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9 no.1, 2019년, pp.73 - 86  

성태경 (경기대학교 지식정보서비스대학 회계세무.경영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 상용화에 대해 논의하고,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 요인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계 경영진에게 설문을 통하여 이들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11가지 성공 요인은'대화와 소통','경영층 지원','경영에 대한 이해','기술 상용화의 이해','관련자간의 협력','기술 상용화 장려책','공동목표 인식','정부 지원','기술 상용화 경험', '기술의 구체성','수요자 요청 기술'이었다. 404부의 설문지를 제4차 산업혁명 업계에 속하는 기업의 CEO와 CIO에게 발송하였고, 최종 응답률은 64.4%(260부)로서 상당히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응답자들은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관련자간의 협력'을 꼽았고, 뒤이어'경영층 지원','대화와 소통','공동 목표 인식','기술 상용화에 대한 이해'순으로 평가하였다. 기업이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 상용화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성공 요인들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uss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C), identifies success factor (SFs) for TC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ly tests these factors through questionnaires to executiv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Literature review identi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 상용화에 대해 논의하고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 요인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계 경영진에게 설문을 통하여 이들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 상용화에 대해 논의하고, 기술 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 요인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파악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계 경영진에게 설문을 통하여 이들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 이어서 Sung(2017)은 한국의 IT업계를 대상으로 11개 성공요인을 실증적으로 재검증하여, 기술 상용화 성공 요인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11개 기술 상용화 성공 요인을 활용하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해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제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능정보기술과 과학기술의 개발과 발전도 중요하지만 연구기관과 대학 등에서 개발된 기술을 산업계로 이전하고 상용화하여 실제 인간의 생활에 적용되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국부를 창출하여, 국가와 사회의 비약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술의 상용화는 지식정보사회로 지칭되는 21세기의 세계 경제에 있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유지하는 핵심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World Bank, 1997).
제4차 산업혁명은 어떻게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미래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은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 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모바일 등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되어 실세계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여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Li et al, 2017; Swab, 2016).
유럽에서 Industry 4.0은 무엇이고,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가? 0을 오히려 새로운 혁신적 패러다임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용어로 쓰고 있는데, 이는 주로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이라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생산 인구 감소 및 부가 가치 축소 등을 극복하기 위한 제조 혁신으로,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이 융합하여 제조 현장의 스마트 공장화를 통하여 기존과는 차별화된 스마트제조 (Smart Manufacturing)를 추진하고 있다(de man & Stradhagen, 2017; Hofmann & Rusch,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lbrecht, T. and Ropp, V. (1984). Communication about innovation in networks of three U. S. organiza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11(2), 79-91. 

  2. Avery, C. (1989).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technology transfer between an R&D consortium and its shareholders: The case of the MCC,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3. Badaway, M. (1988). Managing human resources, Research of Technology Management, September- October, 19-35. 

  4. Baer, E. et al. (1976) Analysis of federally funded demonstration projects, Executive summary, R-1926, Rand Corp. 

  5. Bopp, G. (1988). Federal lab technology transfer: Issues and policies, Praeger, 

  6. Brown, F. (1983). Principles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7. Chae, S. (2005). Research methodology for social science, 3rd E., B&M Books. 

  8. Conceicao, P., Gibson, D., Heitor, M., and Shariq, S. (1997). Towards a research agenda for knowledge policies and management,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1(2), 129-141. 

  9. Cooper, R. (1986). Winning at new products, Addison-Wesley Pub. 

  10. Creighton, J., Jolly, V. and Buckles, T. (1985). The manager's role in technology transfer, Journal of Technology, 10(1), 65-81. 

  11. De Man, J. C., & Strandhagen, J. O. (2017). An industry 4.0 research agenda for sustainable business models. Procedia CIRP, 63, 721-726. 

  12. Devine, M., James, T., and Adams, I. (1987). Government supported industry research centers: Issues for successful technology transfer,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12(1), 27-38. 

  13. Elmes, M. and Wilemon, D. (1991). A field study of intergroup integration in technology-based organizations," Journal of Engineering Technology Management, 7(3-4), 1991, 229-250. 

  14. Ettlie, J. (1982). The commercialization of federally sponsored technological innovations, Research Policy, 11, 173-192. 

  15. Evan, W. and Olk, P. (1990). "R&D consortia: A new U.S. organizational form, Sloan Management Review, 31(3), 37-46. 

  16. Gibson, D., Kozmetsky, G., and Smilor, R. (1992). The technopolis phenomenon: smart cities, fast systems, and global networks. Rowman & Littlefield. 

  17. Gibson, D. and Rogers, E. (1988). The MCC comes to Texas," in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ed. by Frederick Williams, Sage. 

  18. Gibson, D. and Rogers, E. (1994). R & D collaboration on trial: The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Press. 

  19. Gibson, D. and Smilor, R. (1991). Key variables in technology transfer: A field-study based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8, 287-312. 

  20. Goel, R., Brown, K., and Berry, L. (1991). Guidelines for successfully transferring government-sponsored innovations, Research Policy, 20, 121-143. 

  21. Hofmann, E., & Rusch, M. (2017). Industry 4.0 and the current status as well as future prospects on logistics. Computers in Industry, 89, 23-34. 

  22. Inman, B. (1984). The n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in R. Kuhn (Eds.), Commercializing Defense-Related Technology, Praeger, 149-152. 

  23. Jin, S. K. and Park, Y. W. (2017a). A Exploratory study of institutional readines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Regional Policy, 28(1), 107-135. 

  24. Jin, S. K. and Park, Y. W. (2017b). The study on the institutionalism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adiness of Korean government, GRI Review, 19(3), 467-495. 

  25. Jin, S. K. and Park, Y. W. (2017c). The Study on the Korean future readiness polic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20(3), 31-58. 

  26. Jolly, V. J. (1997). Commercialization new technologie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7. Jung, Eun-Mi, The influ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tevolution on manufacturing industry, Research Report, KIET, 2017. 

  28. Jung, Eun-Mi and others. (2017), The influences and challe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Korean major industries, Research Report, KIET. 

  29. Kidder, T. (1981). The soul of a new machine, Little Brown. 

  30. Kim, J. K. (2017). Trade Brief,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22 

  31. Kim, S. H. (2017).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major concepts and cases. Industrial Economics, KIET, July, 67-80 

  32. Leonard-Barton, D. (1988). Implementation as mutual adaptation of technology & organization, Research Pol., 17, 251-267. 

  33. Lester, D. (1988).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36-44. 

  34. Levinson, N. and Moran, D. (1987). R&D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upling,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34(1), 28-35. 

  35. Li, G., Hou, Y., & Wu, A. (2017).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cal drivers, impacts and coping methods.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27(4), 626-637. 

  36. Little, A. D. (1976). Federal funding of civilian rese arch and development, USGPO. 

  37. McEachron, N. (1978). Management of federal R&D for commercialization, Executive Summary and Final Report, SRI International. 

  38. McMullan, W. and Melnyk, K. (1988). University innovation centers and academic venture formation, R&D Mgt., 18, 5-12. 

  39. Nunally, J. (1978).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40. Peters, T. and Waterman, R. (1982). In search of excellence: Lessons from America's best-run corporations, Harper and Row. 

  41. Pinkston, J. (1989). Technology transfer: issues for consortia," In K. D. Walters (Ed.), Entrepreneurial Management: New Technology and New Market Development, Ballinger, 143-149. 

  42. Rothwell, R. (1992). Successful industrial innovation: critical factors for the 1990s, R&D Management, 22(3), 221-239. 

  43. Sedaitis, J. (1997). Commercializing high technology: East and west, Rowman & Littlefield Pub. 

  44. Smilor, R., Gibson, D., and Kozmetsky, G. (1988a). Creating the technopolis: link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Ballinger. 

  45. Smilor, R., Gibson, D., and Kozmetsky, G. (1988b). Creating the technopolis: high-technology development in Austin, Texa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4, 49-67. 

  46. Smith, D. and Alexander, R. (1988). Fumbling the future: How Xerox invented, the ignored, the first personal computer, William Morrow. 

  47. Sung, T. K. and Gibson, D. (2005). Knowledge and technology transfer grid: empirical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29(3-4), 216-230. 

  48. Sung, T. K. (2009). Technology transfer in the IT industry: A Korean perspective,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6(9), 700-708. 

  49. Sung, T. K. (2017). A study on success factor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IT industry,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7(2), 91-105(성태경(2017). 

  50.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nguin Random House, U.K. 

  51. World Bank (1997). Report. 

  52. Zaltman, G., Dundan, R., and Holbeck, J. (1973). Innovation & organizations,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