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재휴면기 온도처리가 사과 '홍로' 와 '후지'의 발아와 내부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s on Germination and Internal Compositions of 'Hongro' and 'Fuji' Apple Trees during Endodormancy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8 no.4, 2019년, pp.352 - 357  

조정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류수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이슬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한점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정재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과나무 '홍로'와 '후지'의 내재휴면 기간 중 휴면타파에 유효한 한계온도 범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저온 축적에 의한 내재휴면 타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 처리구별로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홍로' $-5^{\circ}C$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지'의 온도 처리구별 발아율은 $-5^{\circ}C$ 처리구에서도 86.3%로 휴면이 타파되었다. 탄수화물과 무기성분의 변화는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 일정한 경향이나 특이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유리당 분석 결과 sorbitol 함량은 휴면 타파 여부에 따라 휴면이 타파되지 않은 '홍로' $-5^{\circ}C$ 처리구의 경우 29.62m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휴면이 타파된 것으로 판단되는 처리구는 낮은 수준이였다. 호르몬 분석결과 휴면이 타파되지 않은 '홍로' $-5^{\circ}C$ 처리구의 경우 ABA (abscisic acid)와 JA (jasmonic acid)는 각각 176.48, 15.72ng/g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휴면이 타파된 것으로 나타난'후지'의 경우 ABA, JA, SA(salicylic acid) 함량이 '홍로' 품종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휴면 타파에 유효한 한계온도 범위는 품종에 따라 다르며 '홍로'는 $-5^{\circ}C$에서 발아율이 30.3%로 휴면이 타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지'는 $0^{\circ}C$ 이하인 $-5^{\circ}C$에서도 86.3%로 높게 나타나 저온 축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imit temperature range which is effective for dormancy release of 'Hongro' and 'Fuji' apples during the endodormancy period. The germination rate was 50% or more in all treatments except of 'Hongro' $-5^{\circ}C$ treatment. The germination rate of 'Fuj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사과 품종인 ‘홍로’와 ‘후지’를 대상으로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충족할 수 있는 유효 한계온도 범위를 알아보고자 휴면기 결과지를 채취하여 발아검정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사과 품종인 ‘홍로’와 ‘후지’를 대상으로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충족할 수 있는 유효 한계온도 범위를 알아보고자 휴면기 결과지를 채취하여 발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저온 충족에 따른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휴면 관련 주요 생리물질로 알려진 abscisic acid(ABA) 등 호르몬, 유리당 및 탄수화물을 분석하여 휴면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유리당은 과수의 휴면과 관련이 있 으며 휴면이 진행되면서 증가하고 겨울철 내한성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등, 2006), 특히 사과의 유리당 함량은 휴면 심도가 깊어질수록 증가하고 휴 면이 타파되면 눈의 발달과 발아가 이루어지게 되며 감소하게 된다(Sivaci, 2006). 본 시험에서는 사과 휴면 타파에 필요한 저온 축적에 유효한 온도 범위에 따라 유리당 함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Table 2). 사과 ‘홍로’의 sorbitol 함량은 발아율이 가장 낮은 -5℃ 처리구에서 2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미과(Rosaceae) 식물의 휴면의 특징은? 사과, 배, 복숭아와 같은 장미과(Rosaceae) 식물의 휴면 개시와 타파, 생장의 정지는 저온에 의해서 유기되며 일장의 변화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Heide, 2008; Heide와 Prestrud, 2005). 그러나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발아, 만개기 및 수확시기와 같은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생물계절 현상(phenological events)이 변화하고 있다.
온대과수의 휴면이란? 온대과수의 휴면은 겨울 동안 생존에 부적절한 환경 조건에서 나무 생존을 위한 발달 단계로 알려져 있다 (Faust 등, 1968). 과수의 휴면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외관상 생장이 멈춘 상태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생리적인 변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태이다(Saure, 1985).
지구온난화가 사과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국내에서는 지난 30년간 (1977-2006) 사과 ‘후지’의 만개기가 지속적으로 9일 빨라졌는데, 온대과수의 만개기 단축은 기온 상승과 밀접 한 관계가 있다(Seo, 2007). 또한 이러한 만개기의 변화는 겨울철 휴면기간 동안 저온 축적의 변화로 인한 생리적 반응에 기인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사과 품종인 ‘홍로’와 ‘후지’를 대상으로 휴면타파에 필요 한 저온요구도를 충족할 수 있는 유효 한계온도 범위를 알아보고자 휴면기 결과지를 채취하여 발아검정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derson, J.L. and S. D. Seeley. 1992. Modeling strategy in pomology: Development of the Utah models. Acta. Hort. 313:297-306. 

  2. Boneh, U., I. Biton, A. Schwartz, and G. Ben-Ari. 2012. Characterization of the ABA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 Vitis vinifera. Plant Sci. 187: 89-96. 

  3. Davies, P.J. 2012. Plant hormones and their role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Springer. 

  4. Faust, M., Shear, C.B. and Simth, C.B. 1968. Investigation of corking disorders of apples. II Chemical composition of affected tissues. Pro. Amer. Soc. Hort. Sci. 92:82-88. 

  5. Hauagge, R. and J.N. Cummins. 1991. Phenotypic variation of length of bud dormancy in apple cultivars and related Malus species. J. Amer. Soc. Hort. Sci. 116:100-106. 

  6. Heide, O.M. 2008. Interaction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in the control of growth and dormancy of Prunus species. Sci. Hort. 115:209-314. 

  7. Heide, O.M. and A. K. Prestrud. 2005. Low temperature, but not photoperiod, controls growth cessation and dormancy induction and release in apple and pear. Tree physiology. 25:109-114. 

  8. Horvath, D. 2009. Common mechanisms regulate flowering and dormancy. Plant Sci. 177: 523-531. 

  9. Ito, A., T. Sugiura, D. Sakamoto, and T. Moriguchi. 2013. Effects of dormancy progression and low temperature response on changes in the sorbitol concentration in xylem sap of Japanese pear during winter season. Tree Physiol. 33:398-408. 

  10. Kerepesi, I., M. Toth, and L. Boross. 1996. Water-soluble carbohydrates in dried plant. J. Agric. Food Chem. 44:3235-3239. 

  11. Kim, J.H., J.C. Kim, K.C. Ko, K.R, Kim, and J.C. Lee. 2006. General pomology. Hyangmoonsha Press, Seoul. P. 38-39, 175-180. (in Korean). 

  12. Kweon, H.J., D.H. Sagong, Y.Y. Song, M.Y. Park, S.I. Kwon, and M.J. Kim. 2013.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of internal dormancy of main apple cultivars in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31:666-676. (in Korean). 

  13. Lang, G.A., J.D. Early, G.C. Martin, and R. L. Darnell. 1987. Endo-, para-, and eco-dormancy: Physiological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for dormancy research. HortScience 22:371-377. 

  14. Lavee, S. 1973. Dormancy and bud break in warm climates; considerations of growth regulator involvement. Acta Horticulturae. 34: 225-232. 

  15. Loescher, W.H., T. McCamant and J.D. Keller. 1990. Carbohydrate reserves, translocation, and storage in woody plant roots. HortScience. 25:274-281. 

  16. Naor, A., M. Fhaishman, R. Stern, A. Moshe, and A. Erez. 2003. Temperature effects on dormancy completion of vegetative buds in apple. J. Amer. Soc. Hort. Sci. 128:636-641. 

  17. Pan, X. Q., R. Welti, and X.M. Wang. 2010. Quantitative analysis of major plant hormones in crude plant extrac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Nature Protocols. 5: 986-992. 

  18. Powell, L.E. 1986. The chilling requirement of apple and its role in regulating time of flowering in cold-winter climeates. Acta Hort. 179:129-139. 

  19. Richardson, E.A., S.D. Seeley, and D.R. Walkre. 1974. A model estimating the completion of the rest for ‘Redhaven’ and ‘Elberta’ peach trees. Hortscience 9:331-332. 

  20. Saure, M.C. 1985. Dormancy release in deciduous fruit trees. Hort. Rev. 7:239-300. 

  21. Seo, H.H. 2007. Changes of full bloom date of apple 'Fuji' and pear 'Niitake' recently from 30 years. Kor. J. Hort. Sci. Technol. 22. (in Korean). 

  22. Shaltout, A.D. and C.R. Unrath. 1983. Rest completion prediction model for 'Starkrimson Delicious' apples. J. Amer. Soc. Hort. Sci. 108:957-961. 

  23. Sivaci, A. 2006. Seasonal changes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s in three varieties of apple(Malus sylvestris Miller) stem cuttings. Sci. Hort. 109:234-237. 

  24. Tomson, W.K., D.L. Jones, and D.G. Nicholes. 1975. Effects of dormancy factors on the growth of vegetative buds of young apple trees. Austral. J. Agr. Res. 26:989-996. 

  25. Zhang, J.H., W. S. Jia, J.C. Yang, and A.M. Ismail. 2006. Role of ABA in integrating plant responses to drought and salt stresses. Field Crops Research. 97: 111-119. 

  26. Zhu, J.K. 2002. Salt and drought stress signal transduction in plants. Annu. Rev. Plant Biol. 53: 247-27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