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소시비농도에 따른 1년생 사과 'Fuji'/M.9 포트묘목의 수체 생장
Growth of One-Year-Old Pot-Cultivated 'Fuji'/M.9 Apple Trees unde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itrogen Fertilization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5, 2019년, pp.499 - 508  

하웅용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지원기획과) ,  신현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  임헌규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오영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한현대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김금선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오세원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권의석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  김대일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사과 '후지'/M.9 포트묘목 개발을 위해 질소시비농도에 따른 생장특성을 조사하고, 포트 우량묘목 생산에 적합한 질소시비농도와 잎의 무기영양성분 함량 및 토양 화학성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질소시비농도가 높아질수록 묘목의 생장은 증가되었고, 특히16 mM 처리가 수체 생장에 가장 좋았으며, 우량묘목 판단기준에 부합하였다. 32 mM 이상의 고농도는 오히려 생장을 감소시켰다. 잎의 무기영양성분 함량은 8, 16 mM 처리구에서 기존 사과과원의 적정수준보다 높았고, 이러한 무기영양성분은 정식 후 수체 생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양 화학성 또한 8, 16 mM 처리구에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수체생육, 잎의 무기영양성분, 포트 내 토양화학성을 고려한 결과, 사과 '후지'/M.9 우량 포트묘목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은 16 mM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rowth of 48.6-L pot-cultivated 1-year-old 'Fuji'/M.9 apple trees depending on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concentration. While rise in tree growth was paralleled with increase of nitrogen concentration, more than 32 mM of nitrogen rather restrained tree gr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질소시비농도에 따른 사과 ‘후지’/M.9 포트 묘목의 수체 생장을 조사하여 포트 우량묘목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 수준과 이를 기준으로 한 잎의 무기성분함량의 적정범위를 제시하고, 토양 화학성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수고 밀식재배 방식이 조기 다수확을 달성하는데 유리한 이유는? 저수고 밀식재배 방식에서 간주직경이 굵고 측지가 잘 발생한 우량묘목은 재식초기 생육이 좋고, 강한 골격지를 가지며 (Preston, 1968), 조기 결실되어(Van Oosten, 1978), 조기 다수확을 달성하는데 유리하다(Quinlan, 1976; Wertheim, 1978). 또한 Yoon et al.
사과 '후지'/M.9 우량 포트묘목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이 16mM로 판단된 이유는? 9 포트묘목 개발을 위해 질소시비농도에 따른 생장특성을 조사하고, 포트 우량묘목 생산에 적합한 질소시비농도와 잎의 무기영양성분 함량 및 토양 화학성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질소시비농도가 높아질수록 묘목의 생장은 증가되었고, 특히16 mM 처리가 수체 생장에 가장 좋았으며, 우량묘목 판단기준에 부합하였다. 32 mM 이상의 고농도는 오히려 생장을 감소시켰다. 잎의 무기영양성분 함량은 8, 16 mM 처리구에서 기존 사과과원의 적정수준보다 높았고, 이러한 무기영양성분은 정식 후 수체 생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양 화학성 또한 8, 16 mM 처리구에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수체생육, 잎의 무기영양성분, 포트 내 토양화학성을 고려한 결과, 사과 '후지'/M.
사과묘목 생산시 질소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일반적인 사과묘목 포장은 초밀식 재배하기 때문에 사과원보다 50-100% 더 많은 시비를 하고 있다(Kim and Yoon, 1998). 사과묘목 생산에 사용되는 비료 성분 중 질소는 식물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무기영양원소이며(Crawford et al., 2000), 아미노산, 핵산 등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다른 비료성분에 비하여 수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나(Coruzzi and Last, 2000) 질소시비와 포트묘목의 수체 생장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질소는 토양에서 수소이온을 방출하여 칼리, 칼슘, 마그네슘 등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고 이와 관련된 길항관계에 있는 다른 무기영양원 소에 대한 식물체의 흡수량에 변화를 가져오며, 잎의 무기성분 함량과 토양의 화학성에 영향을 준다(Belton and Goh, 1992;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tkinson, C.J., M. Policarpo, A.D. Webster and A.M. Kuden. 1999. Drought tolerance of apple rootstocks: Production and partitioning of dry matter. Plant Soil 206:223-235. 

  2. Barlow, H.W.B. and C.R. Hancock. 1962. The influence of the leaf upon the development of its axillary meristem. Annu. Rep. East Mailing Res. Sta. 71-76. 

  3. Belton, P.R. and K.M. Goh. 1992. Effects of urea fertigation of apple trees on soil pH, exchangeable cations and extractable manganese in a sandy loam soil in New Zealand. Fertil. Res. 33:239-247. 

  4. Benizri, E., S. Piutti, S. Verger, L. Pages, G. Vercambre, J.L. Poessel and P. Michelot. 2005. Replant diseases: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in peach rhizosphere as determined by metabolic and genetic finger printing. Soil Biol. Biochem. 37:1738-1746. 

  5. Blazich, F.A. 1988. Mineral nutrition and adventitious rooting: In Davis, T.D., B.E. Haissing and N. Sankhla (eds.),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 Cutting. Advances in Plant Sciences, Dioscorides Press, Portland, OR (USA). pp. 61-69. 

  6. Coruzzi, G. and R. Last. 2000. Amino acids: In Buchanan, B.B., W. Gruissem and L. Jones (eds.),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Plants, Amer. Soc. Plant Physiol., Rockville, MD (USA). pp. 358-410. 

  7. Crawford, N.M., M.L. Kahn, T. Leustek and S.R. Long. 2000. Nitrogen and sulfur: In Buchanan, B., W. Gruissem and R. Jones (eds.),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Plants. Amer. Soc. Plant Physiol., Rockville, MD (USA). pp. 786-847. 

  8. Flemer, W. 1980. Nursery production of trees in containers. METRIA Proc. 3:15-23. 

  9. Gao, Y.P., H. Motosugi and A. Sugiura. 1992. Rootstock effects on growth and flowering in young apple trees grown with ammonium and nitrate nitrogen. J. American Soc. Hortic. Sci. 117:446-452. 

  10. Gojon, A., C. Bussi, C. Grignon and L. Salsac. 1991. Distribution of $NO_3{^-}$ reduction between roots and shoots of peach tree seedlings as affected by $NO_3{^-}$ uptake rate. Physiol. Plant. 82:505-512. 

  11. Hague, E.J. and D. Neilsen. 1991. Rapid production methods for Ottawa-3 rootstock and branched apple nursery stock. Hortscience 26:1416-1419. 

  12. Hartmann, H.T., D.E. Kester and F.T. Davies. 1990. Plant Propaga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5th ed.,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USA). p. 151 

  13. Idris, M., K.F. Salifu and V.R. Timmer. 2004. Root plug effects on early growth and nutrition of black spruce seedlings. For. Ecol. Manage. 195:399-408. 

  14. Jackson, J.E. 1973. Effects of soil fumigation on the growth of apple and cherry rootstocks on land previously cropped with apples. Ann. Appl. Biol. 74:99-104. 

  15. Jung, Y.J., I.S. Nou, Y.K. Kim and K.K. Kang. 2015.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incorporation for reduction of Pythium zingiberum in ginger continuous cultivation. Korean J. Plant Res. 28(2):271-278. 

  16. Kim, M.R. and T.M. Yoon. 1998.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of superior nursery apple tre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Press, Andong, Korea. 

  17. Kim, S.N., D.G. Choi and I.G. Gang. 2006. Effects of nitrogen supply levels on growth and nitrogen substance in pear (Pyrus pyrifolia cv. Niitaka) seedlings. J. Bio-Environ. Cont. 14(1):114-124. 

  18. Kviklys, D., J. Lanauskas, J. Sakalauskaite, N. Kvikliene and N. Uselis. 2008. Soil exhaustion and rootstock effect on the growth of apple planting material. Agron. Res. 6:511-516. 

  19. Lee, H.C., J.K. Kim and I.K. Yun. 2002. Establishment of seasonal patterns and range for normality of nutrients in Fuji/M.9 apple leaves for nutritional diagnosis. Res. Rept. Korea NHRI. 199-208. 

  20. Mazzola, M. and L.M. Manici. 2012. Apple replant disease: role of microbial ecology in cause and control. Annu. Rev. Phytopathol. 50:45-65. 

  2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 Seed industry act. Sejong, Korea. 

  22. Moe, R. and A.S. Andersen. 1988. Stock plant environment and subsequent adventitious rooting: In Haissig, B.E. and N. Sankhla (eds.),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 Cuttings, Dioscorides Press, Portland, OR (USA). pp. 214-234. 

  23. Nemeth, G. 1986. Induction of rooting: In Bajaj, Y.P.S. (eds.),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and Forestry, Vol. 1: Trees,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pp. 49-64. 

  24. Neilsen, G.H., J. Beulah, E.J. Hague and R. Utkhede. 1994. Planting-hole amendments modify growth and fruiting of apples on replant sites. Hortscience 29(2):82-84. 

  25. Osterreicher, J., P. Tappeiner, B. Torggler, J. Tscholl and H. Weis. 1996. Young apple orchard. Beratungsring fur Obstund Weinbau, Italy. 

  26. Pacholak, E., Z. Zydlik and M. Zachwieja. 2004. The effect of different methods of preventing replanting disease and different levels of irrigation on soil and leaf mineral content. J. Fruit Ornam. Plant Res. 12:69-81. 

  27. Park, J.M., D.S. Kim, H.M. Ro, M.S. Yiem and S.H. Yoo. 1999. Effect of nitrogen rates and drip-irrigation levels on leaf mineral contents and growth of lysimeter-grown 'Fuji'/M.26 apples. Hortic. Sci. Technol. 40(6):711-714 (in Korean). 

  28. Peng, Y., P. Shiqi, T. Youguo, S. Ivanova and H. Magen. 2008. Fertigation management in young apple trees in Shandong, China. 

  29. Poffley, M. 2004. Raising Vegetable Seedlings in Containers. Agnote, Darwin, Australia. p. 384. 

  30. Preston, A.P. 1968. Pruning and rootstock as factors in the production of primary branches on apple trees. J. Hortic. Sci. 43(1):17-22. 

  31. Quinlan, J.D. 1976. Chemical induction of lateral branches (feathers). Acta Hortic. 65:129-138. 

  32. Rowell, D.L. 1994. Soil Science Methods and Applications.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London, England. pp. 153-159. 

  33. Rumberger, A., I.A. Merwin and J.E. Thies. 2007. Microbial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rhizosphere of apple trees at a replant disease site. Soil Biol. Biochem. 39(7):1645-1654. 

  3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Enemy territory selection technology of fruit tree. Suwon, Korea. 

  3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3. Cultivation of apple. Suwon, Korea. 

  36. Sachs, T. and K.V. Thimann. 1967. The role of auxins and cytokinins in the release of buds from dominance. American J. Bot. 54(1):136-144. 

  37. Salifu, K.F. and D.F. Jacobs. 2006. Response of grafted Juglans nigra to increasing nutrient availability: growth, nutrition, and nutrient retention in root plugs. ISO: Hortscience 41(6):1477-1480. 

  38. Sonneveld, C. and W. Voogt. 2009. Plant Nutrition of Greenhouse Crops. Springer. New York, NY (USA). pp. 405-419. 

  39. Sriskandarajah, S., R.M. Skirvin and H. Abu-Qaoud. 1990. The effect of some macronutrients on adventitious root development on scion apple cultivars in vitro.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21(2):185-189. 

  40. Statistical Korea (KOSTAT). 2016. Statistics annual report. Daejeon, Korea. 

  41. Stiles, W.C. and W.S. Reid. 1914. Orchard Nutrition Management. Cornell Cooperative Extension, Ithaca, NY (USA). p. 219. 

  42. Utkhede, R.S., P.L. Sholberg and M.J. Smirle. 2001. Effects of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s on growth and yield of apple trees planted in Phytophthora cactorum infected soil. Canadian J. Plant Pathol. 23(2):163-167. 

  43. Van Oosten, H.J. 1978. Effect of initial tree quality on yield. Acta Hortic. 65:123-128. 

  44. Wertheim, S.J. 1978. Manual and chemical induction of side-shoot formation in apple trees in the nursery. Sci. Hortic. 9(4):337-345. 

  45. Wertheim, S.J. 1998. Rootstock guide: apple, pear, cherry, European plum. Proefstation voor de Fruitteelt (Fruit Research Station), Wilhelminadorp, Netherlands. p. 144. 

  46. Wilson, S., P. Andrews and T.S. Nair. 2004. Non-fumigant management of apple replant disease. Sci. Hortic. 102(2):221-231. 

  47. Yoon, T.M., K.R. Kim, S.W. Choi, J.Y. Lee, J.G. Shin, Y.J. Woo and S.G. Han. 2000. Induction of feathering in 'Fuji'/M.9 T337 nursery apple trees with 6-bezylamino purine. Hortic. Environ. Biotechnol. 41(5):507-5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