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라사천왕사건축(新羅四天王寺建築)의 조영척도(造營尺度) 재론(再論)
Rediscussion of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measure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8 no.5, 2019년, pp.43 - 58  

이정민 (와세다대학 이공학술원) ,  미조구치 아키노리 (와세다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the study of Fujishima Gaijiro(1930), although it is common to see that the Tang-ruler(唐尺) wa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illa Sacheonwangsa temple(679), the basis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construction measure and the detection of the unit length is not actually suffic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년 사천왕사지 발굴조사(2006∼2012)를 통해 확보된 고고학적 성과에 기초해, 신라사천왕사건축의 조영척도를 판별하고, 나아가 그 단위길이 검출을 시도한 것이다.
  • 또, CAD상에 축척 1/1의 유구도면을 구현하는 과정, 그리고 계측 지점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본고에서는 특정할 수 없다. 상기 설정은 정수로 표기하기로 한 유 구실측도상의 치수와 자릿수를 일치시켜 두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을 뿐이다. 반면, 유구실측치를 丈 또는 尺등의 환산척수로 나누어 얻어지는 조영척도의 단위길이는, 그 정밀도를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는 것으로 한다.
  • 셋째, 석조물 유구실측치 분석에 관련해서는, 초석류 이외에도, 금당지 등 5개소 건물지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 확인된 기단지대석, 계단디딤돌 및 계단지대석, 대석 등에까지 범위를 넓혀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유구실측치3) 분석에 있어서는, 발굴조사보고서에 게재된 유구도면 상에서 계측을 통해 수치자료를 획득, 이를 일정범위 내 고구려척과 당척의 각 단위길이로 나누어 나타나는 환산척수의 경향을 완수제(完數制)4)적 관점에서 비교・검토하는 방법을 취해 보고자 한다.
  • 이상, 근년 사천왕사지 발굴조사를 통해 확보된 고고학적 성과에 기초해, 사천왕사건축의 조영척도를 판별하고, 나아가 그 단위길이 검출을 시도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어 이하에서는, 기왕의 연구에서 검토되었던 각 건물지 초석으로부터 근년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 확인된 기단지대석・계단디딤돌 및 계단지대석・대석 등에까지, 범위를 넓혀 석조물 유구실측치 분석을 행해 보고자 한다. <그림 3>은, 『四天王寺I』(2012)・『四天王寺II』(2013) 등에 수록된 각 건물지 석조물 유구도면중 종별 1∼3점의 화상데이터를 취해 CAD상에 축척 1/1의 유구도면을 구현하고, 그 위에 각부 치수를 기입한 후 다시 화상데이터로 출력해, 건물지별로 정리한 것이며, <표 3>은, 이 같은 작업을 통해 얻어진 석조물유구의 각부 치수를, 일정범위 내 고구려척과 당척의 단위길이로 나누어, 환산척수가 尺 또는 0.
  • 이하에서는 유구실측치 분석에 앞서, 분석 조건 및 방법에 관련된 몇 가지 사항을 정리해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라사천왕사란? 신라의 당척 수용시기에 관해서는, 『三國史記』 문무왕 5년, 견포 1필의 기준이 바뀐 사실에 의거해, 문무왕 5년(665)경으로 보는 견해가 제시되어 있는 한편,1) “통일신라시대 초기 영조척은 과도기적으로 고구려척과 당척이 함께 사용되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2) 신라사천왕사는 삼국통일 직후인 문무왕 19년(679)에 낙성된 사원이다. 후지시마 가이지로(藤島亥治郎)의 연구(1930) 이후, 사천왕사의 조영에는 당척이 사용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나, 종래의 연구는 발굴조사 이전, 지표조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제한적 여건하에서 이루어진 것들로, 조영척도 판별 및 단위길이 검출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면밀히 갖추어졌다고는 할 수 없다.
신라사천왕사건축의 조영척도를 당척으로 볼 명료한 근거가 된다고 판단할 수 있는 이유는? (3) 후지시마는 사천왕사 조영척도 고찰에 있어, 주칸완수제를 전제로 한 건물지 초석중심간거리 분석만으로는 조영척도 판별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차선으로서 금당지・목탑지의 석조물유구에 착안, 당탑지초석류의 초석면 및 주좌 실측치로부터 판별의 단서를 구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후지시마의 방법론이 여전히 유의미하다고 판단, 이를 수용하여, 발굴조사를 통해 각 건물지에서 새로 확인된 기단지대석, 계단디딤돌 및 계단지대석, 대석 등에까지 범위를 넓혀 석조물 유구실측치 분석을 수행했고, 그 결과 단위길이 범위 내에서 환산척수가 尺 단위로 수렴하는 경우는 당척 쪽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간 사원건립과정을 논하는데 있어 핵심쟁점이 되어 왔던 것은? 건물 기능 시의 개수에 관련해서는, 금당지를 비롯해 서익랑지, 강당지서편건물지, 서단석지, 서탑지 남편 등에서 출토된 ‘四天王寺己巳年重修瓦’명 기와나, 서탑지 녹유신장벽전 뒤채움에 일부 사용된 고려시대 평기와 등이 언급될 수 있겠으나,23) 그러한 것들이 해당 건축물의 ‘구조나 외부형태를 수선・변경하거나 증설’24)한 일이 있었음을 곧바로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또, 그간 사원건립과정을 논하는데 있어 핵심쟁점이 되어 왔던 금당지 내 선축기단유구의 축조시기 및 성격에 관해 “가람규모계획, 당탑 등의 배치 및 평면계획 등이 정식 확정되기 이전”의 것으로 비판적 재고가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 금당 차양칸 증설의 경위 등에 대해서도 고찰도 더해져 있는바,25) 유구실측치 분석에 있어서는, 보고서상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건물 폐절 후 경년에 따른 유구 변화를 언급해 가며, 수치데이터를 취할 대상 유구부분을 한정하는 정도에 그친다. ([그림 1-2, 4]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朝鮮總督府編, 古蹟調査報告 : 大正11年度(第1冊), 朝鮮總督府, 京城, 1924 

  2.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二聖山城: 7次發掘調査報告書,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서울, 2000 

  3. 한양대학교박물관.하남시, 二聖山城: 第8次發掘調査報告書, 하남시, 2001 

  4. 米?市?育委員?編, 古志田東遺跡: 林泉寺住宅?地造成予定地?埋?文化財調査報告書, 米?市?育委員?, 米?, 2001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I : 金堂址발굴조사보고서(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편, 학술연구총서, 7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2 

  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II : 回廊內廓발굴조사보고서(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편, 학술연구총서, 8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3 

  7. 藤田元春, 尺度綜攷 : 尺度考里程考地割考都城考, 刀江書院, 東京, 1929 

  8. 中國國家計量總局主編, 山田慶?.?原達?譯, 中?古代度量衡?集, みすず書房, 東京, 1985 

  9. 박흥수, 韓.中度量衡制度史,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10. 이종봉,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혜안, 2001 

  11. 溝口明則, 法隆寺建築の設計技術, 鹿島出版?, 東京, 2012 

  12. 藤島亥治?, 朝鮮建築史論其一, 建築?誌, 44輯, 530號, 1930 

  13. 米田美代治, 慶州.望德寺の?究 : 伽藍計?に就いて四天王寺及び藤原京?師寺との?係, 朝鮮と建築, 19輯, 4號, 1940 

  14. 박방룡, 新羅關門城의 銘文石考察, 美術資料, 31호, 1982 

  15. 이규성, 古代韓.日의 尺度論, 건축역사연구, 1권, 2호, 1992 

  16. 권학수, 黃龍寺建物址의 營造尺분석, 한국상고사학보, 31호, 1999 

  17. 이정민.미조구치 아키노리, 新羅四天王寺建立過程再考, 건축역사연구, 28권, 2호, 2019 

  18. 김도경,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평면과 용척 분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공편, 황룡사 복원 기반 연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10 

  19. 金東賢, 皇龍寺址の建築計?に?する?究, 東京大?博士論文, 1993 

  20. 김상태, 新羅時代伽藍의 構成原理와 密敎的相關關係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1. 김영필, 韓國傳統建築의 尺度硏究,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2. 한명희, 사천왕사 금당의 복원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