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D 보광이 딸기 두 품종의 성숙도에 따른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LEDs on the Fruit Quality of Two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ultivars due to Ripening Level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8 no.4, 2019년, pp.302 - 310  

최효길 (공주대학교 원예학과) ,  정호정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딸기(Fragaria ${\times}$ ananassa Duch.) 두 품종인 대왕과 설향을 LED 조명으로 일몰 후부터 6시간 동안 2018년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야간 보광 처리한 후, 각각 50%와 100% 착색되었을 때, 과실을 수확하여 딸기 과실의 경도, 식물화합물 및 항산화 활력을 측정하여 LED 광과 성숙도에 따른 과실 품질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딸기 과일의 경도에서는, 두 품종 모두 적색 LED를 보광했을 때, 50%뿐만 아니라 100% 익은 과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당도 또한 50% 착색된 과실을 비교한 경우, 적색 LED 광이 품종 모두에서 다른 광처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딸기의 산도에서는 LED 광 처리구보다는 대조구에서 50%뿐만 아니라 100% 착색된 과실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페놀화합물의 경우, LED 광을 처리한 딸기보다는 대조구 상태에서 생육한 딸기 과실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와 안토시아닌 함량에서는 LED 광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식물화합물의 경우는 LED 광보다는 익어가면서 성숙도에 따라 그 함량의 변화가 달라지는 경향이 크다. 또한, DPPH 및 ABTS 항산화능의 경우는 성숙도 및 LED 보광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과실의 당도와 유통 측면에서는, LED 보광이 충분히 과실 품질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Ds on the fruit qualities of two strawberry (Fragaria ${\times}$ ananassa Duch.) cultivars such as hardnes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strawberry fruits, which were harvested by 50% and 100% ripening leve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수경재배 방식을 딸기 재배에 채택하여, 겨울철 부족한 일조량을 충족하기 위해서 작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적색, 청색 및 적·정 혼합 LED 광을 보조 광원으로 이용하여 딸기를 재배한 후, 50% 착색된 딸기 과실과 100% 착색된 딸기 과실을 각각 수확하여 과실의 경도, 당도, 산도, 페놀화합물 함량,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와 ABTS 활성을 측정하여, LED 보광이 딸기 과실의 익어가는 수준에서 과실 품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두 품종인 대왕과 설향을 LED 조명으로 일몰 후부터 6시간 동안 2018년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야간 보광 처리한 후, 각각 50%와 100% 착색되었을 때, 과실을 수확하여 딸기 과실의 경도, 식물화합물 및 항산화 활력을 측정하여 LED 광과 성숙도에 따른 과실 품질변화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의 항산화 물질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딸기는 페놀화합물,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같은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하여 성인병 및 활성 산소에 따른 다양한 질병들을 예방하는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Amatori 등, 2016; Gasparrini 등, 2017; Patras 등,2009). 이러한 인체에 유익한 딸기의 다양한 항산화 성분은 LED 보광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나타나며(Choi 등, 2013), 딸기의 성숙 단계에 따른 차이도 크다(Ge 등, 2019). 또한, 품종에 따른 과실의 품질 특성 차이가 크며(Cordenunsi 등, 2002), 딸기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당도, 산도 및 당산도는 성숙과정에서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hman, 2016).
2017년 딸기 생산 시, 수경 재배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채소작물 중 생산액이 가장 높은 딸기는 대부분 플라스틱 하우스 내에서 토경 또는 수경 재배한다. 딸기 수경 재배는 2002년 5ha에서 2017년 1,575ha로 15년 사이 315배로 급격하게 늘어나 전체 딸기 재배 면적의 26% 차지하고 있다(Yoon, 2017). 최근 원예작물의 다수확 및 이상기상 극복을 위해 다양한 환경 제어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딸기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은? 딸기는 페놀화합물,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같은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하여 성인병 및 활성 산소에 따른 다양한 질병들을 예방하는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Amatori 등, 2016; Gasparrini 등, 2017; Patras 등,2009). 이러한 인체에 유익한 딸기의 다양한 항산화 성분은 LED 보광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나타나며(Choi 등, 2013), 딸기의 성숙 단계에 따른 차이도 크다(Ge 등,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med, A.E., and J.M. Labavitch. 1980. Cell wall metabolism in ripening fruit. 1. cell wall changes in the ripening 'Bartlett' pears. Plants Physiol. 65:1009-1013. 

  2. Amatori, S., L. Mazzoni, J.M. Alvarez-Suarez, F. Giampieri, M. Gasparini, T.Y. Forbes-Hernandez, S. Afrin, A.E, Provenzano, G. Persico, B. Mezzetti, A. Amici, M. Fanelli, and M. Battino. 2016. Polyphenol-rich strawberry extract(PRSE) shows in vitro and in vivo biological activity against invasive breast cancer cells. Scientific Reports 6:30917. 

  3. An, C.G., Y.H. Hwang, J.U. An, H.S. Yoon, Y.H, Chang, G.M. Shon, and S.J. Hwang. 2011.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on growth of paprika (Capsicum annuum Cupra). J. Bio-Environment Control 20:253-257 (in Korean). 

  4. Bae, J.H., S.O. Yu, Y.M. Kim, S.U. Chon, B.W. Kim, and B.G. Heo.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their hyperplasia inhibition activity of cancer cell. J. Bio-Environment Control 67:67-73 (in Korean). 

  5. Cheng, G.W., and P.J. Breen. 1991. Activity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nd concentrations of anthocyanins and phenolics in developing strawberry fruit. J. Amer. Soc. Hort. Sci. 116:865-869. 

  6. Choi, H.G., J.K. Kwon, B.Y. Moon, N.J. Kang, K.S. Park, M.W. Cho, and Y.C. Kim. 2013. Effect of diffe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phytochemical production of strawberry fruits during cultivation. Korean J. Horti. Sci. Technol. 31:56-64 (in Korean). 

  7. Choi, H.G., B.Y. Moon, and N.J. Kang. 2015. Effects of LED light on the production of strawberry during cultivation in a plastic greenhouse and in a growth chamber. Scientia Horticulturae 189:22-31. 

  8. Choi, H.G., H.J. Jong, G.L. Choi, S.H. Choi, S.C. Chae, S.W. Ann, H.K. Kang, and N.J. Kang. 2018. Effects of supplemental LED lighting on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grown on the bottom bed of the two-bed bench system.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7:199-205 (in Korean). 

  9. Cordenunsi, B.R., J.R. Oliveira do Nascimento, M.I. Genovese, and F.M. Lajolo. 2002. Influence of cultivar on quality parameter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trawberry fruits grown in Brazil. Jounal Agri. Food Chemi. 5:2581-2586. 

  10. Gasparini, M., T.Y. Forbes-Hemandez, S. Afrin, P. Reboredo- Rodriguesz, D. Cianciosi, B. Mezzetti, J.L. Quiles, S. Bompadre, M. Battino, and F. Giampieri. 2017. Strawberry-based cosmetic formulations protect human dermal fibroblasts against UVA-induced damage. Nutrients 9:605. 

  11. Ge, C., Y. Luo, F. Mo. Y.H. Xiao, N.Y. Li, and H.R. Tang. 2019. Effects of glutathione on the pipening quality of strawberry fruits. AIP Confernce Proceedings Vol. 2079, 020013:1-5. 

  12. Hidaka, K., K. Dan, H. Imanura, Y. Miyoshi, T. Tkayama, K. Sameshima, M. Kitano, and M. Okimura. 2013.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from different light sources on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Environ. Control. Biol. 51:41-47. 

  13. Huang, J.Y., F. Xu, and W. Zhou. 2018. Effect of LED irradiation on the ripening and nutritional quality of postharvest banana fruit. J. Scil. Food. Agric. 98:5486-5493. 

  14. Ishikura, N., S. Hayashida, and K. Tazaki. 1984. Biosynthesis of galic and ellagic acids with 14C-labeled compounds in Acer and Rhus leaves. Bet. Msg. Toyo 97:355-367. 

  15. Kang, S.B., Y.Y. Song, M.Y. Park, and H.J. Kweon. 2013. Effect of red and far-red LEDs on the fruit quality of 'Hongro'/M.26 apple. Korean J. Environ. Agic. 32:42-47. 

  16. Kang, W.H., F. Zhang, J.W. Lee, and J.E. Son. 2016. Improvement of canopy light distribution,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lettuce (Latuca Sativa L) in plant factory conditions by using filters to diffuse light from LEDs. Korean J. Horti. Sci. Technol. 34:84-93 (in Korean). 

  17. Lee, J.E., Y.S. Shing, J.O. Cheung, H.W. Do, and Y.H Kang. 2015. Effect of LED light sources and their installation method on th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4:106-112 (in Korean). 

  18. Ministry, A.F.R.A. 2017. Status of vegetable protected greenhouse and vegetables production of 2016 in Korea.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yearbook. web page; http://library.mafra.go.kr/skyblueimage/9872.pdf. 

  19. Nadalini, S., P. Zucchi, and C. Andreotti. 2017. Effects of blue and red LED lights on soilless cultivated strawberry growth performances and fruit quality. Eur. J. Hortic. Sci. 82:12-20. 

  20. Najera, C., J.L. Guil-Guerrero, L.J. Enriquez, J.E. Alvaro, and M. Urrestarazu. 2018. LED-enhanced dietary and organoleptic qualities in postharvest tomato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145:151-156. 

  21. Patras, A., N.P. Brunton, S. Da-Pieve, and F. Butler. 2009. Impa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otal antioxidant activity, phenolic, ascorbic acid, anthocyanin content and colour of strawberry and blackberry purees.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10:308-313. 

  22. Rahman, M.M. 2016. Determination of maturity indices of strawberry in Dhaka, Bangladesh. Bangladesh J. Bot. 45:1127-1134. 

  23. Ruiz, A., M. Sanhueza, F. Gomez, G. Tereucan, T. Valenzuela, S. Garcia, P. Cornejo, and I. Hermosin-Gutierrez. 2018. Changes in the content of anthocyanins, flavo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Fragaria ananassa var. Camarosa fruits under traditional and organic fertilization. J. Sci. Food Agric. 99:2404-2410. 

  24. Tonutare, T., U. Moor, and L. Szajdak. 2014. Strawberry anthocyanin determination by pH differential spectroscopic method-How to get ture results? Acta Sci. Pol., Hortorum Cultus 13:35-47. 

  25. Yoon, H.S. 2017. Today and tomorrow of strawberry hydroponics. News Gyeongnam Column. http://www.newsgn.com/sub_read.html?uid185962§ionsc8§ion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