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산지형 공원 능선부 식생유형에 따른 공기이온 평가 -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
Evaluation of Air 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idge in Urban Park -Focused on Tangeumdae Park in ChungJu-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5, 2019년, pp.587 - 595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환경시스템전공) ,  이상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환경시스템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심 산지형 공원 내 식생유형별 요인이 공기이온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지점은 능선부 내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 따라 설정하였으며, 기상요소와 공기이온을 측정하였다. 공기이온 측정결과, 양이온 발생량은 평균 $610.90{\pm}50.27ea/cm^3$, 음이온 발생량은 평균 $723.58{\pm}64.25ea/cm^3$, 이온지수$1.19{\pm}0.10$이였다. 식생유형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이온은 수종, 흉고직경, 층위구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온지수와 식생유형과의 관계에서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으며, 양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와 부의 상관관계, 음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셋째, 능선부 내 이온지수의 영향요인은 기상요인과 식생유형을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의 상관계수가 더 높았으며, 세부적으로는 수종 > 층위구조 > 울폐도 > 흉고직경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능선부를 대상으로 공기이온을 평가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향후 공기이온에 대한 연구에서 지형구조, 식생유형을 모두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계절에 따른 변화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 of each vegetation type in an urban, mountainous park (Tangeumdae Park in Chungju) on air ion. The measuring poi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ree species, diameter at breast height, crown density, and layered structure, and the met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지형 공원의 식생구조 및 유형별 공기이온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서, 첫째, 동일한 속성의 피복이 75%에 이르는 곳, 둘째, 식생의 유형이 다양한 곳, 셋째, 지형구조가 유사한 지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상기 세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곳으로 충청북도 충주시 탄금대 공원으로 선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산지형 공원 내 능선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수종에 따른 양이온 발생량과 음이온 발생량을 고려한 이온지수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향후 공원 재조성시 기후적 측면의 건강관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측정지점 선정의경우 공기이온 중 음이온 발생량은 임상과 숲 환경인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Um and Kim, 2010), 식재유형에 따라 차이가있다고 보고하였다(Kim et al, 2015a).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생유형을 파악하여 측정지점의 측정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해 50m x 50m 격자그리드를 형성하여 능선부 지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이온은 무엇인가? 또한 녹지에서 발생하는 건강인자에 대한 연구로 주요 치유인자인 피톤치드와 음이온의 발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피톤치드는 식물이병원균, 해충, 곰팡이에 저항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로 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Kim et al, 2008), 음이온의 경우 공기정화 효과와 인체의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Krueger and Reed, 2006). 공기이온이란, 공기 중의 원자, 분자 등이 전기적 성질에 따라 전자를 잃는 상태로 양의 전기를 띄고 있는 양(+)이온과 전자를 얻는 형태인 음(-)이온으로대전된 상태를 말한다(Chee, 2009; Yamasita and Fenn, 1984, Ham et al, 2011). 대기의 이온화 요인으로는 태양의자외선에 의한 공기분자 파괴, 지중방사성물질의 붕괴, 대기와지표사이의 전위차, 태양의 원적외선, 레나드효과(물파쇠방식), 기온과 기압차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Jin, 2005; Chee, 2009).
도심 산지형 공원 내 식생유형별 요인이, 공기이온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식생유형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이온은 수종, 흉고직경, 층위구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온지수와 식생유형과의 관계에서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으며, 양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와 부의 상관관계, 음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셋째, 능선부 내 이온지수의 영향요인은 기상요인과 식생유형을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의 상관계수가 더 높았으며, 세부적으로는 수종 > 층위구조 > 울폐도 > 흉고직경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능선부를 대상으로 공기이온을 평가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녹지의 효과는 무엇인가? 녹지는 도시경관 향상, 생물종 다양성 증진의 역할을 수행할뿐만 아니라 공업지에서의 대기오염물질저감 및 소음완화, 미기후 조절 등 다양한 공익적 기능성까지 강조되고 있다(Lee, 2005). 특히 녹지의 다양한 효과 중 수목은 광합성을 통하여대기 CO2를 흡수·저장할 뿐만 아니라, SO2, NO2 등의 오염물질을 흡수·흡착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광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은 대기오염물질 저감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Jin, 2005; Lee and Yoo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ee, C.K.(2009) Anionic effect(2nd ed.). Living Books, 183pp. (in Korean) 

  2. Ham, K.J., K.Y. Park, M.S. Kim, J.M. Song, S.S. Lee and Y.S. Ok(2011) Research of Monoterpenes Content in the Atmosphere of Forest. KJSSF 44(6): 1126-1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eon, J.Y.(2016) A Study on Negative Ions Gener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Urban Park: Focus on Wolmyeong Park in Gunsan City. Ph. M. Dissertation, Univ. of Wonkwang,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eon, K.S. and Y.B. Cho(2009) A Study on the Negative Ions Contents in Forests. J. of KIFR 15-17. (in Korean) 

  5. Jin, S.Y.(2005) Anion and well-being(1st ed.). The people of the land, 285pp. (in Korean) 

  6. Jo, Y.B.(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itable Locations Evaluation Model and Therapy Type to Therapeutic Forests. Ph. D. Dissertation, Univ. of Wonkwang,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I.S., D.A. Lee, S.I. Park, H. Ha and S.I. Yang(2014) Distribution of Anions in Valley Area. J. Kor. Soc. Environ. Eng. 36(4): 246-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H., D.K. Oh and Y.H. Yoon(2015a) Comparative Analysis of Negative Air Ion Generation According to Vegetation Type of Green Space in Summer - Targeting to the Yangjae Citizen's Forest in Seochogu, Seoul. Urban Design 16(6): 19-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J.H., D.K. Oh and Y.H. Yoon(2015b) Effect of Green Space Type in Urban Park on Anions Distribution. Urban Design 16(1): 17-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H., D.K. Oh, W.J. Choi and Y.H. Yoon(2017) Air Ion Distribution of Traffic Volume in Urban Area: Wiryeseong main road, in Songpa-gu, Seoul. JKSUE 17(2): 137-1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H., J.H. Yoon, S.H. Lee, W.J. Choi and Y.H. Yoon(2018a) Negative Ion Generation Index according to Altitude in the Autumn of Pine Forest in Gyeongju Namsan. Kor. J. Env. Eco 32(4): 413-4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H., S.H. Lee, W.T. Kim and Y.H. Yoon(2018b) Characteristics Regarding Ion Index by Geomorphic Structure -About Larix kaempferi of Wol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32(5): 486-4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S.K., W.S. Shin, M.K. Kim, P.S. Yeoun, J.H. Park and R.H. Yoo(2008) The effects of negative ions on stress responses and cognitive functions. Jour. Korean For. Soc 97(4): 423-4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rueger, A.P. and E.J. Reed(2006) Biological impact of small air ions. Science. 193(4259): 1209-1213. (in English) 

  15. Lee, J.H. and P.S. Yoon(2003) A Study on Efficiency and Mechanism of Removing Indoor Pollutants used Anion generated by Indoor Plants. J. People Plants Environ 6(4): 8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S.H.(2019) Assessment of Air Ion based on Valley Microclimate: Focused on Mansu Valley in Woraksan National Park. Ph. M. Dissertation, Univ. of Konkuk,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Nam, H.I.(2013) A study on anion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forest type, topography and altitude. Ph. M. Dissertation, Univ. of Sang Ji, Koer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Oh, D.K.(2014) Effect of Negative Air Ions Distribution Impact by Form of Land Cover in Urban Park. Ph. M. Dissertation, Univ. of Konkuk,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Oh, D.K.(2017)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Change and Negative Air Ion Occurrence Quantity Depending on the Type of Green Spaces. Ph. D. Dissertation, Univ. of Konkuk,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B.J., H. Hirano, T. Kagawa and Y. Miyazaki(2006) Physiological Effects of Sinrin-yoku(2). Jour Korean For. Soc. 2006: 554-556. (in Korean) 

  21. Park, Y.K.(2017) A Technique for Eco-friendly School Forest Construction through Evaluation of Generation Amount of Negative Air Ion. Ph. D. Dissertation, Univ. of Konkuk,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08)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Transfer of the Test Method for Air Purification in Horticultural Plants, Res. Korea, 99pp. (in Korean) 

  23. Shin, W.S., P.S. Yeoun, K.H. Kim and J.H. Lee(2012) Amount of a Negative ions by Forest Climates. J. of KIFR 16(4): 125-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Um, T.W. and G.T. Kim(2010) Correlations Between Concentrations of Negative Ions and Forest Type, and Site Factors at National Forests in Yangyang-gun. Kor. J. Env. Eco. 24(5): 539-5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Yamashita, M. and F.B. Fenn(1984) Negative ion production with the electrospray ion source. Physical Chemistry 88(20): 4671-4675. (in English) 

  26. Yoon, Y.H., D.K. Oh and J.H. Kim(2012) An Analysis of Anions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by Biotope Types in Summer for Pleasant Urban Environment. Urban Design 13(1): 5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