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골밀도에 따른 식생활과 영양상태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 status among adult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5, 2019년, pp.449 - 464  

김수현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수경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신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내분비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다공증은 뼈 조직의 미세 구조 이상으로 골밀도가 감소되어 뼈의 골절율이 증가하는 질환이며 노인에게 있어 심각한 합병증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골다공증의 2가지 위험요인은 청소년기 및 성인기에 낮게 형성된 최대 골질량과 폐경 및 노화로 인해 골질량이 빠르게 손실되는 것이다. 위험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유발되는데 유전적 요인과 고령, 폐경, 호르몬, 칼슘, 비타민 D의 섭취, 단백질의 섭취부족과 카페인 섭취 등이 보고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북한에서 식량난으로 말미암아 골질량이 낮게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커서 골다공증 위험군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골다공증 발병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이탈 여성들의 뼈 건강 상황을 알아보고 북한과 남한에서의 식생활과의 관련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려대학교 북한이탈주민 (NORNS) 코호트에서 추출하였는데 골밀도 검사와 식이조사를 마친 여성 총 110명이었다. 북한에서의 식생활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하는 식품안정성 질문으로 알아보았고, 남한에서의 식생활은 24시간 회상법과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하는 식품섭취빈도조사 설문지를 수정하여 알아보았다. 대상자의 사회경제교육수준, 체중과 신장 등은 검진의 일환으로 수집되었다. 이중에너지 방사선법 (DEXA)으로 척추와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골밀도 진단기준으로 폐경전 여성은 z-값이 -2.0이상인 연령 기대치 이내 대상자, 폐경 후 여성은 t-값이 -1.0이상인 대상자를 골밀도 정상범위군으로, 폐경 전 여성으로 z-값이 -2.0이하는 연령 기대치 이하 대상자와 폐경 후 여성으로 t-값이 -1.0미만인 대상자를 골밀도 이상군으로 분류하였다. 골밀도 정상범위군은 62.7% (69명), 골밀도이상군은 37.3% (41명)로 나타났는데 정상군이 이상군에 비하여 어렸고 ($40.8{\pm}6.1$세 vs $60.2{\pm}8.2$세, p < 0.001) 복부둘레가 가늘었다 ($77.0{\pm}8.6cm$ vs $82.1{\pm}8.3cm$, p = 0.004). 또한 정상군은 14.5%가 폐경된 반면 이상군은 100% 폐경이 되었다 (p < 0.001). 식품섭취빈도조사로 주당 평균섭취빈도를 비교했을 때, 정상군이 이상군에 비하여 우유 (4.9회 vs 1.9회, p = 0.03), 요거트 (3.7회 vs 2.5회, p = 0.015), 우유 및 유제품군 (3.2회 vs 1.6회, p = 0.007)을 더 자주 섭취하였다. 정상군 ($146.3{\pm}143.2mg$)은 동물성 칼슘을 이상군 ($78.4{\pm}99.9mg$)보다 많이 섭취하였으며 (p = 0.009), 칼슘 평균필요량보다 미만으로 섭취한 분율이 정상군이 49.3%, 이상군은 78.0%로 이상군이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 질적지수에서 칼슘을 제외한 나머지 영양소는 1이상으로 나타났고 단백질과 인질적지수가 정상범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두 그룹 간에 북한에서의 식품안정성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고령의 북한이탈 여성이 골다공증 위험군임을 파악하였으며 뼈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인 칼슘 섭취가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였으나 골밀도 검사와 식이조사가 같은 시기에 이루어져서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24시간 회상법의 경우 하루만 진행하였기에 평상시 식생활을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식품섭취빈도조사도 같은 결과를 보였기에 신뢰할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 여성에 대한 반드시 뼈 건강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orth Koreans could be at higher risk for their bone health because of previous periods of severe famine and the continuing low availability of food. This study determine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of North Korean 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의 환경적 요인 중 식이 문제에서 칼슘 섭취량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환경적 요인은 고령, 폐경, 성장인자, 호르몬, 식이문제 등이 있으 며, 특히 환경적 요인 중 식이 문제로는 칼슘, 단백질, 비타민 D 섭취 부족과 나트륨과 카페인 과다섭취 등이 보고 되고 있다 [1-6]. 칼슘은 사춘기부터 이루어지는 골격 석회화 과정을 통하여 최대 골질량 도달에 관여하므로 석회화 가 이루어지는 시기의 칼슘 섭취량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근래에는 비타민 D 부족이 골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다는 다양한 보고가 있다 [7].
골다공증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결과적으로 뼈가 약해 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이라고 정의된다 [1,2]. 골다공증은 특히 50세 이상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활동적 삶을 제한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사망률을 높인다.
골다공증의 2가지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뼈 조직의 미세 구조 이상으로 골밀도가 감소되어 뼈의 골절율이 증가하는 질환이며 노인에게 있어 심각한 합병증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골다공증의 2가지 위험요인은 청소년기 및 성인기에 낮게 형성된 최대 골질량과 폐경 및 노화로 인해 골질량이 빠르게 손실되는 것이다. 위험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유발되는데 유전적 요인과 고령, 폐경, 호르몬, 칼슘, 비타민 D의 섭취, 단백질의 섭취부족과 카페인 섭취 등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JAMA 2001; 285(6): 785-795. 

  2. Riggs BL, Melton LJ. Osteoporosis: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New York (NY): Raven Press; 1988. 

  3.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Physician's guide for diagnosis & treatment of osteoporosis 2018. Seoul: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2018. 

  4. Kim Y. Osteoporosis or low bone mass in adults aged 50 years old and above in Republic of Korea, 2008-2011. Public Health Wkly Rep 2014; 7(42): 939-943. 

  5. Hong S. Treatment and diagnosis of osteoporosis. J Korean Neurol Assoc 2017; 35(4 Suppl): 20-24. 

  6. Mun SO, Kim J, Yang YJ.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50 years and above: using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77-186. 

  7. Avenell A, Mak JC, O'Connell D. Vitamin D and vitamin D analogues for preventing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older m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 (4): CD000227. 

  8.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Situation analysis of children and women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2017 [Internet]. Pyongyang: UNICEF; 2016 [cited 2018 Dec 10]. Available from: https://www.unicef.org/dprk/reports/situation-analysis-children-and-women-democratic-peoples-republic-korea-2017. 

  9. Lee SK. North Korean children: nutrition and growth. Ann Pediatr Endocrinol Metab 2017; 22(4): 231-239. 

  10. Ministry of Unification (KR). Understanding North Korea [Internet]. Sejong: Ministry of Unification; 2018 [cited 2018 Dec 11]. Available from: https://www.unikorea.go.kr/books/understand/understand/. 

  11. EU,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World Food Program. Nutrition survey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eport by the EU, UNICEF and WFP of a study undertaken in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 to DPRK [Internet]. Pyongyang: UNICEF; 1998 [cited 2018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pwdigby.co.uk/pdf/Report_on_the_DPRK_Nutrition_Assessment_1998.pdf. 

  1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FAO/WFP crop and food security assessment 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ternet].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2011 November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www.fao.org/3/al994e/al994e00.pdf. 

  13.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DPR Korea;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DPR Korea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MICS) 2017, survey findings report. Pyongyang: UNICEF DPRK; 2017. 

  14.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2012 [Internet]. Pyongyang: UNICEF; 2012 [cited 2018 Dec 20]. Available from: http://www.unicef.org/eapro/DPRK_National_Nutrition_Survey_2012.pdf. 

  15. Ministry of Unification (KR).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 entr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Unification; 2018 [cited 2018 Dec 20]. Available from: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rsPolicy/status/lately/. 

  16. Lee YH, Lee WJ, Kim YJ, Cho MJ, Kim JH, Lee YJ, et al. North Korean refugee health in South Korea (NORNS) study: study design and methods. BMC Public Health 2012; 12: 172-177. 

  17. Coates J, Swindale A, Bilinsky P. Household Food Insecurity Access Scale (HFIAS) for measurement of food access: indicator guide. Washington, D.C.: Food and Nutrition Technical Assistance Project, Academy for Educational Development; 2007.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hase 5 - food security questionnaire [Internet]. Cheongju: KCDC; 2012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1.do?classType1.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hase 5 - dietary behavior questionnaire [Internet]. Cheongju: KCDC; 2012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1.do?classType1.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hase 5 -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ternet]. Cheongju: KCDC; 2012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1.do?classType1.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Internet]. Cheongju: KCDC; 2012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3. Gibson RS.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2nd edi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4. Atalay S, Elci A, Kayadibi H, Onder CB, Aka N. Diagnostic utility of osteocalcin, undercarboxylated osteocalcin, and alkaline phosphatase for osteoporosis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Ann Lab Med 2012; 32(1): 23-30. 

  25.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Physician's guide for treatment of Obesity 2018.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26. Lee HY. New definition for hypertension. J Korean Med Assoc 2018; 61(8): 485-492. 

  27. Korean Diabetes Association.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2015.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8. 

  28. Hwang SW.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and femur in healthy Korean men.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9; 9(3): 199-206. 

  29. Koo JO, Kim MS.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index and nutrient intakes of 30-70 years old women: based on 2011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4): 328-341. 

  30. Choi SN, Jho KH, Chung NY.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factor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 women data from the fourth (2008 - 2009) and fifth (2010 -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V & V). J Korean Diet Assoc 2014; 20(3): 157-173. 

  31. Looker AC, Melton LJ 3rd, Borrud LG, Shepherd JA.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in US adults: demographic patterns and relationship with femur neck skeletal status. Osteoporos Int 2012; 23(4): 1351-1360. 

  32. Lee J, Jang S. A study on reference values and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 Korean Official Stat 2013; 18(2): 42-65. 

  3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KCDC; 2018. 

  34. Ortega RM, Requejo AM, Lopez-Sobaler AM, Quintas ME, Andres P, Redondo MR, et al. Difference in the breakfast habits of overweight/obese and normal weight schoolchildren. Int J Vitam Nutr Res 1998; 68(2): 125-132. 

  35. Jeong H, Lee SK, Kim SG. Changes in body weight and food security of adult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Nutr Res Pract 2017; 11(4): 307-318. 

  36. Koo JO.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lood pressure, calcium intake among adult women in Seoul . Kyunggi area - Based on 2011 KNHANES -.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69-282. 

  37. Yu CH, Lee JS, Lee LH, Kim SH, Lee SS, Kang SA.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 of Korean men. Korean J Nutr 2004; 37(2): 132-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