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토지피복에 따른 계절별 미세먼지 농도 차이 분석 - 산림과 시가화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Seasonal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Particulate Matter According to Land Cover of Seoul - Focusing on Forest and Urbanized Area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7 no.6, 2018년, pp.635 - 646  

최태영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문호경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강다인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  차재규 (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의 미세먼지 배출과 저감에 관련된 토지피복 유형인 산림과 시가화지역의 영향에 의한 계절별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23개 도시대기 측정소의 2016년 PM10, PM2.5 농도자료를 수집하였고, 측정소 주변 반경 3km 내 시가화지역과 산림 비율을 기준으로 3개 그룹으로 측정소를 구분하여 그룹간의 미세먼지 농도 차이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그룹별 시가화지역과 산림의 중심값은 Group A에서 각각 53.4%, 34.6%, Group B는 61.8%, 16.5%, Group C는 76.3%, 6.7%이었다. 계절별 PM10과 PM2.5의 그룹별 농도는 산림 비율이 높은 Group A의 농도가 모든 계절에서 가장 낮았고, 시가화지역 비율이 높은 Group C의 농도는 봄부터 가을까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그룹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Group C 농도는 겨울철에만 Group B보다 낮아졌는데, 겨울철 Group B-C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계절별 고농도 그룹의 농도 대비 Group A의 농도는 PM10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 각각 8.5%, 11.2%, 8.0%, 6.8%, PM2.5에서 3.5%, 10.0%, 4.1%, 3.3% 낮은 수치이었다. PM10과 PM2.5 모두 그룹간 농도 격차가 여름에 가장 크고, 겨울로 가면서 작아졌는데, 이는 산림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이 여름에 크고, 겨울에 작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림과 비교해 시가화지역이 미세먼지 농도에 끼치는 영향은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도시의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 녹지의 기능을 규명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particulate matter influenced by land cover types associated with particulate matter emission and reductions, namely forest and urbanized regions. PM10 and PM2.5 was measured with quantitative concentration i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세먼지는 다양한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는데, 본 연구는 도시 미세먼지 농도가 주변 토지피복의 미세먼지 배출 및 저감 영향에 따라 달라졌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계절에 따른 토지피복의 미세먼지 영향 차이가 계절별 산림 수목의 생장과 관련이 있고, 시가 화지역보다 산림이 미세먼지 농도에 끼치는 영향이더 컸음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에서 미세먼지의 배출과 저감에 기여하는 토지피복 유형인 시가화지역과 산림 유형의 영향에 따른 계절별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대기오염 측정소 주변 두 피복유형의 비율을 기준으로 측정소를 그룹화하고, 그룹간의 미세먼지 농도 차이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또한 본 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기상요인, 세부적인 공간 특성, 산림식생특성이나 산림 외 조성녹지의 분포 등다양한 환경요인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환경요인의 시기적, 지역적 작용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영향을 끼치는 도시 내 공간적 요인인 토지피복의 계절적 작용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수행되었다. 향후 환경 요인들의 상세한 시공간적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들이 지속된다면 녹지를 활용한 효과적인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미세먼지 농도는 서울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측정소 전체적으로 유사한 증감 패턴을 나타내지만 일별로 증감의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높은 표준편차는 후자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별 농도 변화에 의한 높은 편차를 해소하기 위해 23개 측정소 농도를 일별 표준화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다양한 환경변수 중 도시 내 공간적 요인의 영향을 파악하는 기초연구로서 실시하였다. 도시 내에서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적 요인인 토지피복에 초점을 맞춰 대기오염 측정망 주변에서 미세먼지의 배출과 저감에 기여하는 토지피복 유형의 비율 차이에 의해 달라지는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 도시 내에서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적 요인인 토지피복에 초점을 맞춰 대기오염 측정망 주변에서 미세먼지의 배출과 저감에 기여하는 토지피복 유형의 비율 차이에 의해 달라지는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에 작용하는 토지피복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발표되는 미세먼지 대책은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현재 국내에서 발표되는 미세먼지 대책은 대부분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배출원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MOE 2013).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원인에 대한 관리는 사전예방적 대처로서 중요하지만 대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는 별도의 저감 대책이 필요하며, 부유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해 중요한 것이 녹지이다.
국내 미세먼지 농도는 어떤 추세인가요? 국내 미세먼지 농도는 1995년 환경부 대기오염 측정망에 의해 PM10 측정이 시작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지만(NIER 2017a), 최근까지 여러 연구들을 통해 미세먼지가 인체에 끼치는 위해성이 부각되면서(Dockery et al. 1993; Schwartz J et al.
도시에서 미세먼지는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도시에서 미세먼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다. 미세먼지 농도는 기상요인의 영향을 받아 강수와 풍속에 음의상관을 보이고 계절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다(Chae 2009; Park 2017). 계절 별 대기 혼합고 차이, 기온역전층 발생에 의한 대기 오염 물질의 정체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는 달라진다 (Park et al. 2002; Lee et al. 2007). 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따른 도시 외부 유입 미세먼지의 영향 (Hatakeyam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