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백두대간 보호지역 용도구역체계 개편방안 연구
Study on Reorganization Plan for District Division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for Local Revitalizat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5, 2019년, pp.13 - 25  

성현찬 (고려대학교 환경GIS) ,  이경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윤지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전성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s a regulatory-oriented policy that does not consider the residents, and has been affected by the shrinking of local economy and the reduction of community activities.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Baekdudaegan resident support programs has been implemented but v...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의 한계로 인한 지역 활성화 및 보호활동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용도구역체계 개편 및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주민의 반발 및 실현가능성, 장단점을 고려하여 ‘생물 · 문화다양성권역’ 혹은 ‘협력구역’을 새로이 설정할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행위제한으로 주민들의 소득 및 복지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지역 활성화 및 국민들의 백두대간에 대한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용도구역체계 개편 및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대간은?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 설악 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로 1대간 1정간 13정맥(남한 9정맥)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길이가 약 1,400 ㎞에 이르며 남과 북을 잇는 주축이다. 자연·생태적 가치로 봤 을 때 백두대간은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한 한반도 의 핵심 생태축으로서 남한에 위치한 701 ㎞ 중 설악산 등 7개의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조사 된 전체 야생 동․식물 중 41.
국립공원의 생태학적 역할은?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 설악 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로 1대간 1정간 13정맥(남한 9정맥)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길이가 약 1,400 ㎞에 이르며 남과 북을 잇는 주축이다. 자연·생태적 가치로 봤 을 때 백두대간은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한 한반도 의 핵심 생태축으로서 남한에 위치한 701 ㎞ 중 설악산 등 7개의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조사 된 전체 야생 동․식물 중 41.9%에 해당하는 15,876종의 중요한 서식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KFS, 2017).
백두대간 보호지역에 대한 규제정책의 주민 영향을 줄이기위한 노력과 그 결과는? 하지만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에는 2014년 기 준으로 약 2,151천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상태이며, 규제중심의 정책으로 인해 정부 지원에서 소외됨에 따라 지역경제 위축, 공동체 활동의 축소 등 지역주민들에게는 부정적인 영 향이 발생하게 되었다(KFS, 2016). 이러한 피해 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2005년부터 주민소득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지속적 이고 중복적이며 지역특화로 연결되지 못 하는 사업 체계로 인하여 주민들의 소득향상 및 지역 활성화에 기여를 못하고 있으며, 규모 또한 감 소추세에 있는 상황이다(Jun et al., 2018; KFS,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udley, N. 2008. Guidelines for Applying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Gland, Switzerland, IUCN. 

  2. Hong, K.J. 2007.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he supporting project for residents in drink water management area,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llanam-do, Korea. (In Korean) 

  3. Jung, J.C. 2009. The Policy Evaluation and Implication about Community Support Program in Nak-Dong River Water Quality Protection Area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mistration 17(30) : 57-7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Jun, M.R..Kang, E.J..Kim, Y.G. 2018.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Support Project for Resident Income: Focused on Citizen Participation in Baekdudaegan Protection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7(1) : 81-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Kim, B.H. 2012, Enhanc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otected areas in Korea. Doctor'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Kim, N.C., 2014, Legal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Supporting Local Residents Around Transmission and Substation Facilities. Yonsei Law Review 24(3) : 71-104. (In Korean) 

  7. Korea Forest Conservation Movement, 2005,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Scope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n Korean) 

  8. Korea Forest Service. 2015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ekdudaegan Resident Support Programs.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 2015b. Designating as UNESCO's Biosphere Zone in Korea Baekdudaegan Ridge.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 2017. A Study on System Improvement for Baekdudaegan Protected Area Management. (In Korean) 

  11. Korea Forest Service. 2016. The second Basic plan for Conservation of the Backdudaegan:2006-2015.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2018,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for Mutual Growth with Local Area and Residents.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s, 2018, The Present Condition of Budget of Baekdudaegan Resident Support Programs(2005-2018). (Direct request) 

  1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Guideline for Agri-food business implementation. (In Korean) 

  15.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Wetlands Conservation Act.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Natural Parks Act.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19. Park, J.G. and Lee, S.Y. 2016. A Plan on increasing the project efficiency of supporting residents in Development Restriction Area. Korea Real Estate Society 33(1) : 143-16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11. Research for reclassification and collaborative management of protected a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