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시괴불나무 종자의 휴면유형과 발아특성
Dormancy typ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s of Lonicera chrytsantha Turcz. Ex Ledeb (Caprifoliacea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5, 2019년, pp.457 - 462  

박형빈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고충호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상용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이기철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재현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정재민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각시괴불나무 종자의 휴면유형과 발아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분흡수 실험결과, 각시괴불나무 종자는 수분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졌다. 따라서, 물리적 휴면은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각시괴불나무 종자는 탈리 시점에 미숙배를 가지고 있으며, 발아직전까지 배/종자 비율이 약 46% 증가하였다. 온도실험결과, $5^{\circ}C$에서는 발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circ}C$에서는 파종 후 1주부터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최종 발아율은 2주차에 86.7%였다. $15^{\circ}C$에서는 파종 후 2주부터 발아를 시작하였으며, 최종 발아율은 4주차에 75.0%였다. $25^{\circ}C$에서 파종 후 1주부터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최종 발아율은 19주차에 48.3%였다. 결론적으로, 각시괴불나무 종자의 발아를 위한 최적온도는 가장 높은 최종 발아율과 가장 짧은 평균 발아 일수를 나타낸 $20^{\circ}C$이다. 각시괴불나무 종자는 $5^{\circ}C$를 제외한 모든 온도에서 4주 이내에 발아하였기 때문에 생리적 휴면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각시괴불나무 종자는 오직 형태적 휴면만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ed dormancy typ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Lonicera chrysantha. In imbibition test, the seeds imbibed water readily. Therefore, the seeds did not have physical dormancy (PY). The seeds have undeveloped embryo at seed dispersal and, then the E:S rat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 분포하는 각시괴불나무에 대해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종자의 휴면유형을 분류를 통해서 유용자원으로서의 활용을 위한 대량증식법을 개발하고 국내 및 외국에 자생하는 인동속 식물들 중에서 각시괴불나무의 종자 휴면의 진화적, 생태학적, 계통분류학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자생 인동속의 특징은 무엇인가? Ex Ledeb)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주로 중부 이북, 청괴불나무는 황해도 이남, 올괴불나무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며, 섬괴불나무는 울릉도에만 국소적으로 분포하는 희귀수종이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인동속은 덩굴성이거나 관목으로 백색 또는 연황색, 황색, 연홍색, 홍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우고, 향기가 있으며, 겨울철까지 열매가 달려있어 종들이 많아 관상용으로 적합하며, 약용으로도 이용되는 유용한 자원식물이다(NKISBS, Korea National Arboretum,2016). 국내 자생 인동속의 수종들을 관상용 또는 약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종 별 많은 수의 개체 확보가 필요하고, 또한 대량증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각시괴불나무의 정의 및 분포지역은? 그 중 각시괴불나무(Lonicerachrytsantha Turcz. Ex Ledeb)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주로 중부 이북, 청괴불나무는 황해도 이남, 올괴불나무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며, 섬괴불나무는 울릉도에만 국소적으로 분포하는 희귀수종이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인동속은 덩굴성이거나 관목으로 백색 또는 연황색, 황색, 연홍색, 홍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우고, 향기가 있으며, 겨울철까지 열매가 달려있어 종들이 많아 관상용으로 적합하며, 약용으로도 이용되는 유용한 자원식물이다(NKISBS, Korea National Arboretum,2016).
인동속중 우리나라에 자생 종은 무엇이 있는가? , 2012). 인동속중 우리나라에 자생 종은 각시괴불나무와 청괴불나무, 섬괴불나무, 올괴불나무 등 15종이 보고 되어 있다(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그 중 각시괴불나무(Lonicerachrytsantha Turcz.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skin, C.C. and J.M. Baskin. 1998. Seeds: ecology, biogeography, and,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USA). 

  2. Baskin, C.C. and J.M. Baskin. 2003. When breaking seed dormancy is a problem try a move-along experiment. Nat Plants 4:17-21. 

  3. Baskin, J.M. and C.C. Baskin. 2004. A classification system for seed dormancy. Seed Sci. Res. 14:1-16. 

  4. Choi, H. and S.Y. Lee, Y.H. Rhie, J.H. Lee, S.Y. Kim and K.C. Lee. 2018. Seed dormancy typ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31:363-371. 

  5. Finch-Savage, W.E., G. Leubner-Metzger. 2006. Seed dormancy and the control of germination. New Phytol. 171:501-523. 

  6.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7. Forbis, T.A., S.K. Floyd and A. DeQueiroz. 2002. The evolution of embryo size in angiosperms and other seed plan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seed dormancy. Evolution 56:211-212. 

  8. Geneve, R.L. 2003. Impact of temperature on seed dormancy. HortScience 38:336-340. 

  9. Hidayati, S.N., J.M. Baskin and C.C. Baskin. 2000a.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requirements for seeds of Diervilla lonicera (Caprifoliaceae), a species with underdeveloped linear embryos. Can. J. Bot. 78:1199-1205. 

  10. Hidayati, S.N., J.M. Baskin and C.C. Baskin. 2000b.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requirements of seeds of four Lonicera species (Caprifoliaceae) with underdeveloped spatulate embryos. Seed Sci. Res. 10:459-469. 

  11. Ko, C.H., S.Y. Lee, K.S. Choi, D.H. Kim, S.Y. Kim and K.C. Lee. 2017. Dormancy and seed germination in the endemic Korean plant Ligustrum foliosum Nakai. Flower Res. J. 25(3):124-132. 

  12. Lee, S.Y., Y.H. Lee, Y.J. Kim and K.S. Kim. 2012. Morphological and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several spring ephemerals native to Korea. Flower Res. J. 20:193-199. 

  13. Martin, A.C. 1946. The comparative internal morphology of seeds. Am. Midl. Nat. 36(3):513-660. 

  14. Naugzemys, D., S. Zilinskaite, J. Denkovskij, J. Patamsyte, J. Literskis and D. Zvingila. 2007. RAPD based study of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Lonicera germplasm accessions. Biologija. 53:34-39. 

  15. Nikolaeva, M.G. 1977. Factors controlling the seed dormancy pattern: In Khan, A.A. (Ed.) Th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Amsterdam, North-Holland. pp. 54-74. 

  16. Phartyal, S.S., T. Kondo, J.M. Baskin and C.C. Baskin. 2009. Temperature requirements differ for the two stages of seed dormancy break in Aegopodium podagraria (Apiaceae), a species with deep complex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Am. J. Bot. 96(6):1086-1095. 

  17. Rheder, A. 1903. Synopsis of the genus Lonicera. Missouri Botanical Garden Annual Report 14:27-232. 

  18. Ryuk, J.A., H.W. Lee and B.S. Ko. 2012. Discrimination of Lonicera japonica and Lonicera confusa using chemical analysis and genetic marker. Kor. J. Herbology. 27:15-21. 

  19. Theis, N., M.J. Donoghue and J. Li. 2008. Phylogenetics of the Caprifolieae and Lonicera (Dipsacales) based on nuclea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s. Syst. Bot. 33:776-783. 

  20. Yuan, Y., L. Song, M. Li, G. Liu, Y. Chu, L. Ma, Y. Zhou, X. Wang, W. Gao, S. Qin, J. Yu, X. Wang and L. Huang. 2012. Genetic variation and metabolic pathway intricacy govern the active compound content and quality of the Chinese medicinal plant Lonicera japonica Thunb. BMC Genomics 13:1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