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나노결정 FeMnNiC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Austenite Stability of Nanocrystalline FeMnNiC Alloy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6 no.5, 2019년, pp.389 - 394  

오승진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전준협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손인진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이석재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intering process conditions on the stability of the austenite phase in the nanocrystalline Fe-5wt.%Mn-0.2wt.%C alloy. The stability and volume fraction of the austenite phase are the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소결 공정에서의 소결 유지 시간과 소결 후 냉각 속도를 제어하여 소결 공정 조건에 따른 FeMnC계 소결 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과 기계적 특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결 유지 시간과 냉각 속도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상으로의 탄소의 확산 및 고용 차이와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소결 공정 조건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 이번 연구에서는 소결 공정에서의 소결 유지 시간과 소결 후 냉각 속도를 제어하여 소결 공정 조건에 따른 FeMnC계 소결 합금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과 기계적 특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결 유지 시간과 냉각 속도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상으로의 탄소의 확산 및 고용 차이와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소결 공정 조건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가설 설정

  • 동일하게 10분을 유지한 경우에는 빠르게 냉각된 S10W 샘플의 경도가 S10A 샘플보다 낮았는데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10W 샘플의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15% 이상 높음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Fe-5Mn-0.2C 소결 합금의 경도는 소결 유지 시간이나 냉각 속도에 따른 기지의 상변화와 결정립 크기, 오스테나이트의 상 분율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생각된다. 추가적인 실험과 계산을 통해 이들 사이의 정량적인 관계 분석이 후속 연구로서 필요하다.
  •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은 결정립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결정립이 미세할수록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은 높아지게 된다. Lee 등[7]은 6 wt.
  • 상온에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Q&P강이나 TRIP강의 경우에도 임계간 열처리를 통해 C와 Mn이 페라이트 상에서 오스테나이트 상으로 확산 및 재분배되어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6]. 소결 공정에서도 소결 온도 유지 시간이나 냉각 속도에 따라 탄소의 확산이나 고용도가 달라지게 되며 그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변화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고강도강의 특성은? 최근 합금 함량을 저감 시키면서 동시에 높은 강도와 우수한 연신율 확보가 가능한 3세대 초고강도강(3rd generation advanced high strength steel)이 자동차 강판재 등의 구조 재료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1-3]. 대표적인 3세대 초고강도강인 변태유기 소성(transformation-induced plasticity, TRIP)강과 Q&P (quenching and partitioning)강 등은 기본 조성이 FeMnC계 합금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화학 조성을 조절하여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은?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은 화학 조성을 조절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5].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C, Mn, Ni 등을 첨가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어 상 온에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가 남아있게 된다. 특히 탄소는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원소로 오스테나이트 격자 내에 고용되면 열역학적으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냉각시 마르텐사이트 시작(martensite start, MS) 온도를 낮춘다.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탄소를 첨가하였을때 어떻게 되는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C, Mn, Ni 등을 첨가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어 상 온에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가 남아있게 된다. 특히 탄소는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원소로 오스테나이트 격자 내에 고용되면 열역학적으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냉각시 마르텐사이트 시작(martensite start, MS) 온도를 낮춘다. 상온에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Q&P강이나 TRIP강의 경우에도 임계간 열처리를 통해 C와 Mn이 페라이트 상에서 오스테나이트 상으로 확산 및 재분배되어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R. L. Miller: Metall. Mater. Trans. B, 3 (1972) 905. 

  2. S. Lee, S.-J. Lee, S. S. Kumar, K. Lee and B. C. De Cooman: Metall. Mater. Trans. A, 42 (2011) 3638. 

  3. J. M. Torralba, A. Navarro and M. Campos: Mater. Sci. Eng., A, 573 (2013) 253. 

  4. G. Frommeyer, U. Brux and P. Neumann: ISIJ Int., 43 (2003) 438. 

  5. S.-J. Lee, S. Lee and B. C. De Cooman: Scr. Mater., 64 (2011) 649. 

  6. K. Kim and S.-J. Lee: Mater. Sci. Eng., A, 698 (2017) 183. 

  7. S.-J. Lee, S. Lee and B. C. De Cooman: Int. J. Mater. Res., 104 (2013) 423. 

  8. S.-J. Oh, D. Park, K. Kim, I.-J. Shon and S.-J. Lee: Mater. Sci. Eng., A, 725 (2018) 382. 

  9. S.-J. Oh, I.-J. Shon and S.-J. Le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5 (2018) 126. 

  10. C. Kuhrt and L. Schultz: J. Appl. Phys., 73 (1993) 1975. 

  11. G. K. Williamson and W. H. Hall: Acta Metall., 1 (1953) 22. 

  12. I. Mobasherpour, A. A. Tofigh and M. Ebrahimi: Mater. Chem. Phys., 138 (2013) 535. 

  13. B. L. Averbach and M. Cohen: Trans. AIME., 176 (1948) 401. 

  14. H. Luo, J. Shi, C. Wang, W. Cao, X. Sun and H. Dong: Acta Mater., 59 (2011) 4002. 

  15. I. Seki and K. Nagata: ISIJ Int., 45 (2005) 1789. 

  16. F. Martin, C. Garcia, Y. Blanco and M. L. Rodriguez-Mendez: Mater. Sci. Eng., A, 642 (2015) 3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