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Sr)Fe(Co)O3-δ 침지법을 이용한 양극 지지형 SOFC 제조 및 출력 특성
Characterization and Fabrication of La(Sr)Fe(Co)O3-δ Infiltrated Cathode Support-Type Solid Oxide Fuel Cell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2 no.6, 2019년, pp.501 - 506  

황국진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  김민규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  김한빛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  신태호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Ni anode-supported SOFCs, various types of ceramic anodes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se ceramic anodes are difficult to commercialize because of their low cell performances and difficulty in manufacturing anode-support typed SOFCs. Therefore, in t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라믹 음극의 낮은 전도성과 세라믹 음극을 전해질 지지형 SOFC 단위전지에 적용함으로 인한 단위전지 전체의 ohmic 저항 증가를 방 지하고자 양극 지지형 SOFC 단위전지를 제조하고 음극은 니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세라믹 음극을 도포하여 단위전지를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양극 지지형 SOFC의 양극 지지체는 다공성 구조의 YSZ 전극 층에 La(Sr)Fe(Co)O3를 침지법(infiltration)을 이용하여 형성시켰으며, YSZ 전해질은 wet-chemical dipping을 적용하는 음극 지지형 SOFC 제조 공법과 동일하게 얇은 후막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극 지지형 SOFC 단위전지는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음극 지지형 SOFC 단위전지는 NiO와 YSZ (yttrium stabilized zirconia)와 같은 전해질을 혼 합한 복합전극을 음극으로 주로 사용하므로 NiO-YSZ복합 음극 지지체 위에 얇은 YSZ 전해질 코팅층을 형성 하여 단위 전지를 구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8-10]. 이런 경우 얇은 YSZ 전해질 두께로 인해 단위 전지 전 체의 ohmic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촉매 활성과 전기전 도도가 우수한 Ni을 포함한 음극 특성으로 인해 고성능 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장 수명 특성과 고내구성을 요하는 발전용 SOFC 시장 기술적 수요에 따라 음극 지지형보다 전해질이 두꺼워 높은 ohmic 저 항을 가지고 있지만 장기 내구성 확보가 용이한 전해 질 지지형 SOFC를 연구하거나 스택으로 채택하는 경 우가 늘어나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가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은? 환경문제와 수소경제의 미래 에너지 이슈에 따라 친환 경 수소연료전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3]. 특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s, SOFC)는 세라믹 소재의 전극과 전해질을 사용하여 600~ 1,000℃ 범위의 고온에서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므로 다양한 연료전지 기술 중에서 가장 발전 효 율이 높고 긴 기대수명과 수소 이외의 다양한 탄화수소 기반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 향후 대체에너지 시장에 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 다 [4-6]. 발전용 SOFC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스택을 구성하는 SOFC 단위전지의 형태는 평판형(planar type SOFC)을 주로 상용화 스택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그 제조 방식에 따라 그림 1과 같이 음극 지지형, 전 해질 지지형 그리고 양극 지지형 단위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7].
SOFC 단위전지는 제조방식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특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s, SOFC)는 세라믹 소재의 전극과 전해질을 사용하여 600~ 1,000℃ 범위의 고온에서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므로 다양한 연료전지 기술 중에서 가장 발전 효 율이 높고 긴 기대수명과 수소 이외의 다양한 탄화수소 기반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 향후 대체에너지 시장에 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 다 [4-6]. 발전용 SOFC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스택을 구성하는 SOFC 단위전지의 형태는 평판형(planar type SOFC)을 주로 상용화 스택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그 제조 방식에 따라 그림 1과 같이 음극 지지형, 전 해질 지지형 그리고 양극 지지형 단위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7]. 음극 지지형 SOFC 단위전지는 NiO와 YSZ (yttrium stabilized zirconia)와 같은 전해질을 혼 합한 복합전극을 음극으로 주로 사용하므로 NiO-YSZ복합 음극 지지체 위에 얇은 YSZ 전해질 코팅층을 형성 하여 단위 전지를 구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Z. Jacobson, W. G. Colella, and D. M. Golden, Science, 308, 1901 (2005). [DOI: https://doi.org/10.1126/science.1109157] 

  2. R. F. Service, Science, 285, 682 (1999). [DOI: https://doi.org/10.1126/science.285.5428.682] 

  3. B.C.H. Steele and A. Heinzel, Nature, 414, 345 (2001). [DOI: https://doi.org/10.1038/35104620] 

  4. B.C.H. Steele, Nature, 400, 619 (1999). [DOI: https://doi.org/10.1038/23144] 

  5. N. Q. Minh, J. Am. Ceram. Soc., 76, 563 (1993). [DOI: https://doi.org/10.1111/j.1151-2916.1993.tb03645.x] 

  6. S. C. Singhal, Solid State Ionics, 135, 305 (2000). [DOI: https://doi.org/10.1016/S0167-2738(00)00452-5] 

  7. N. Q. Ming, Solid State Ionics, 174, 271 (2004). [DOI: https://doi.org/10.1016/j.ssi.2004.07.042] 

  8. E. S. Hecht, G. K. Gupta, H. Zhu, A. M. Dean, R. J. Kee, L. Maier, and O. Deutschmann, Appl. Catal., A, 295, 40 (2005). [DOI: https://doi.org/10.1016/j.apcata.2005.08.003] 

  9. J. H. Koh, Y. S. Yoo, J. W. Park, and H. C. Lim, Solid State Ionics, 149, 157 (2002). [DOI: https://doi.org/10.1016/S0167-2738(02)00243-6] 

  10. N. M. Sammes, Y. Du, and R. Bove, J. Power Sources, 145, 428 (2005). [DOI: https://doi.org/10.1016/j.powsour.2005.01.079] 

  11. E. P. Murray, T. Tasi, and S. A. Barnett, Nature, 400, 649 (1999). [DOI: https://doi.org/10.1038/23220] 

  12. P. Huang, A. Horky, and A. Petric, J. Am. Ceram. Soc., 82, 2402 (1999). [DOI: https://doi.org/10.1111/j.1151-2916.1999.tb02096.x] 

  13. B.C.H. Steele, I. Kelly, H. Middleton, and R. Rudkin, Solid State Ionics, 28, 1547 (1988). [DOI: https://doi.org/10.1016/0167-2738(88)90417-1] 

  14. S. Mcintosh and R. J. Gorte, Chem. Rev., 104, 4845 (2004). [DOI: https://doi.org/10.1021/cr020725g] 

  15. T. Kim, G. Liu, M. Boaro, S. I. Lee, J. M. Vohs, R. J. Gorte, O. H. Al-Madhi, and B. O. Dabbousi, J. Power Sources, 155, 231 (2006). [DOI: https://doi.org/10.1016/j.powsour.2005.05.001] 

  16. S. W. Tao, J.T.S. Irvine, and J. A. Kilner, ADV. Mater., 17, 1734 (2005). [DOI: https://doi.org/10.1002/adma.200402007] 

  17. H. He, R. J. Gorte, and J. M. Vohs, Electrochem. Solid-State Lett., 8, A279 (2005). [DOI: https://doi.org/10.1149/1.1896469] 

  18. Y. H. Huang, G. Liang, M. Croft, M. Lehtimaki, M. Karppinen, and J. B. Goodenough, Chem. Mater., 21, 2319 (2009). [DOI: https://doi.org/10.1021/cm8033643] 

  19. D. Neagu and J.T.S. Irvine, Chem. Mater., 22, 5042 (2010). [DOI: https://doi.org/10.1021/cm101508w] 

  20. T. H. Shin, S. Ida, and T. Ishihara, J. Am. Chem. Soc., 133, 19399 (2011). [DOI: https://doi.org/10.1021/ja206278f] 

  21. C. Yang, Z. Yang, C. Jin, M. Liu, and F. Chen, Int. J. Hydrogen Energy, 38, 11202 (2013). [DOI: https://doi.org/10.1016/j.ijhydene.2013.06.086] 

  22. H. Kim, C. da Rosa, M. Boaro, J. M. Vohs, and R. J. Gorte, J. Am Cerm. Soc., 85, 1473 (2002). [DOI: https://doi.org/10.1111/j.1151-2916.2002.tb00299.x] 

  23. D. Neagu, G. Tsekouras, D. N. Miller, H. Menard, and J.T.S. Irvine, Nat. Chem., 5, 916 (2013). [DOI: https://doi.org/10.1038/nchem.1773] 

  24. K. J. Kim, T. H. Shin, and K. T. Lee, J. Alloys Compd., 787, 1143 (2019). [DOI: https://doi.org/10.1016/j.jallcom.2019.02.180] 

  25. Q. Huang, R. Hui, B. Wang, and J. Zhang, Electrochim. Acta, 52, 8144 (2009). [DOI: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07.05.071] 

  26. C. Korte, A. Peters, J. Janek, D.Hesse, and N. Zakharov, Phys. Chem. Chem. Phys., 10, 4623 (2008). [DOI: https://doi.org/10.1039/B801675E]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