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한 북한지역 극한강수량 전망
Prospect of extreme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using an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0, 2019년, pp.671 - 680  

정진홍 (서경대학교 대학원 도시기반방재안전공학과) ,  박동혁 (서경대학교 도시안전연구센터) ,  안재현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순환 요소들의 변화로 인해 미래에는 전 세계적으로 수문사상의 규모 및 빈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다. 하지만 북한지역의 미래 강수량에 대한 정량적 연구와 평가는 미비한 실정이다. 북한지역 역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극한강수에 따른 피해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북한지역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통해 북한지역의 미래(2020-2060년) 극한강수를 산정하고 현재기후(1981-2017년)와 비교 분석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은 RCP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모의된 HadGEM2-AO모델의 외부인자(JFM(1-3월), AMJ(4-6월), JAS(7-9월), OND(10-12월)의 평균 강수량)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북한지역 극치 강우 사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외부인자 선정을 위해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하여 연 최대 강우자료의 잔차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잔차와 외부인자 사이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8개 지점(강계, 삼지연, 장진, 양덕, 함흥, 신포, 장전, 신계)에서 3개의 외부인자(AMJ, JAS, OND)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정된 외부인자를 고려하여 비정상성 GEV모형을 구축하고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CP4.5에서는 8개 지점 중 4개 지점이 현재기후 대비 미래극한강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3개 지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RCP8.5에서는 2개 지점이 감소하는 경향을 5개 지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researches illustrated that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hydrological event would increase in the future due to changes of hydrological cycle component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However, few studies performed quantit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future rainfall in North Korea, where t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EMD는 자료에 내재된 주기와 경향성을 나타내는 잔차를 추출할 수 있는 분해분석법으로 비선형, 비정상성인 시계열인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에 내재된 경향성 추출을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EEMD의 효율적 분해를 위해서는 백색잡음 진폭(표준편차)과 앙상블 멤버 수 결정이 중요하다.
  • 실제 극한강수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나 분포자체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정상성을 가정한 전통적 빈도해석과는 다른 새로운 강우빈도해석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CP기후변화시나리오(RCP4.5, 8.5)를 기반으로 모의된 HadGEM2-AO 모델의 계절별 강수를 고려하여 북한지역의 미래 극한강수를 전망하고 현재기후와 비교분석하였다.
  • 외부변수로는 기온, 해수면 온도, 기후인자 등이 있으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변화된 기후로 인해 강수의 양이나 양상의 변화이다(Inha University,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기후에 온실가스 효과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고려된 계절별 강수를 고려하여 미래 북한지역의 새로운 극한강 수를 전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통해 북한지역의 가까운 미래(2020-2060년)의 강수량을 추정하고 현재기후(1981-2017년)와 대비하여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은 외부인자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비정상성 GEV 모형은 위치모수의 비정상성을 고려하거나 규모모수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형상모수의 경우, 신뢰성 있는 추정이 어렵고 비정상성을 고려하더라도 그 결과에 차이가 미비하여 상수로 가정할 것을 제안하였다(Coles, 2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성이란 무엇인가? 통계학적 의미에서 정상성이란 매개변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으로 상수로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정상성 빈도해석이 가지는 문제점은? 하지만 최근 전 지 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수문자료에 비정상성이 관측되고 있으며, 기존의 정상성 빈도해석은 확률강우량을 과소 산정 한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Li and Tan, 2015).
비정상성 빈도해석의 필요한 예시는? 실제 극한강수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나 분포자체가 시간에 따라 변 하기 때문에 정상성을 가정한 전통적 빈도해석과는 다른 새로운 강우빈도해석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CP기후변화시나리오(RCP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ryal, S. K., Bates, B. C., Campbell, E. P., Li, Y., Palmer, M. J., and Viney, N. R. (2009). "Characterizing and modeling temporal and spatial trends in rainfall extreme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AMS, Vol. 10, No. 1, pp. 241-253. 

  2. Coles, S.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 of extreme values. Springer-Verlag, London, UK. 

  3. Croux, C., and Dehon, C. (2010). "Influence functions of the spearman and Kendall correlation measures." Statistical Method and Applications, Vol. 19, No. 4, pp. 497-515. 

  4. Franks, S. W., and Kuczera, G. (2002). "Flood frequency analysis: Evidence and implications of secular climate variability, New South Wales."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38, No. 2, pp 432-439. 

  5. Huang, N. E., Shen, Z., Long, S. R., Wu, M. C., Shih, H. H., Zheng, Q., Yen, N. C., Tung, C. C., and Liu, H. H. (1998).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and the Hilbert spectrum for nonlinear and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Vol. 27, No. 2, pp. 903-995. 

  6. Ihara, C., Kushnir, Y., Cane, M. A., and DE la Pena, V. H. (2007). "Indian summer monsoon rainfall and its link with ENSO and Indian Ocean climate ind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7, No. 2, pp. 179-187. 

  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 K. Pachauri, and L. 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p. 151. 

  8. Inha University (2007).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R&D report.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9. Jain, S., and Lall, U. (2000). "Magnitude and timing of annual maximum floods: Trends and large-scale climatic associations for the Blacksmith Fork river, Uta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6, No. 12, pp. 331-343. 

  10. Jung, T. H., Kim, H. B., Kim, H. S., and Heo, J. H. (2019). "Selection of climate indices for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and estimation of rainfall quanti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9, No. 1, pp. 165-174. 

  11. Kim, B. S., Lee, J. K., Kim, H. S., and Lee, J. W. (2011).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with climate variability using conditional Generalize Extreme Value distribution." Journal of Wetland Research, Vol. 13, No. 3, pp. 499-514. 

  12.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Climate change outlook report on the Korean Peninsula. 

  13. Koutsoyiannis, D. (2004). "Statistics of extremes and estimation of extreme rainfall: I. Theoretical investigation."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49, No. 4, pp. 575-590. 

  14. Kwon, H. H., and Lee, J. J. (2011). "Seasonal rainfall outlook of Nakdong River basin using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model and climate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5, pp. 339-350. 

  15. Lee, O. J., Sim, I. K., and Kim, S. D. (2018).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of daily rainfall depth using climate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Vol. 18, No. 7, pp. 639-647. 

  16. Li, J., and Tan, S. (2015). "Nonstationary flood frequency analysis for annual flood peak series, adopting climate indices and check dam index as covariate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319, pp. 573-574. 

  17. Milly, P. C. D., Wetherald, R. T., Dunne, K. A., and Delworth, T. L. (2002). "Increasing risk of great floods in a changing climate." Nature, Vol. 415, No. 6871, pp. 514-517. 

  18. Myeong, S. J. (2018). "KDI review of the North Korean econom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Vol. 20, No. 3, pp. 41-59. 

  19. Pizaro, G., and Lall. U. (2002). "El Nino and floods in the US west: What can we expect?" Eos Trans, AGU, Vol. 83, No. 32, pp. 349-352. 

  20. Sankarasubramanian, A., and Lall, U. (2003). "Flood quantiles in a changing climate: Seasonal forecast and causal rel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9, No. 5, pp. 1134. 

  21. Solomon, S., Qin, D., Manning, M., Averyt, K., Marquis, M., Chen, Z., Tignor, M., and Miller, L.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Working group 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22. Sung, J, H., Kim, B. S., Kang, H. S., and Cho, C. H. (2012).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for extreme precipitation based on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climate change scenari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2, pp. 231-244. 

  23. Thiombiano A. N., St-Hilaire, A., El, Adlouni, S., and Ouarda, T. B. J. (2018). "Nonlinear response of precipitation to climate indices using a non-stationary Poisson-generalized Pareto model: case study of souther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8, No. 1, pp. 878-888. 

  24. Wu, Z., and Huang, N. E. (2009).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a noise-assisted data analysis method." Advances in Adaptive Data Analysis, Vol. 1, No. 1, pp. 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