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경영자의 병원경영진단 지표에 관한 인식과 요구도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Hospital Management Diagnoses Indicator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3, 2019년, pp.1 - 12  

박재우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컨설팅연구소) ,  황병덕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hospital management diagnosis status and basic data requir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hospital management diagnosis program.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administrative staff of manager level or over of medical institu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있어서 경영의사결정권이 있는 과장급 이상 병원경영자를 대상으로 병원경영진단에 관련된 각종 지표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를 파악하고 병원경영진단 각 지표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더불어 의사결정자인 경영자의 정확한 경영지표 분석 및 활용 능력은 한 조직의 성과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경영에 있어 과학적인 경영분석기법의 적용을 위해 병원경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과장급 이상 병원경영자들의 병원경영진단 항목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고, 경영 의사결정권이 있는 과장급 이상의 병원경영자를 대상으로 병원경영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병원경영분석의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중점 사항으로 설정하였다. 즉, 본 연구는 병원의 경영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병원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현재의 병원경영 실태를 진단할 수 있는 병원경영관련 요인에 대하여 얼마나 인식하고 있고 어떠한 요구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병원경영활동에 있어서 실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고, 경영 의사결정권이 있는 과장급 이상의 병원경영자를 대상으로 병원경영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병원경영분석의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중점 사항으로 설정하였다. 즉, 본 연구는 병원의 경영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병원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현재의 병원경영 실태를 진단할 수 있는 병원경영관련 요인에 대하여 얼마나 인식하고 있고 어떠한 요구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병원경영활동에 있어서 실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B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들의 과장급 이상에 해당하는 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각 요양기관별로 1명의 응답자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정력 0.90, effect size 0.3, 유의수준 0.5를 적용하여 산출한 결과 87명으로 나타났으나 응답에 응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여 20부를 추가하여 배분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9년 02월 01일부터 03월 31일까지 59일간 하였고, 최종대상자는 응답이 부실한 4명을 제외한 103명(회수율: 9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경영에서의 전문성이 더욱 필요하게 된 이유는? 의료기관의 양극화 현상은 병원을 경영하는데 있어서 전문적인 병원경영의 필요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 의료기관들은 부도가 나거나 폐업에 이르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른 첨단 의료장비의 도입 등의 과도한 시설투자 경쟁과 해외환자 유치를 위한 비용지출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병원경영에서의 전문성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실제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의료기관의 경영실패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지만, 현재는 매해 2,000개 이상의 의료기관이 폐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2][3].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발생한 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우리나라 의료환경은 1989년에 시작한 전 국민 의료보험제도와 급속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국민소득의 향상과 공급자 주도 시장(supplier's market)이 가능한 의료서비스의 특성으로 의료기관들은 그동안 큰 어려움 없이 양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는데 의료수요는 과거와 같이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동시에 소비자가 의료서비스의 질적 부분을 중요하게 고려하기 시작하였고, 대형병원으로의 환자가 집중되는 의료기관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었다[1].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문재인 케어’가 병원 입장에서 단점은? 이는 국민들의 의료 보장성 강화 및 가계 의료비 지출 감소 등의 긍정적인 부분이 크다. 하지만 병원경영의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낮은 의료진입 문턱으로 인한 대형병원 쏠림현상 가속화, 비급여 항목의 축소에 따른 의료수익 감소 등의 부정적인 측면들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 즉, 2018년 7월 전북 익산에서 발생한 응급실 진료의사 폭행사건, 12월 발생한 임세원 교수 피살사건 등으로 의료법에서 강화된 인력 및 시설에 대한 재정 투입은 병원경영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전문적인 병원경영이 더욱 필요해 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H. Yang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Business Performance of University Hospitals for the Past 10 Yea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2);13-25. 

  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losure of Medical Institution(2009-2018). 

  3. J.Y. Moon (2015), An Epirical Study of the Strategy Development and Deployment Effects on the Hospital Management and Hospital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6(6);57-63. 

  4. J.H. Yang, D.M. Jang, C.J. Suh(2010), The Determinants of the Profitability of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ospital Management, Vol.15(4);43-62. 

  5. J.W. LEE(2017), Financial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Efficiency Evaluation of Regional Publ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4);614-623. 

  6. K.H. Kwon, D.Y. KIM, D.Y. Choi(2017), The Analysis of the Impact Factors in Hospital's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 Trade, Vol.30(1);105-122. 

  7. Y.S. Kim, W.C. LEE(2017), Efficiency Analysis of Oriental Hospital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5);59-67. 

  8. S.M. Kim, H.J. Lee, D.W. Lee(2016). Review on Interchangeability between Efficiency Ranking and Profitability Ranking in Public Medical Center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ospital Management, Vol.21(1);43-50. 

  9. J.H. Yang, J.W. Lee(2017),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Local Public Hospital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3);1-11. 

  10. J.H. Yang(2016), A Comparative Analysis of Business Performance of University Hospitals for the Past 10 Year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3);13-25. 

  11. J.W. Lee(2017), Comparative Analysis of Financial Performance between Metropolitan General Hospitals and Non-metropolitan General Hospital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1);11-25. 

  12. D.H. Yang, H.G. Kam(2015), Understanding Hospital Management Analysis, Cheongram Books, p.8. 

  13. Y.M. Kim, E.H. Lee(2007), How Much Do CEOs Matter in Explaining Firm Performance?: Analyses of the Companies Listed in Korean Stock Exchang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Vol.15(2);193-237. 

  14. J.J. Kim, K.K. Park(2007), The Relation between Performance-Based HR System Changes and Firm Performance Associated with CEO Succession,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Vol.31(4);25-48. 

  15. S.Y. Ahn(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EO's Role and Effectiveness in Hospital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0(4);1,775-1,795. 

  16. R. Choi, B.D. Hwang, J.Y. Park(2010), Weight of Role according to Job Position for Hospital Manag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0(1); 295-304. 

  17. M.D. Kong(2012), Influence of Competencies the Performance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tructure, Inje University, doctor's thesis, pp.4-14. 

  18. M.Y. Pyeon, K.H. Choe(2011),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CEO Changes And Firm Performance: Professional CEOs vs. Owner CEOs, The Journal of Productivity, Vol.25(4);75-102. 

  19. H.Y. Park, S.B. Chun(2017), CEO Characteristics and Firms' Disclosure Behaviors: Focusing on MD&A Disclosure, Korean Journal of Accoungting Review, Vol.42(4);221-271. 

  20. S.W. Hwang, J.K. Kang(2011),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K-IFRS and the Hospital Accounting Systems Revision,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Vol.5(1);15-22. 

  2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9), Medical Law. 

  22. Y.G. Choi(2012), The Effect of CEO's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on IPO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5(2);1197-1217. 

  23. C.H. Moon(2012), The Performance Consequences of Aligning CEO Characteristics with Competitive Strategy in Korean Manufacturing Venture Firm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5(8);3,335-3,355. 

  24. J.I. Suh, H.W. Jang(2010), CEO Characteristics and Firm R&D Investment: The Moderating Role of TMT Characteristics and Ownership Structure, Korean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Society Information, Vol.13(1);29-49. 

  25. J.H. Park, Y.M. Kim(2015), The Effects of CEO and TMT Characteristic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s, Korean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Society Information, Vol.18(2);45-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