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포도 즙의 첨가가 곤약젤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ng Green Grape Juic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njak Jell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5, 2019년, pp.629 - 636  

전재은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이인선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green grape juice (GJ). The pH, $^{\circ}Brix$ value,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jelly were measured. The pH of the jelly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GJ over the range of 3.25-5...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청포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청포도 즙을 이용한 곤약 젤리를 제조한 후 이에 대한 품질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청포도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개발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포도를 이용한 제품을 개발할 때 껍질도 함께 이용할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2007)은 청포도를 포함한 포도 4종에서 산화스트레스 억제 효과와 항 천식 활성을 확인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청포도의 껍질에는 β-carotene의 함량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으며(Shin et al. 2015), 따라서 청포도를 재료로 하여 제품을 개발할 때에는 껍질도 함께 이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젤리란? 젤리는 과채류 등의 즙에 당과 겔화제를 혼합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응고시킨 겔상의 반고체식품이다(Choi & Lee 2014). 젤리는 과거에 단순한 기호식품으로 인식되었지만 최근에는 유아나 노인용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Lee 2017).
청포도 즙이 완성된 젤리의 조직감을 견고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 이유는? Kim et al.(1997)에 의하면 식이섬유는 식품의 견고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청포도 즙에 함유된 식이섬유가 젤리의 경도, 검성, 그리고 씹힘성 등을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abrera SG, Lee YR, Kim ST, Moon KD. 2007. Influence of additions of seeds and stems on the properties of processed campbell grap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4(3):256-262 

  2. Chang SW, Shin NS, Song JH, Park YD, Rho YT. 2010. Production of powder using concentrated by-products of grape processing. Korean J. Food Preserv., 17(2):275-280 

  3. Cho Y, Choi M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pomegranate powder and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5(2):134-142 

  4. Choi EJ, Lee JE, Oh M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jelly made with various gelling agents for consumption by elderly women. Korean J. Food Cook Sci., 23(6):891-898 

  5. Choi JE, Lee JH. 2014.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y of gelatin jelly incorporated with jujube concentrate. Food Eng. Prog., 18(1):65-69 

  6. Heo JC, Woo SU, Kweon MA, Kim BB, Lee SH, Lee JM, Choi JU, Chung SK, Lee SH. 2007. Analysis of immunomodulating activities in m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kinds of grapes. Korean J. Food Preserv., 14(4):419-424 

  7. Hwang ES, Nhuan DT.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ronia (Aronia melanocarpa)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6):738-743 

  8. Hwang IK, Kim JW, Pyun JW, Han JS, Kim SH, Park CK. 2011. Well-established food science. Soohak Publishers, Seoul, Korea, p 289 

  9. Jo YG, Kim JE.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fter addition of grape-peel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822-828 

  10. Kang HS.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es of jelly prepared with black carrot (Daucus carota L.).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Korea, pp 6-7 

  11. Kang JA. 2010. A study on the visual importance of the menu of Korean royal court cuisines and the selective preference.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p 22-24 

  12. Kim GW, Lee JH, Lee SA, Shim JY. 2012. Brewing characteristics of grape-Makgeolli. Food Eng. Prog., 16(3):263-269 

  13. Kim HY, Kim MR, Koh BK. 2014. Food quality evaluation. Hyoil Publishers, Seoul, Korea. pp 178-184, 196-197. 

  14.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Properties of dietary extract from rice bran and application in bread 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502-508 

  15. Ko BS. 2001. Coloring effects on hors d'oeuvre: focused on the western dishes.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Korea, pp 71-73 

  16.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3):445-449 

  17. Lee JM. 201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lly added with different amount of Samultang. Master's degree thesis, Myongji University, Korea, pp 14-15 

  18. Lee KA, Moon BK, Hwang JY, Lee IS. 2019. Basic principle of cooking. Powerbook Publishers, Gyeonggi, Korea. pp 184-186 

  19. Lee MH, Choi EJ, Oh M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jellies with sugar derivative sweeteners for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Cult., 23(4):499-506 

  20. Lingua MS, Theumer MG, Kruzynski P, Wunderlin DA, Baroni MV. 2019. Bioaccessibility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white grape by simulated digestion and Caco-2 cell assays: Comparative study with its winemaking product. Food Res. Int., 122:496-505 

  21. Mendes JAS, Xavier AMRB, Evtuguin DV, Lopes LPC. 2013. Integrated utilization of grape skins from white grape pomaces. Industrial Crops Products, 49:286-291 

  22. Na JY. 2015. Consumer recognition and intake status of jelly-type health functional food. Master's degree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pp 1-2 

  23. Park HJ, Choi W, Park JM, Jeong C, Kim S, Yoon HS. 2017.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ew grape cultivar 'Okrang' wine in fermentation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5):622-629 

  24.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I, Lee CH, Yoon KE. 2004.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s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5):773-778 

  25. Seo JW. 2009. Wine bible. Daewang Publishers, Seoul, Korea, pp 65-66 

  26. Shin JA, Choi YM, Lee KT. 2015. ${\beta}$ -Carotene content in selected agricultural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3):418-424 

  27. Soyer Y, Koca N, Karadeniz F. 2003. Organic acid profile of Turkish white grapes and grape juices. J. Food Composition Analysis, 16(5):629-636 

  28. Yoo HJ. 201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ellies added with green tea Woojeon (Camellia sinensis L.). Master's degree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pp 1-2 

  29. Yoon HS, Jeong C, Park H, Park JM, Choi W, Kim S. 2017. Arom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rang white wines using grapes at different stages of ripening. Korean J. Food Nutr., 30(4):813-8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