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광도포제 처리에 의한 포도 비가림 시설 하부 온도의 변화
Temperature Changes under Plastic Film Rain Shelter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Shading Paint in Vineyard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8 no.4, 2019년, pp.328 - 334  

정성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  허윤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임동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정경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광도포제 처리는 시설하우스 내부의 고온 제어를 위한 유용한 관리 방법 중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포도과원에 설치된 비가림 시설은 강우를 방지하여 병 발생을 예방하는 독특한 시설로 여름철 고온 피해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본 시험에서는 포도 비가림 시설 아래의 과도한 고온을 회피하기 위해 차광도포제의 농도를 달리하여 비가림 비닐 외부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35% 차광도포제 처리는 비가림 비닐 아래의 PPFD (광합성 광양자 자속 밀도)의 45%를 감소시켰다. 또한 35% 차광도포제 처리는 무처리 대비 과방부위 온도를 $2^{\circ}C$를 낮추는 결과를 나타냈다. 차광도포제 처리는 포도비가림 시설에서 유의하게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주변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제어 할 수는 없었다. 자연적으로 제거되는 35% 차광도포제 처리는 우리나라의 포도 비가림 시설내의 여름철 과도한 열 손상과 과일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ading paint (water-soluble) is one of the temperature control agents inside of a greenhouse in summer. Plastic film rain shelter is a unique system in Korean, prevents disease development vineyards, but it causes the heat inside a shelter in summer. Shading paint treatment with different shading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포도 비가림 시설은 강우를 방지하여 병을 물리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설이지만, 여름철 비가림 내부의 온도 상승은 피할 수 없다(Kim 등, 2015). 따라서 본 시험을 통해 포도 비가림 시설에 차광도포제 처리시 온도감소 효과를 조사하여 포도 비가림 시설과 같은 밀폐되지 않은 시설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의 엽소와 축과 증상이란 무엇인가? , 2007, Tarara 등, 2008). 이와 같은 직접 적인 과실특성에 대한 피해 이외에도 우리나라에서 다발하는 고온피해로는 엽소와 축과 증상이 대표적으로 나타나는데, 포도의 엽소와 축과 증상은 일시적으로 증산량이 증가할 때 잎, 과실에서 수분을 빼앗겨 발생하는 증상이다(RDA, 2018). 여름철 고온으로 인하여 갑자기 늘어난 증산량 보충을 위해 농가에서는 포도과원의 일일 관수량을 늘리게 된다.
포도의 엽소와 축과현상의 근본적인 원인과 이 현상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이때 토양배수가 불량한 포도과 원의 경우, 뿌리의 호흡불량으로 관수량을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지상부에 충분한 수분공급이 어려워 엽소와 축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며, 배수불량 과원에서는 매년 빈발하는 생리장해이다. 이러한 증상의 원인은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증산량의 증가인데 시설재배가 아닌 노지의 비가림재배 포도과원에서도 여름철 온도 상승과 답 전환과원의 증가로 이러한 증상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노지 비가림 시설에서 비가림 내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고온으로 인한 축과, 엽소와 같은 온도관련 생리장해는 물론 과실품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차광도포제 처리를 하는 이유는? 백색수성페인트와 같은 차광도포제를 처리하는 방법은 온실의 열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온도관리 방법 중 하나이다(Baille 등, 2001). 수성페 인트의 경우 그 효과가 유리, 비닐을 통해 투과되는 광량에 영향을 주고(Cohen 등, 2005), 특히 NIR 영역뿐만 아니라 식물에 유효한 400nm ~ 700nm의 영역도 같이 투과량이 감소하므로(Elsner, 2005) 작물의 생육, 형태에 영향을 준다(Li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ille, A., C. Kittasand, and N. Katsoulas. 2001. Influence of whitening on greenhouse microclimate and crop energy partitioning. Agric. For. Meteorol. 107: 293-306. 

  2. Carreno, J., A. Martinez, L. Almela, and J.A. Fernandez- Lopez. 1995. Proposal of an index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color of red table grapes. Food Res. Int. 28:373-377. 

  3. Cartechini A. and A. Palliotti. 1995. Effect of shading on vine morphology and productivity and leaf gas exchange characteristics in grapevines in the field. Am. J. Enol. Vitic. 46: 227-234. 

  4. Chavarria, G., H.P. Dos Santos, L.A.S. De Castro, G.A.B. Marodin, and H. Bergamaschi. 2012. Anatomy, 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tic potential in grapevine leaves under plastic cover. Rev. Bras, Fruitic. Jaboticabal. 34:661-668. 

  5. Cohen, S., E. Raveh, Y. Li, A. Grava, and E.E. Goldschmidt. 2005. Physiological responses of leaves, tree growth and fruit yield of grapefruit trees under reflective shade screens. Sci. Hortic. 107: 25-35. 

  6. Downey, M.O., N.K. Dokoozlian, and M.P. Kristic. 2006. Cultural practice and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flavonoid composition of grapes and wine. Am. J. Enol. Vitic. 57:257-268. 

  7. Elsner, B.V. 2005. Interference pigments in photo selective shading paint for greenhouses. Acta Hortic. 711:417-422. 

  8. Greer, D.H. and C. Weston. 2010. Heat stress affects flowering, berry growth, sugar accumulation and photosynthesis of Vitis vinifera cv. Semillon grapevines grown in a controlled environment. Funct. Plant Biol. 37: 206-214. 

  9. Gu, S., P.B. Lombard, and S.F. Price. 1996. Effect of shading and nitrogen source on growth, tissue ammonium and nitrate status, and inflorescence necrosis in Pinot Noir grapevines. Am. J. Enol. Vitic 47:173-180. 

  10. Heuvel, J.E.V., J.T.A Proctor, K.H. Fisher and J.A. Sullivan. 2004. Shading affects morphology dry matter partitioning and photosynthetic response of greenhouse grown Chardonnay grapevines - Hortscience 39:65-70. 

  11.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 pp. 

  12. Jung, S.M., E.H. Chang, S.J. Park, S.T. Jeong, J.H. Roh, Y.Y. Hur, and H.C. Lee. 2010. Berry thinning effects on the fruit and wine quality of grape 'Muscat Bailey A'. Korean J. Food Preserv. 17: 625-630. (in Korean) 

  13. Kim, S.J., S.J. Park, Y.Y. Hur, J.C. Nam, S.W. Ko, and S.M. Jung. 2015. Fruit quality and occurrence of brown leaf spot disease (Pseudocercospora vitis) according to the width of plastic shelter in the grape 'Campbell Early'. Protected Hort. Plant Fac. 24:113-118. (in Korean) 

  14. Kliewer, W.M., and L.A. Lider. 1968. Influence of cluster exposure to the sun on the composition of Thompson Seedless fruit. Am. J. Enol. Vitic. 19:175-284. 

  15.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The prospect report of climate change in Korean peninsula. (In Korean) 

  16. Koshita, Y., T. Asakura, H. Fukuda, and Y. Tsuchida. 2007. Nighttime temperature treatment of fruit clusters of ‘Aki Queen’ grapes during maturation and its effect on the skin color and abscisic acid content. Vitis 46:208-209. 

  17. Lee, J.C., J.H. Kim, C.J. Yun, and M.D. Cho. 1999. Studies on standardization in cultivation under shelter for improvement of grape fruit quality. Research report. Chungnam Univ.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in Korean) 

  18. Lee, J.H., J.K. Kwon, Y.J. Ham, M.R. Yun, K.S. Park, H.G. Choi, K.H. Yeo, J.S. Lee, and B. Khoshimkhujaev. 2016. Effects of white wash coating agent on the growth of strawberry seedlings in plastic greenhouses. Protected Hort. and Plant Factory, 25: 249-254. (in Korean) 

  19. Li, H., D. Jiang, B. Woolenweber, T. Dai, and W. Cao. 2010. Effects of shading on morphology, physiology and grain yield of winter wheat. Eur. J. Agron. 33: 267-275. 

  20. McCree K.J. 1966. A solarimeter for measuring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gric Meteorol. 3:353-366. 

  21. McCree K.J. 1972. Test of current definitions on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gric Meteorol 10:443-453. 

  22. Mori, K., N. Goto-Yamamoto, M. Kitayama, and K. Hashizume. 2007. Loss of anthocyanins in red-wine grape under high temperature. J. Exp. Bot. 58:1035-1945. 

  23. Mori, K., S. Sugaya, and H. Gemma. 2005. Decreased anthocyanin biosynthesis in grape berries grown under elevated night temperature condition. Sci. Hortic. 105:319-330. 

  24. Park, C.Y., Y.E. Choi, Y.A. Kwon, J.I. Kwon, and H.S. Lee. 2013. Studies on changes and future projections of subtropical climate zones and extreme temperature events over South Korea using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PRID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9:600-614. (in Korean) 

  25. Perez, J. and W.M. Kliewer. 1990. Effect of shading on bud necrosis and bud fruitfulness of Thompson Seedless grapevines. Am. J. Enol. Vitic 41:168-175. 

  26. Pillet, J., A. Egert, P. Pieri, F. Lecourieux, C. Kappel, J. Charon, E. Gomes, F. Keller, S. Delrot, and D. Lecourieux. 2012. VvGOLS1 and VvHsfA2 are involved in the heat stress responses in grapevine berries. Plant Cell Physiol. 53:1776-1792. 

  27. RDA. 2018. Cultural practices for produce grape. Guideline for agricultural technology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si, Jeollabuk-do, Republic of Korea. 

  28. Smart, R.E. and T.R. Sinclair. 1976. Solar heating of grape berries and other spherical fruit. Agric. Meterorol. 17:241-259. 

  29. Spayd, S.E., J.M. Tarara. D.L. Mee, and J.C. Ferguson. 2002. Separation of sunlight and temperature effects on the composition of Vitis vinifera cv. Merlot berries. Am. J. Enol. Vitic. 53:171-182. 

  30. Tarara, J.M., J. Lee, S.E. Spayd, and C.F. Scagel. 2008. Berry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lter acylation, proportion and concentration of anthocyanin in Merlot grapes. Am. J. Enol. Vitic. 59:235-247.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