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이차(Pu-erh tea)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Pu-erh tea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19 no.1, 2006년, pp.39 - 44  

소은미 (원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생명나노화학부) ,  정은주 (원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생명나노화학부) ,  신장철 (원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생명나노화학부) ,  김성현 (원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생명나노화학부) ,  백순옥 (KT&G 중앙연구소) ,  김영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특성분석센터) ,  김일광 (원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연구소, 생명나노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이차를 물로 추출하고, 항산화성 물질을 얻기위해 n-hexane, ethyl acetate(EA), butanol(BuOH)로 분획하였다. 분획은 자유라티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 측정의 두가지 방법으로 항산화활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항산화활성을 butylated hydroxyanisole(BHA), butylated hydroxytoluene(BHT) 그리고 ${\alpha}$-tocopherol 같은 비교표준 항산화제와 비교하였다. 보이차의 EA분획은 BHA와 BHT 보다 더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h-erh tea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to find antioxidative compounds. The fractions were examined on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two different method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asurement and reductive potent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Pu-erh tea를 n-hexane, EA, BuOH 등으로 추출하여 DPPH법과 환원력 측정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였다. 항산화 활성 효과가 좋은 EA 추출물을 silica gel 칼럼으로 2차, 3차 분리하고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BHA, BHT, α-tocopherol과 비교하였다.
  • n-hexane을 추출하고 남아있는 물층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ethyl acetate, butanol로 각각 추출하여 모으고,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물층도 농축하여 보관하였다. n-hexane 층에는 추출된 성분이 매우 소량이어서 주로 ethyl acetate, n-butanol, water의 농축물로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 액상으로 되어있는 보이차(pu-erh tea) 1 Kg을 증류수 1 L에 완전히 녹인 후, n-hexane 1 L를 넣어 일정 시간 동안 흔들어 분배한 다음 n-hexane 층만을 따로 모았으며, 위의 과정을 2회 반복하여 합친 것을 농축하였다. n-hexane을 추출하고 남아있는 물층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ethyl acetate, butanol로 각각 추출하여 모으고,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물층도 농축하여 보관하였다. n-hexane 층에는 추출된 성분이 매우 소량이어서 주로 ethyl acetate, n-butanol, water의 농축물로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기대되는 보이차 추출물을 칼럼상에서 분획으로 분리추출하였다. 각 분획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과 환원력(reductive potential)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비교하였다.
  • Silica gel (60Å)로 채워진 칼럼(직경 3 cm ×길이 30 cm) 상에서 EA : acetone 혼합물로 용리하면서 EA 층을 분리하였다. 각각 20개의 분획으로 분리되었는데 TLC로 확인하여 P-2-1, P-2-2, P-2-3, P-2-4의 4개 fraction으로 나누었다. P-2-1, P-2-2, P-2-3, P2-4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검색한 결과 P-2-3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기대되는 보이차 추출물을 칼럼상에서 분획으로 분리추출하였다. 각 분획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과 환원력(reductive potential)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비교하였다.
  • Pu-erh tea를 n-hexane, EA, BuOH 등으로 추출하여 DPPH법과 환원력 측정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였다. 항산화 활성 효과가 좋은 EA 추출물을 silica gel 칼럼으로 2차, 3차 분리하고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BHA, BHT, α-tocopherol과 비교하였다. 각 분획에서 환원력 측정과 DPPH법의 결과는 비슷한 경향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EA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hydrochloric acid,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sodium hydroxide, potassium ferricyanide, iron(III) chloride, linoleic acid, iron(II) chloride, ammonium thiocyanate, silica gel, αtocopherol, butylated hydroxy tolune(BHT), butylated hydroxy anisol(BHA) 등의 시약은 Sigma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원심분리기(Hanil Industrial Company)와 UV-visibl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 Spectra Max 190.)를 사용하였다.
  • 용매로 사용된 methanol(MeOH), ethanol(EtOH), chloroform, ethyl acetate(EA), butanol(BuOH), n-hexane, dimethyl sulfoxide(DMSO), ethyl ether(EE) 등은 Aldrich Co.제품을 구입하여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시료의 환원력(reductive potential) 검색은 Oyaizu11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여러 농도 범위(0.
  • 용매 추출(1차)된 시료와 기준 물질들에 대하여 DPPH법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와 EA 추출물, DPPH와 기준항산화제 그리고 DPPH 만의 uv-visible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Fig.
  •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검색은 Shimada17 방법에 따라 DPPH법으로 측정하였다. Ethanol에 녹인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H. Kim, D. S and J. D. Pack,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42-547(2004) 

  2. H. Wang, G. J. Provan and K. Helliwell, Food Chemistry, 81, 307-312(2003) 

  3. R. Macrae, R. K. Robinson, M. J. Sadler,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Academic Press, UK, 4521-4542(1993) 

  4. A. Scarbert and G. Willuamsson, J Nutr., 1302, 2073s-2085s(2000) 

  5. K. G. Lee, A. E. Mitchell, T. Shibamoto, J. Agric. Foodchem., 48, 4817-4820(2000) 

  6. K. G. Lee, T. Shibamoto, J. Agric. Foodchem., 48, 4290-4293(2000) 

  7. M. Uchiyama, M. Mihara, Anal. Biochem, 86, 271-278(1978) 

  8. M. H. Ka, E. H. Choi, H. S. Chun, K. G. Lee, J. Agric. Foodchem., 53, 4124- 4129(2005) 

  9. M. Hatanaka, K. Takahaxhi, S. Nakamura, T. Mashino, T. Bioorg. & Medeicinal chem., 13, 6763-6770(2005) 

  10. P. J. Tsai, H. P. Huang, Food Res. Intl., 37, 313-318(2004) 

  11. G. A. Spanos, R. E. Wrolstad, J. Agric. Foodchem., 38, 1565-1571(1990) 

  12.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 1079-1084(2004) 

  13. E. Roberts and D. A. Wood, Biochem. J., 49, 414-419(1951) 

  14. S. H. Choi, J. Food Sci. Technal., 33, 529-533(2001) 

  15. T. Yamamishi,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a science, Shizuoka, Japan, 1-11(1991) 

  16. M. S. Blois, Nature, 181, 1191-1202(1958) 

  17. K. Shimada, K. Fujikawa, Yahara and T. Nakamura, J. Agric. and Food Chem., 40, 945-948(1992) 

  18. M. Oayizu, Japan Journal of Nutrition, 44. 307-315(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