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s Using Visual Feedback on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31 no.5, 2019년, pp.279 - 285  

Kim, So He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gu Dalgubeol General Welfare Center) ,  Kim, Tae H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  Hwang, Hyun Chu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Daegu Hospital)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s using visual feedback o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of the sitting postur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The subjects were 18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ged 8-15 years in the I-III stages of the Gro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척추 안정화 운동에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실험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된 척추 안정화 운동에 시각되먹임을 이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에게 더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한다.

가설 설정

  • 이것은 신체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몸통의 조절 능력이 좋아지면 넓고 다양한 범위로의 움직임이 가능해지고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18 앉은 자세에서 안정성 한계의 이동면적범위의 증가로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서 동적 몸통 균형 능력이 증가된 것이다. 두 집단 간의 중재 전과 후의 차이에서는 체중을 이동하여 움직이는 동적 균형 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군에서 모든 방향으로 체중 이동움직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므로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척추 안정화 운동이 동적 균형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 아동의 머리 조절과 몸통의 안정성은 치료를 통해 개선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의 기회를 가지게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이가 성장할 때 시각은 빠르게 작용하여, 머리와 몸통을 정상적인 자세로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3,4 뇌성마비 아동은 머리의 조절과 몸통의 안정성이 떨어져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거나 균형을 잡기가 어렵기 때문에,5 뇌성마비 아동의 머리 조절과 몸통의 안정성은 치료를 통해 개선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의 기회를 가지게 해야 한다.6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발달 중인 태아 혹은 출생 후 2년 이내 발생한 영아기의 미성숙한 뇌에 비진행적 손상에 의해 운동 및 자세 발달에 영구적인 손상으로 활동의 제한을 갖는 질환이다.1 정상 발달 과정 중 생후 6개월경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턱을 당기고 머리를 드는 것은 머리를 조절하는 항중력 굴곡근(antigravity flexor muscle)이 발달하는 것이다.
뇌성 마비 아동의 기능적인 움직임의 향상을 위해서 먼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 몸통의 안정성인 이유는 무엇인가? 대동작기능 중 몸통의 근육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동안에 신체의 정렬을 유지하고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신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고 사지를 움직이거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지대이다. 20 정상 발달과정을 가지지 못한 뇌성마비 아동은 몸통 근육의 약화로 몸통의 안정성을 상실하게 된다. 21 따라서 뇌성 마비 아동의 기능적인 움직임의 향상을 위해서 먼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몸통의 안정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osenbaum P, Paneth N, Leviton A et al.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6. Dev Med Child Neurol Suppl. 2007;109:8-14. 

  2. Bly L. Abnormal motor development. In: Slaton DS, eds, Proceednfants and Children. Philadelphia, JB Lippincott, 1983ings: Development of movement infac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Division of Physical Therapy, 1980:124-35. 

  3. Pearson PH, Williams CE. Physical therapy services in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llinois.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72:134-92. 

  4. Moon JK. The Effects of utilizing visual feedback on neck movement on trunk muscles activation, balance and gross motor function in the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2. 

  5. Bobath K. A neurophysi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2th ed.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 Yoon JY. The effects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peutic ball on the gross functional movement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type.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3. 

  7. Saavedra S, Woollacot M, Van Donkelaar P. Head stability during quiet sitt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ffect of vision and trunk support. Exp Brain Res. 2010;201(1):13-23. 

  8. Patla AE. Understanding the roles of vision in the control of human locomotion. Gait Posture. 1997;5(1):54-69. 

  9. Keshner EA, Woollacott MH, Debu B. Neck, trunk and limb muscle responses during postural perturbations in humans. Exp Brain Res. 1988;71(3):455-66. 

  10. Maffey-Ward L, Jull G, Wellington L. Toward a clinical test of lumbar spine kinesthesia.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6;24(6):354-8. 

  11. Hamman RG, Mekjavic I, Mallinson AI et al. Training effects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38-44. 

  12. Kim YH, Park KS, Cheon MH et al. The effect of symmetrical standing posture in cerebral palsied children after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training. Phys Ther Korea. 1994;1(1):17-24. 

  13. Yoon SC.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aining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balance ability and spasticity for stroke patients. Namseoul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5. 

  14. Kim JH. Effects of functional trunk strengthe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2. 

  15. Seo HJ, Lee MJ, Oh TY. The effects of neck strengthening exercise on postural control in sitting position during reaching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J Korean Soc Neur Ther. 2012;16(16):17-24. 

  16. Shim HB. The effect of lower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muscle activity,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hemiplegia. Gacho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2. 

  17. Weis R.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66 and GMFM-88) User's Manual: Dianne J. Russell, Peter L. Rosenbaum, Mary Lane, Lisa M Avery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Mac Keith Press, Cambridge, UK, 2002, European Journal of Paediatric Neurology. 2004;2(8):111-2. 

  18. Shin JW. The effect of neck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motor skills and balance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6. 

  19. Ryu HJ. Effects of core exercise and neck stabilizing exercise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ue to premature birth.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5. 

  20. Tecklin JS. Pediatric physical therapy. 4th ed. Philadelphia, LWW, 2008:17-61. 

  21. Lee EJ, Kim JS. The changes of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by trun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Single group repeated measure study. J Korean Soc Phys Med. 2011;6(2):189-97. 

  22. Jack D, Boian R, Merians AS et al. Virtual reality-enhanced stroke rehabilitation.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Eng. 2001;9(3):308-18. 

  23. Lee HK, Scudds RJ. Comparison of balance in older people with and without visual impairment. Age and Ageing. 2003;32(6):643-9. 

  24. Lim AJ. The effect of eye movement program on postural control and visual perceptional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Inj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1. 

  25. Bear MF, Connors BW, Paradiso MA. Neuroscience (Vol. 2). 3th ed. Philadelphia, LWW, 2007. 

  26. Han DW, Kong NH. The effects of the postural movement normalization and eye movement program on the oculomotor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Korea. 2007;14(3):32-40. 

  27. Jo YJ. The effects of head contro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s on standing bal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a. Yongin University, Unpublished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1. 

  28. Lee JY. The effects of eye movement exercises on balance ability and gross motor function for the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2. 

  29. Laufer Y. The effect of walking aids on balance and weight-bearing patterns of patients with hemiparesis in various stance positions. Phys Ther. 2003;83(2):112. 

  30. Cheng PT, Wang CM, Chung CY et al. Effects of visual feedback rhythmic weight-shift training on hemiplegic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2004;18(7):747-5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