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academic research trends and the change of patterns by analyzing researches related to hospital management registered in Korea Citation Index(KCI) from 2010 to 2014 and offers basic information for interests and future research demands in the field of hospital management As re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최근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병원경영 관련 논문들의 연구주제들을 분석함으로서 학문적 연구경향을 구명하고 향후 병원경영 연구동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최근 5년간 병원경영 관련 논문 694편을 중심으로, 학문적 연구 경향 및 연구흐름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병원경영 관련 분야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수행되었다.
  • 이 연구는 2010년부터 최근 5년간 병원경영 관련 논문 694편을 중심으로 연구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병원경영 논문의 주요 저자 특성들을 연도별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 학술지별 게재 현황을 분석하였을 때 국내에서 병원경영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병원경영학회지였으며 산학기술이나 디자인, 건축분야 학회지에 대해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빠르게 증가하였다.
  • 이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대상으로 병원 경영 관련 논문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고 병원경영분야 전반에 걸친 연구흐름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서, 향후 병원경영 분야의 연구방향 설정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몇 가지 제한점들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병원경영이 갖는 특이성은 무엇인가? Lee & Min[1]는 1997년 IMF 위기를 겪는 동안 병원 산업, 의약분업, 의료기관 평가 도입 등 다양한 정책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수익성이 악화되고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선진 병원경영 진입기에 접어든 현재 시점에서 병원 경영의 중요성과 전문화 경향이 뚜렷함을 지적하고 있다. 한국의 병원경영은 공보험체계하의 경영이기 때문에 시장 경쟁하의 타 분야 산업보다도 정책이 각 국가마다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외국 병원의 선진화된 경영이론과 이슈를 국내 의료현실에 맞게 재해석하고 보완해야 하는 특이성을 안고 있다.
병원경영 연구주제들의 동향을 살펴봄이 미래방향 예측을 위한 좋은 실증적 자료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따라서 병원 정책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고 적응해가야하는 병원입장에서 다양한 현장 이슈를 체계화하는 한편, 선진이론을 현장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산학 협력적인 연구들이 요구되기도 하고, 국제적으로 또는 타분야의 새로운 혁신과 경험사례를 병원에 창의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 수요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병원경영 연구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현장에서의 경영 관심사와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는 이론적 욕구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간 병원경영 연구주제들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 병원경영의 변천과 경영활동의 미래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실증적 자료가 될 수 있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병원경영 관련 논문들의 연구 주제를 분석하여 학문적 연구경향을 구명하려는 배경은 무엇인가? 국내, 병원경영분야에서는 환자만족도나 직무만족도, 경영성과, 의료마케팅, 전략경영 등 병원 내·외부 환경 간의 인과간계를 분석한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경향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 수행된 바 없어, 전체적인 맥락과 패러다임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는 기초 정보가 부재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ee HJ, Min IS. Review of Hospital Management Trend with Health Care Policy. Korean J Hosp Manag 2015;20th special edition:42-51. 

  2. Ha S. Research Trends Analysis of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Health Policy fro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 Korea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1. 

  3. Kim YH. The Trends of the Hospital Administration. Crisisonomy 2013;9(9):197-210. 

  4. Choi YJ. A Study on Recent Trends of Health Services Research in Korea. Health Policy Manag 2001;11(4):129-152. 

  5. Kim CB, Rhee JA, Park JK, Sohn SJ. Trends of Preventive Medicine Research according to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on Articles of Lead Poisoning. Korean J Prev Med 1999;32(2): 113-122. 

  6. Ha EH, Park HS, Kim YB, Song HJ. Trends of Study and Classification of Reference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n Korea after Liberation. Korean J Prev Med 1995;28(4):809-844. 

  7. Kim CY, Lee YS, Kang CW, Yoo KY, Kang GW, Ha BM, et al. Analysis of the Abstracts of Cancer Related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1996 in Korea. Korean J Prev Med 2001;34(3):200-210. 

  8. Koh MS, Ha NS. Review of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and its research trends. J Korean Acd Nurs Admin 2001;7(3):561-569. 

  9. Kim JK, Jung MS, Jang KS, Jim JH, Kim EK, Lee HJ, et al.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for 3 Years(2007-2009). J Korean Acd Nurs Admin 2010;16(4):517-526. 

  10. Seomun GA, Koh MS, Kim IA. Classification of Keywords of the Papers fro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2006). J Korean Acd Nurs Admin 2007; 13(1):118-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