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보이차의 무기성분 특성 평가
The Evaluation of Inorganic Components with Pu-Erh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2 no.5, 2019년, pp.401 - 407  

조영만 (부산보건환경연구원) ,  정영식 ((사)한국차문화연합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inorganic components of four different Pu-erh tea species consumed in Korea. The criteria for the inorganic components was based on the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KTH) recommendations. Out of the 19 general items: potassium, manganese, silicon and fluorine were d...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와 같은 연구는 장기적으로 보이차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차 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이차의 무기성분 특히 중금속 성분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보이차의 올바른 음용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기성 발효차로 무엇이 있는가? 차는 발효정도에 따라 비 발효차(녹차)와 발효차(백차, 청차, 황차, 홍차, 흑차)로 나눌 수 있으며, 발효차에는 선 발효차(효소 발효차)와 후 발효차(미생물발효차)가 있다. 발효의 과정이 살청 이후에 진행되는 후 발효차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발효차로 황차, 보이차 등이 있고, 공기를 싫어하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발효차는 기석차, 아와반차 등이 있다(Choi MJ 2012).
발효정도에 따라 나뉘는 차의 종류는? 차는 발효정도에 따라 비 발효차(녹차)와 발효차(백차, 청차, 황차, 홍차, 흑차)로 나눌 수 있으며, 발효차에는 선 발효차(효소 발효차)와 후 발효차(미생물발효차)가 있다. 발효의 과정이 살청 이후에 진행되는 후 발효차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발효차로 황차, 보이차 등이 있고, 공기를 싫어하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발효차는 기석차, 아와반차 등이 있다(Choi MJ 2012).
중국차 중, 다이어트에 좋은 차는 무엇인가? WTO 농업 협상 체결이후 많은 중국차가 수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 보이차는 살 빼는 차, 다이어트용 차, 각종 성인병 질환에 좋다는 소문이 돌면서 많은 양이 수입되어 소비되고 있다(Kim YG 2000). 하지만 보이차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와중에 터무니없는 가격에 거래가 되기도 하고, 근거 없는 맹신 등으로 여러 부작용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An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 GS, Park YG, Seo MO. 2008.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in pu-erh tea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J Mark Stud 16:155-175 

  2. Caroline P. 2017. Reducing the dietary acid load: How a more alkaline diet benefit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J Renal Nutr 27:151-160 

  3. Cho YM, Jung YS. 2019. The evaluation and condition about good tea water. J Korean Tea Soc 25:77-81 

  4. Choi MJ. 2012. A study of the effects by fungi on product quality of pu-erh tea. Master's Thesis, Wonkwang Univ. Iksan. Korea 

  5. Hashimoto S, Fujita M, Furukawa K, Minami J. 1987. Indices of drinking water concerned with taste and health. J Ferment Technol 65:185-192 

  6. Jung YH, Han SH. 2011. Biochem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in rat kidney toxicity induced by aluminum. Korean J Food Nutr 24:28-36 

  7. Kim SJ, Yu YW, Lee JK. 2013. Cytotoxicity and protective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on cultured neuroglioma cells damaged by aluminum of dementia-induced agent.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251-256 

  8. Kim SR, Lee HJ, Kang SK, Hyun SH, Cho JY, Ma SJ, Park KH, Moon JH. 2012. Change of methyl caprate content in difference of quality degree and storage period of pu-erh tea. J Korean Tea Soc 18:50-55 

  9. Kim YG. 2000. The status and prospect of Korean green tea industry. J Korean Tea Soc 6:41-64 

  10. Kwak JM. 2014. A study of the effects by fungi on product quality of pu-erh tea. J Global Tea Cult 26:1-30 

  11. Lee SJ, Lee SE, Kim JG, Park HK. 2011. Assessment of Korean spring waters using a new mineral water index.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25:7-14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1 day nutrition ingredient standard value.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 [cited 9 September 2016] 

  13. Rosborg I, Kozisek F. 2015. Drinking Water Minerals and Mineral Balance. pp.25-102. Springer 

  14. Son GM, Bae SM, Chung JY, Shin DJ, Sung TS. 2005. Anti 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er tea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8:219-2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