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Static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Back Pa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31 no.5, 2019년, pp.328 - 332  

Oh, Seung Ke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Nambu University) ,  Kim, Yong Nam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Nambu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n the static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back pain. Methods: The subjects comprised of 30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and without tDCS. The balance posture 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경두개 직류자극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하여 잘 알려져 있지만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허리 통증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경두개 직류자극을 적용 후 정규화된 자세균형 측정시스템인 space balance 3D를 이용하여 균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두개 직류자극을 적용 후 균형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만성 허리 통증이 있는 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허리 통증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경두개 직류전류 적용이 정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균형 측정 장비로 이용된 자세균형 측정시스템은 다양한 운동과 정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부상에 있어 안전하며 몸통 안정화 운동을 시행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운동장치이며26 균형 평가도구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장비이다.
  • 이러한 효과들로 인해 CZ 부위에 경두개 직류자극이 허리 통증을 가지고 있는 자의 정적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설계하였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의 결과는 본 연구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극성 경두개 직류자극은 어떤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가? 11 경두개 직류자극은 약한 직류(1-2 mA)를 5분에서 20분 동안 적용하여 대뇌피질 흥분성에 영향을 주는 방법으로12 운동영역과 감각영역, 인지영역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롭게 제안되고 있다.11 운동피질 흥분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양극성 경두개 직류자극은 신경의 탈분극을 유발하는 반면 음극성 경두개 직류자극은 과분극을 발생시켜 흥분성 억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13 경두개 직류자극은 안전하며 다른 비침습적인 뇌 자극 장비에 비해 경제적이라서 연구 또는 임상적 중재를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고14 적용 질환의 폭도 넓다.
경두개 직류자극은 무엇인가? 최근 만성 질환의 운동 중재로 단점들을 개선하여 쉽게 적용 가능하고 효과가 좋은 중재 방법으로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보고되고 있다.11 경두개 직류자극은 약한 직류(1-2 mA)를 5분에서 20분 동안 적용하여 대뇌피질 흥분성에 영향을 주는 방법으로12 운동영역과 감각영역, 인지영역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롭게 제안되고 있다.11 운동피질 흥분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양극성 경두개 직류자극은 신경의 탈분극을 유발하는 반면 음극성 경두개 직류자극은 과분극을 발생시켜 흥분성 억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중재 등 여러가지 허리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의 문제점 또는 단점은 무엇인가? 9 허리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중재 등이 제안되어 왔다.10 그러나 정확한 진단과 기준이 없어 치료에 있어 어려움이 있고 중재 기간 역시 오래 걸리는단점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uchbinder R, van Tulder M, Oberg B et al. Low back pain: A call for action. The Lancet. 2018;391(10137):2384-8. 

  2. Hurwitz EL, Randhawa K, Yu H et al. The global spine care initiative: A summary of the global burden of low back and neck pain studies. Eur Spine J. 2018;27(6):796-801. 

  3. Dunn KM, Hestbaek L, Cassidy JD. Low back pain across the life course. Best Pract Clin Rheumatoi. 2013;27(5):591-600. 

  4. Imamura M, Imamura ST, Targino RA et al. Paraspinous lidocaine injection for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 Pain. 2016;17(5):569-76. 

  5. Chung SG. Rehabilitative treatments of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7;50(6):494-506. 

  6. Jacobs JV, Lyman CA, Hitt JR et al. Task-related and person-related variables influence the effect of low back pain on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Hum Mov Sci. 2017;54:210-9. 

  7. Tsao H, Galea M, Hodges P. Reorganization of the motor cortex is associated with postural control deficits in recurrent low back pain. Brain. 2008;131(8):2161-71. 

  8. Jacobs JV, Lomond KV, Hitt JR et al. Effects of low back pain and of stabilization or movement-system-impairment treatments on induced postural responses: A planned secondary analysis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Man Ther. 2016;21:210-9. 

  9. Kim J, Lee C, Suk K. Prevalence of neuropathic pain and patient-reported outcomes in korean adul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ean Soc Spine Surg. 2016;23(23):S8-10. 

  10. Chou R, Cote P, Randhawa K et al. The global spine care initiative: Applying evidence-based guidelines on the non-invasive management of back and neck pain to low-and middle-income communities. Eur Spine J. 2018;27(6):851-60. 

  11. Nitsche MA, Paulus W.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update 2011. Restor Neurol Neurosci. 2011;29(6):463-92. 

  12. Utz KS, Dimova V, Oppenlander K et al. Electrified mind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and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gvs) as methods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in neuropsychology-a review of current data and future implications. Neuropsychologia. 2010;48(10):2789-810. 

  13. Kropotov JD. Functional neuromarkers for psychiatry: Application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Cambridge, Academic Press, 2016. 

  14. Schlaug G, Renga V.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 noninvasive tool to facilitate stroke recovery. Expert Rev Med Devices. 2008; 5(6):759-68. 

  15. Lefaucheur JP, Antal A, Ayache SS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s on the therapeutic use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Clin Neurophysiol. 2017;128(1):56-92. 

  16. Kwon YH, Cho JS.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visuomotor coordination task in healthy subjects. J Kor phys Ther. 2014;26(6):386-90. 

  17. Kim JY, Park SD, Song HS et al.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cognitive function and biochemical change of rats with alzheimers desease. J Kor phys Ther. 2014;26(6):436-41. 

  18. Workman C, Kamholz J, Rudroff T.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for the treatment of a multiple sclerosis symptom cluster. Brain Stimul. 2019; Available online 25. 

  19. Ahmadizadeh MJ, Rezaei M, Fitzgerald PB.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 randomized, double-blinded, controlled trial. Brain Res Bull. 2019. 

  20. Yang DJ, Park SK, Uhm YH. Influence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lower limb muscle activation and balance ability in soccer player. J Kor Phys Ther. 2018;30(6):211-7. 

  21. Kwon YH, Cho JS.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ovement variability in repetitive-simple tapping task. J Kor Phys Ther. 2015;27(1):38-42. 

  22. Cogiamanian F, Marceglia S, Ardolino G et al. Improved isometric force endurance afte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human motor cortical areas. Eur J Neurosci. 2007;26(1):242-9. 

  23. Nitsche MA, Cohen LG, Wassermann EM et 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State of the art 2008. Brain Stimul. 2008;1(3):206-23. 

  24. Jeffery DT, Norton JA, Roy FD et 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excitability of the leg motor cortex. Exp Brain Res. 2007;182(2):281-7. 

  25. Choi JM, Lee JH, Ha HG et al.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balance evaluation using space balance 3d and tinetti mobility tes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8):264-73. 

  26. Yu JY, Park JC, Jeong JG. Influence of multi-directional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on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s. J Kor Phys Ther. 2016;28(4):249-53. 

  27. Park WS. The effect of sensory motor training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o improvement of balance ability for soccer player. Dong 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8. 

  28. Lattari E, Costa SS, Campos C et al. Ca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improves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in Parkinson's disease? Neurosci Lett. 2017;636:165-9. 

  29. Kaminski E, Steele CJ, Hoff M et 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ver primary motor cortex leg area promotes dynamic balance task performance. Clin Neurophysiol. 2016;127(6):2455-62. 

  30. Butts RJ, Kolar MB, Newman-Norlund RD. Enhanced motor skill acquisition in the non-dominant upper extremity using intermittent theta burst stimulation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Front Hum Neurosci. 2014;8:451. 

  31. Boggio PS, Bermpohl F, Vergara AO et al. Go-no-go task performance improvement after anodal transcranial dc stimulation of the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in major depression. J Affec Disord. 2007;101(1-3):91-8. 

  32. Antal A, Nitsche MA, Kruse W et 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v5 enhances visuomotor coordination by improving motion perception in humans. J Cogn Neurosci. 2004;16(4):521-7. 

  33. Kim HJ.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olarity on brain activity, balance and gait in hemiplegic patient. Seonam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4. 

  34. Madhavan S, Rogers LM, Stinear JW. A paradox:afterstroke,the non-lesioned lowerlimb motorcortex may bemaladaptive. Eur J Neurosci. 2010;32(6):1032-9. 

  35. Nitsche MA, Paulus W. Sustained excitability elevations induced by transcranial dc motor cortex stimulation in humans. Neurology. 2001; 57(10):1899-9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