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 지역에서 2018년 1월 측정한 초미세먼지의 오염 특성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PM2.5 observed during January 2018 in Gwangju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5 no.3, 2019년, pp.91 - 104  

유근혜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박승식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정선아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조미라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장유운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임용재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김영성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ourly measurements of $PM_{2.5}$ and its major chemical constituents such as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OC and EC), and ionic species were made between January 15 and February 10, 2018 at the air pollution intensive monitering station in Gwangju. In addition, 24-hr int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2)을 고려하면 앞 단락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18년 1월~2월 사이에 측정된 탄소 성분의 주요 오염원은 측정 지점 주변의 도로에서 운행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로 판단된다. 그러나 OC 입자는 자동차 배기가스뿐 만아니라 다른 연소 배출원 또는 탄화수소화합물의 2차 산화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많은 연구 문헌에 의하면 K+는 바이오매스의 연소 과정을 통해 배출되며(Park et al.
  • 본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호남권 대기 오염집중측정소에서 2018년 1월 15일에서 2월 10일 사이의 집중측정기간 중 생산한 PM2.5와 화학적 성분들의 1시간 평균 자료를 활용하여 PM2.5의 화학적 특성과 고농도 오염 현상을 분석하였다. 1시간 측정 자료 외에도, 24시간 기준의 PM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농도 오염 현상의 근원적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해해야 하는 것은? , 2018a, 2018b, 2019). 따라서 연무 생성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PM2.5의 고농도 오염 현상을 야기하는 근원적인 원인을 규명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Guo et al.
1월 23일 이전의 SO42- 농도의 증가 속도가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측정 기간 중 낮은 SO 2의 농도 변화를 고려하면 1월 23일 이전의 SO42- 농도의 증가 속도는 아마도 풍속, PBL 높이, RH 등의 기상 조건을 고려하면 국지적인 SO42-의 생성에 의한 증가보다는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수송에 의한 SO42-의 유입에 의한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2 역궤적 해석 결과). 이는 SO 2의 불균일 반응에 의한 SO42-의 생성과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수송에 의한 SO42- 유입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다른 가능성은 우리나라의 서해안에 위치한 석탄화력발전소나 황해 선박 배출에 의한 영향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연무의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 2011). 일반적으로 연무의 생성은 PM2.5의 농도 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Zheng et al., 2015; M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en, A.L.W., Chow, J.C., Doddridge, B.G., Dickerson, R.R., Ryan, W.F., and Mueller, P.K. (2003). Analysis of a summertime PM2.5 and haze episode in the mid-atlantic region,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3(8), 946-956. 

  2. Guo, S., Hu, M., Zamora, M.L., Peng, J.F., Shang, D.J., Zheng, J., Fu, Z.F., Wu, Z.J., Shao, M., Zeng, L.M., Molina, M.J., and Zhang, R.Y. (2014). Elucidating severe urban haze formation in China,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ic Science of United States (PNAS), 111, 17373-17378. 

  3. Huang, R.-J. et al. (2014). High secondary aerosol contribution to particulate pollution during haze events in China, Nature, 514, 218-222. 

  4. Ji, D.S., Li, L., Wang, Y.S., Zhang, J.K., Cheng, M.T., Sun, Y., Liu, Z.R., Wang, L.L., Tang, G.Q., Hu, B., Chao, N., Wen, T.X., and Miao, H.Y. (2014). The heaviest particulate air-pollution episodes occurred in northern China in January, 2013: insights gained from observation, Atmospheric Environment, 92, 546-556. 

  5. Li, P., Yan, R., Yu, S., Wang, S., Liu, W., and Bao, H. (2015). Reinstate regional transport of PM2.5 as a major cause of severe haze in Beijing,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ic Science of United States, 112, 2384-2399. 

  6. Liu, Y.C., Wu, Z., Wang, Y., Xiao, Y., Gu, F., Zheng, J., Tan, T., Shang, D., Wu, Y., Zeng, L., Hu, M. Bateman, A.P., and Martin, S.T. (2017). Submicrometer particles are in the liquid state during heavy haze episodes in the urban atmosphere of Beijing, China,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4, 427-432. 

  7. Ma, Q., Wu, Y., Zhang, D., Wang, X., Xia, Y., Lu, X., Tian, P., Han, Z., Xia, X., Wang, Y., and Zhang, R. (2017). Roles of regional transport and heterogeneous reactions in the $PM_{2.5}$ increase during winter haze episodes in Beijing,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99-600, 246-253. 

  8. Ma, J., Chu, B., Liu, J., Liu, Y., Zhang, H., and He, H. (2018). $NO_x$ promotion of $SO_2$ conversion to sulfate: An important mechanism for the occurrence of heavy haze during winter in Beijing, Environmental Pollution, 233, 662-669. 

  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6). 2015 annual report of intensiv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NIER-GP2016-160. 

  10. Nel, A. (2005). Air pollution-related illness: effects of particles, Science, 308, 804-806. 

  11. Park, S.S., Kleissl, J., Harrison, D., Kumar, V., Nair, N.P., Adam, M., Ondov, J., and Parlange, M. (2006). Characteristics of $PM_{2.5}$ episodes revealed by semi-continuous measurements at the Baltimore Supersite at Ponca St.,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40, 845-860. 

  12. Park, S.S., Jung, S.A., Gong, B.J., Cho, S.Y., and Lee, S.J. (2013a). Characteristics of $PM_{2.5}$ haze episodes revealed by highly time-resolved measurements at an air pollution monitoring Supersite in Korea,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3, 957-976. 

  13. Park, S.S. Kim, S.J., Gong, B.J., Cho, S.Y., Kim, J.C., and Lee, S.J. (2013b). Investigation on a haze episode of fine particulate matter using semi-continuous chemical composition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9(5), 642-6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rk, S.S., Sim, S.Y., Bae, M.S., and Schauer, J.J. (2013c). Size distribution of water-soluble components in particulate matter emitted from biomass burning, Atmospheric Environment, 73, 62-72. 

  15. Park, S. and Yu, G. (2018). Effect of air stagnation conditions on mass size distributions of water-soluble aerosol partic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4(3), 418-4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ope, C. A. III., Hansen, J.C., Kuprov, R., Sanders, M.D., Anderson, M.N., and Eatough, D.J. (2011). Vascular function and short-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61, 858-863. 

  17. Rolph, G., Stein, A., and Stunder, B. (2017). Real-time Environmental Applications and Display System: READY.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95, 210-228, https://doi.org/10.1016/j.envsoft.2017.06.025. 

  18. Saxena, M., Sharma, A., Sen, A., Saxena, P., Saraswati, Mandal, T.K., Sharma, S.K., and Sharma, C. (2017). Water soluble inorganic species of $PM_{10}$ and $PM_{2.5}$ at an urban site of Delhi, India: Seasonal variability and sources, Atmospheric Research, 184, 112-125. 

  19. Seinfeld, J.H. and Pandis, S.N. (200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2nd Ed., John Wiley & Sons, Inc. 

  20. Son, S.-C., Bae, M.-S., and Park, S.-S. (2015).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athways of Humic Like Substances (HULIS) in PM2.5 in a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1(3), 239-2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Tan, J., Xiang, P., Zhou, X., Duan, J., Ma, Y., He, K., Cheng, Y., Yu, Z., and Querol, X. (2016).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humic-like substacnes (HULIS) in $PM_{2.5}$ in Lanzhou,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73,1481-1490. 

  22. Wang, Y.S., Yao, L., Wang, L.L., Liu, Z.R., Ji, D.S., Tang, G.Q., Zhang, J.K., Sun, Y., Hu, S., and Xin, J.Y. (2013).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the January 2013 heavy haze pollution episode over central and eastern China, Science China Earth Sciences, 57, 14-25. 

  23. Wang, H., Xu, J., Zhang, M., Yang, Y., Shen, X., Wang, Y., Chen, D., and Guo, J. (2014). A study of the meteorological causes of a prolonged and severe haze episode in January 2013 over central- eastern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98, 146-157. 

  24. Wang, M., Cao, C., Li, G., and Singh, R. P. (2015). Analysis of a severe prolonged regional haze episode in the Yangtze River Delta,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102, 112-121. 

  25. Yu, G.H., Cho, S.-Y., Bae, M.-S., Lee, K.H., and Park, S.S. (2015). Investigation of PM2.5 pollution episodes in Gwangju,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1(3), 269-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u, J., Yu, G.-H., Park, S., and Bae, M.-S. (2017) Chemical a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water-soluble organic carbon and humic-like substances in size-segregated particles from biomass burning emissions,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11(2), 96-106. 

  27. Yu, G.-H., Park, S.-S., Park, J.S., Park, S.M., Song, I.H., Oh, J., Shin, H.J., Lee, M.D., Lim, H.B., kim, H.W., and Choi, J.Y. (2018a).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PM2.5 observed during winter and summer in Baengryeongdo and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4(1), 38-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Yu, G.-H., Park, S.-S., Jung, S.A., Jo, M.R., Lim, Y.J., Shin, H.J., Lee, S.B., and Ghim, Y.S. (2018b). Investigation on characteristics of high PM2.5 pollution occurred during October 2015 in Gwangju,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4(4), 567-5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u, G.-H., Lee, B.-J., Pakr, S.S, Jung, S.A., Jo, M.R., Lim, Y.J., and Kim, S. (2019). A case study of severe PM2.5 event in the Gwangju urban area during February 2014,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5(2), 195-2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Zhang, J.K., Sun, Y., Liu, Z.R., Ji, D.S., Hu, B., Liu, Q., Wang, Y.S. (2014) Characterization of submicron aerosols during a month of serious pollution in Beijing, 2013,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14, 2887-2903. 

  31. Zhang, Y.-L. and Cao, F. (2015).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in China at a city level, Scientific Reports, 5, 14884. 

  32. Zhang, Q., Quan, J., Tie, X., Li, X., Liu, Q., Gao, Y., and Zhao, D. (2015). Effects of meteorology and secondary particle formation on visibility during heavy haze events in Beijing,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02, 578-584. 

  33. Zhang, R., Sun, X., Shi, A., Huang, Y., Yan, J., Nie, T., Yan, X., and Li, X. (2018). Secondary inorganic aerosols formation during haze episodes at an urban site in Beijing,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177, 275-282. 

  34. Zheng, G. J., Duan, F.K., Su, H., Ma, Y.L., Cheng, Y., Zheng, B., Zhang, Q., Huang, T., Kimoto, T., Chang, D., Poschl, U., Cheng, Y.F., and He, K.B. (2015). Exploring the severe winter haze in Beijing: the impact of synoptic weather, regional transport and heterogeneous reaction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5, 2969-29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