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샘관암에서 PD-L1의 발현율 분석과 종양 표지자로서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PD-L1 expression in salivary duct carcinoma with its efficacy as a tumor marker 원문보기

대한 두경부 종양 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v.35 no.1, 2019년, pp.13 - 20  

이용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고윤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윤선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과학교실) ,  류향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과학교실) ,  김혜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신향애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Objectives: Despite multiple approaches of treatments for salivary duct carcinoma, there has been a need for more successful treatment methods because of its poor prognosis. Treatment options like immunotherapy using new technologies have been attempted. Based on recent study results i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침샘관암에서 HER2 발현과 PD-L1의 발현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침샘관암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면역표지자로서 PD-L1의 효용성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샘관암은 무엇인가? 침샘관암은 타액선 배출관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는 암종으로서, Kleinsasser 등에 의해 1968년 처음 기술된 이후 1990년대에 주로 병리학자들의 임상병리적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
침샘관암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2017년 WHO 분류에 따르면 침샘암은 20개의 조직아형으로 분류되고 침샘관암은 이중 하나로서 타액선에 발생하는 전체 악성종양 중 10% 내외를 차지하는 상대적으로 드문 암종이지만, 재발과 전이의 빈도가 많은 고악성도의 암종으로 알려져 있다. 침샘관암에서 외과적 절제술이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치료법이며 진행된 병기의 암종에 대해서는 방사선 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을 추가로 시행하게 되지만 적극적인 치료에도 예후는 비교적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항암면역치료는 어떤 치료법인가?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최근 침샘관암의 치료에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항암면역치료이다. 침샘관암의 약25-90%가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pe 2(HER2)를 발현한다는 사실과 유방도관암과 침샘관암의 조직학적 유사성에 근거하여 Herceptin®(trastuzumab)을 이용한 치료로 유의미한 생존율 차이를 발견한 연구도 있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Herceptin®(trastuzumab) 단독치료가 의미있게 예후를 개선시키지는 못한다고 보고하기도 했다.3-5)또한 HER2 음성인 환자군에 대해서 그 효과는 불분명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leinsasser O, Klein HJ, Hubner G. Salivary duct carcinoma: a group of salivary gland tumors analogous to mammary duct carcinoma. Arch Klin Exp Ohren Nasen Kehlkopfheid 1968;192:100-5. 

  2. Jaehne M, Roeser K, Jaekel T, Schepers JD, Albert N, Loning T. Clinical and immunohistologic typing of salivary duct carcinoma: a report of 50 cases. Cancer. 2005;103:2526-33. 

  3. Limaye SA, Posner MR, Krane JF, Fonfria M, Lorch JH, Dillon DA, et al. Trastuzumab for the treatment of salivary duct carcinoma. Oncologist. 2013;18:294-300. 

  4. Ryu HJ, Koh YW, Yoon SO. The implications of TrkA and MET aberrations in de novo salivary duct carcinoma. Hum Pathol. 2018;81:18-25. 

  5. Alotaibi AM, Alqarni MA, Alnobi A, Tarakji B.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neu) in salivary gland carcinomas: a review of literature. J Clin Diagn Res. 2015;9:ZE04-8 

  6. Mukaigawa T, Hayashi R, Hashimoto K, Ugumori T, Hato N, Fujii S. Programmed death ligand-1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poor disease free survival in salivary gland carcinomas. J Surg Oncol. 2016;114(1):36-43. 

  7. Chae YK, Pan A, Davis AA, Raparia K, Mohindra NA, Matsangou M, et al. Biomarkers for PD-1/PD-L1 Blockade Therapy in Non- Small-cell Lung Cancer: Is PD-L1 Expression a Good Marker for Patient Selection?. Clin Lung Cancer. 2016;17(5):350-361. 

  8. Herbst RS, Soria JC, Kowanetz M, Fine GD, Hamid O, Gordon MS, et al. Predictive correlates of response to the anti-PD-L1 antibody MPDL3280A in cancer patients. Nature. 2014;515:563-567. 

  9. Kim HR, Ha SJ, Hong MH, Heo SJ, Koh YW, Choi EC, et al. PD-L1 expression on immune cells, but not on tumor cells, is a favorable prognostic factor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Sci Rep. 2016;6:36956. 

  10. Sato F, Akiba J, Kawahara A, Naito Y, Ono T, Takase Y, et al. The expression of programed death ligand-1 could be related with unfavorable prognosis in salivary duct carcinoma. J Oral Pathol Med. 2018;47(7):683-690. 

  11. Chang H, Kim JS, Choi YJ, Cho JG, Woo JS, Kim A, et al. Overexpression of PD-L2 is associated with shorter relapse-f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Onco Targets Ther. 2017;10:2983-2992. 

  12. Harada K, Ferdous T, Ueyama Y. PD-L1 expression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BMC Cancer. 2018;18:156. 

  13. Haderlein M, Scherl C, Semrau S, Lettmaier S, Hecht M, Erber R, et al. Impact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HER2/new overexpression in salivary duct carcinoma : a monocentric clinicopathologic analysis. Strahlenther Onkol. 2017;193:961-970. 

  14. Badoual C, Hans S, Merillon N, Van Ryswick C, Ravel P, Benhamouda N, et al. PD-1-expressing tumor-infiltrating T cells are a favorable prognostic biomarker in HPV-associated head and neck cancer. Cancer Res. 2013;73:128-138. 

  15. Tsang JY, Au WL, Lo KY, Ni YB, Hlaing T, Hu J, et al. PD-L1 expression and tumor infiltrating PD-1 + lymphocytes associated with outcome in HER2 + breast cancer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2017;162:19-30. 

  16. Han J, Hong Y, Lee YS. PD-L1 expression and combined status of PD-L1/PD-1-positive tumor infiltrating mononuclear cell density predict prognosis in glioblastoma patients. J Pathol Transl Med. 2017;51:40-48. 

  17. Thompson RH, Dong H, Lohse CM, Leibovich BC, Blute ML, Cheville JC, et al. PD-1 is expressed by tumor-infiltrating immune cells and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for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 Clin Cancer Res. 2007;13:1757-1761. 

  18. Xu J, Sun HH, Fletcher CD, Hornick JL, Morgan EA, Freeman GJ, et al. Expression of programmed cell death 1 Ligands (PD-L1 and PD-L2) in Histiocytic and dendritic cell disorders. Am J Surg Pathol. 2016;40:443-453. 

  19. Choueiri TK, Fay AP, Gray KP, Callea M, Ho TH, Albiges L, et al. PD-L1 expression in non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Ann Oncol. 2014;25:2178-2184. 

  20. Garon EB, Rizvi NA, Hui R, Leighl N, Balmanoukian AS, Eder JP, et al. Pembrolizumab for the treatment of non-small-cell lung cancer. N Engl J Med. 2015;372:2018-20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