim(2016). Analysis of Effect that Pair Programming Develope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ity in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3), 219-234. 

  26. YoungJoon Nam, SoonHee Kim, SangWon Jung, JungA Shin, JungSim Kim(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Digital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7. YoungMan Ko(2004).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4), 67-87. 

  28. Google(2019). Exploring Computational Thinking. http://goo.gl/oG0w56 

  29. IITP, Korea(2019).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the National Program for Excellence in SW. https://www.iitp.kr/kr/1/notice/reportAndClarify/view.it?ArticleIdx3561&counttrue 

  30. Korean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2019). Standard Model for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http://konige.kr/files/sub0208/Konige_Standard_Model.pdf 

  31.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2015),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 for SW-centric Society. https://www.msit.go.kr/SYNAP/skin/doc.html?fn075964f3c916f54dc5b36afbd4bfd256&rs/SYNAP/sn3hcv/result/201908/ 

  32.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2015). Plan for the National Program for Excellence in SW.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11211&artId1272942 

  33. MinSeok Lee(2018). Status and Crisis of University SW Education. https://spri.kr/posts/view/22496 

  34.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2019). Standard Korean Dictionary.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35. WooYong Kim(2018). https://www.zdnet.co.kr/view/?no201802091108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