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 여성의 측면체형 분류에 따른 직접측정치와 3차원 자동측정치간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Direct Measurement and 3-D Automatic Measureme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ide Figure of Elderly Women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1 no.5, 2019년, pp.627 - 639  

정주원 (큐티엠) ,  남윤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박진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3D direct measurements and automated measurements for Korean elderly females according to age groups, side somatotype, and BMI groups. This study compares the measurement differences of the direct and the 3D automated measurements for women be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동측정 프로그램에 대해, 선행연구(Han & Nam, 2009)에서 바르게 선 자세의 마네킨 대상으로 얻은 항목별 측정치 차이(직접측정치와 자동측정치의 차이값)와 본 연구에서의 측정치 차이를 비교하여, 고령 여성의 경우 측정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는지 파악하여 고령 여성에 대한 프로그램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고령 여성의 직접측정치와 자동측정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고령 여성에 대한 자동측정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자세 및 체형 차이에 따른 측정치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자동측정 프로그램의 알고리즘과 관련해 측정치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여, 이에 따라 요구되는 수정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고령 여성의 직접측정치와 자동측정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고령 여성에 대한 자동측정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 여성을 대상으로 기존 자동측정 프로그램이 적합한지 검토하기 위해, 동일한 측정 항목의 직접측정치와 자동측정치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연령, 측면체형, BMI에 따른 측정치 차이의 차이를 파악한 뒤,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을 하여 고령자 대상의 자동측정 프로그램 수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70~85세 고령 여성 465명의 형상자료와 33개의 동일한 인체측정항목에 대한 직접측정치와 자동측정치를 사용 하여, 연령·측면체형·BMI에 따른 측정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결과와 자동측정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통해 측정치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여 자동측정 프로그램의 수정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70~85세 고령 여성 465명의 형상자료와 33개의 동일한 인체측정항목에 대한 직접측정치와 자동측정치를 사용하여, 연령·측면체형·BMI에 따른 측정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결과와 자동측정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통해 측정치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여 자동측정 프로그램의 수정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 여성을 대상으로 기존 자동측정 프로그램이 적합한지 검토하기 위해, 동일한 측정 항목의 직접측정치와 자동측정치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특히 변형이 심한 피험자의 경우(Fig. 1(c)) 현재의 자동측정 프로그램으로는 측정 자체가 불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 여성 체형 변화는 무엇이 있는가? 고령자는 신체적, 생리적, 심리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신체외관 상의 변화와 생리적 기능의 저하는 의복설계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와 관련해서 고령 여성 체형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연구들에 의하면 고령 여성은 신장 및 높이 항목 감소, 유방 하수, 다리 형태의 변형, 허리와 배 부위 비대화와 같은 체형 및 자세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난다(Kim & Seong, 2002; Choi & Nam, 1997; Sohn & Hong, 2005). 이러한 고령 여성 체형의 변형은 연령이 증가할 수록 심해지고, 개인차가 다양해지므로(Kim & Choi, 2009), 고령자를 위한 의복설계 및 인간공학적 제품 설계에 있어서 이러한 특징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고령자를 위한 의복설계를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고령 여성의 체형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2차원적인 측정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3차원 인체 형상자료를 통해 인체의 형태와 곡면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3차원 인체스캐너의 발달로 인체의 3차원 형상을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이 형상을 이용하여 신속한 인체치수의 획득과 응용이 가능한 자동측정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직접측정법과 마찬가지로 ISO 8559:2017(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17), ISO 7250:2017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17)의 정의를 기반으로 측정점에 따른 수평, 수직방향의 사이즈를 산출한다(Han & Nam, 2009).
OECD 자료에서 우리나라 노인 비율을 어떻게 예상하고 있는가? OECD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의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21세기 중반에는 이 비율이 40%를 넘어 OECD 국가 중 일본 다음으로 노인 비율이 높은 국가가 될것으로 예상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1). 이러한 고령화사회를 대비해 노인 복지를 위한 여러가지 사회제도 및 실버 산업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I. S., & Nam, Y. J. (1997).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body type of elderly wome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1), 154-164. 

  2. Han, H. S., & Nam, Y. J. (2009).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3D body scan measurements and physical measurements by gender-5th Size Korea adult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8), 1190-1202. doi:10.5850/JKSCT.2009.33.8.1190 

  3. Han, H. S., & Nam, Y. J. (2011). Automatic body landmark identification for various body fig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1(6), 592-606. doi:10.1016/j.ergon.2011.07.002 

  4. Han, H. S., Nam, Y. J., & Choi, K. M.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3D body scan measurements and manual measure- ments of size Korea adult fem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0(5), 530-540. doi:10.1016/j.ergon.2010. 06.002 

  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2). ISO 20685: 2012 3-D scanning methodologies for internationally compatible anthropometric databas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Retrieved October 10, 2019, from https://www.iso.org/standard/63260.html 

  6.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7). ISO 7250: 2017 Basic human body measurements for technological design - Part 1: Body measurement definitions and landmark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Retrieved October 10, 2019, from https://www.iso.org/standard/65246.html 

  7.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7). ISO 8559-1:2017 Size designation of clothes - Part 1: Anthropometric definitions for body measure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Retrieved October 10, 2019, from https://www.iso.org/standard/61686.html 

  8. Kim, H. S. (2002). Classification of the somatotype of apparel for elderly female farmer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4(5), 480-486. 

  9. Kim, I. M. (2009). Somatotype classification throughout the shoulder and back types of women in their early twen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10. Kim, I. S., & Seong, H. K. (2002). Study on classification of elderly women’s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 27-38. 

  11. Kim, K. H., & Choi, H. S. (1996). A study on somatotype of elderly wom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2), 183-199. 

  12. Kim, S. A., Lee, K. M., & Choi, H. S. (2003). Lower body somatotype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women according to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6), 117-130. 

  13. Kim, S. A., & Choi, H. S. (2009). Body shapes of aged women applying 3D body scan dat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6), 1099-1111. doi:10.29 049/rjcc.2009.17.6.1099 

  14. Kim, Y. S., & Sohn, H. S. (1996).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elderly women's upper body shap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3), 219-232. 

  15.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4). 고령자 3D 인체형상측정조사 개발사업 최종보고서 [Report of a research on 3D human body shape measurement and development for elderly people]. Jincheon: Author. 

  16. Nam, Y. J., & Choi, I. S. (1997). An analysis of the somatotype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4, 19-36. 

  17. Park, S. M., & Nam, Y. J. (2012). The verification of accuracy of 3D body scan data - Focused on the Cyberware WB4 whole body scanner.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1), 81-96. 

  18. Lee, E. J. (2006). A theoretical analysis on somatotyping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4(1), 35-41. 

  19. Lee, E. K. (2001). A study on old-age women's body type and apparel size-specific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 Lee, Y. K., & Lee, J. I. (2008). Classification of lateral body type for elderly women. Journal of Fashion Design, 8(2), 1-22. 

  21. Shim, B. J., Suh, C. Y., & Lee, S. Y. (2007). Lower body analysis for pattern design of elderly men's slack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5), 15-34. 

  22. Sohn, B. H., & Hong, K. H. (2005). Visual effect and 3D clothing air volume in manufactured jacket pattern for the optical illusion of obese women in middle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8), 1114-1124. 

  23. Statistics Korea. (2011). 장래인구추계 2010-2060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2010-2060]. Statistics Korea. Retrieved October 10, 2019,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6/index.board?bmoderead&bSeq&aSeq252623&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24. Yi, K. H., & Choi, H. S. (1994). A study of body form classi- fication on elderly women using body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4), 560-5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