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컬러 트렌드에 관한 연구 -2007 S/S~2016 F/W 시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Trends in Men's Wear Collections -Focusing on 2007 S/S to 2016 F/W Season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3 no.5, 2019년, pp.666 - 681  

강은미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이신영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서추연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color trends per season and differences in color utilization between seasons with a focus on hue and tone, based on men's collections. Collected colors classified as hue and tone were subject to frequency and cross analyses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 The study results as f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1. 2007 S/S부터 2016 F/W까지 총 10년간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컬러의 Hue와 Tone 경향을 살펴본다.
  • 본 연구는 해외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시즌별 컬러 경향 및 시즌 간 컬러 활용 차이를 Hue와 Tone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연구는 남성복 컬렉션 10년간의 컬러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남성복 기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남성복 디자인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기여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시즌별 컬러 경향 및 시즌 간 컬러 활용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남성복 기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남성복 디자인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시즌별 컬러 경향 및 시즌 간 컬러 활용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남성복 기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남성복 디자인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에서 컬러의 특징은? 패션은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통해 관찰자로 하여금 대상의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며, 지배적 요소를 중심으로 디자인 인지 과정이 이뤄진다. 특히 컬러(Color)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제일 먼저, 그리고 가장 강하게 반응하는 디자인 요소이며, 사람의 감정이나 심리적 반응을 일으켜 착용자의 인상을 형성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Kim et al., 2008).
패션이 다양한 시작적 요소를 통해 이루는 것은? 패션은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통해 관찰자로 하여금 대상의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며, 지배적 요소를 중심으로 디자인 인지 과정이 이뤄진다. 특히 컬러(Color)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제일 먼저, 그리고 가장 강하게 반응하는 디자인 요소이며, 사람의 감정이나 심리적 반응을 일으켜 착용자의 인상을 형성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Kim et al.
컬러가 패션에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고하고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이유는? , 2008). 그러나 그 중요성에 비해 관련 연구는 활발하지 못한 경향으로, 그 이유는 같은 색이라도 관찰자, 혹은 빛을 포함한 환경, 분석 대상의 인쇄 상태, 디지털 자료인 경우 해상도, RGB 셋팅 등에 의해 다르게 인지됨으로써 색채 정보에 대한 분류 및 분석에의 객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S. K., & Jeong, S. J. (2011).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male fashion based on the necktie variables and color by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1), 609-618. 

  2. Choi, S.-K., & Jeong, S.-J. (2012a).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in menswear color coordination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 - Focusing on the achromatic and chromatic colorati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6(3), 67-77. doi:10.17289/jkscs.26.3.201208.67 

  3. Choi, S. K., & Jeong, S. J. (2012b).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the harmony sensitivity of coloration in menswear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Focused on tone on tone col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2), 503-511. 

  4. Choo, S. H. (2003). A study of the basic colors in men's fashion - '00FW-'02SS seasons in domestic men's fashion mark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7(1), 69-78. 

  5. Jeong, S.-J., & Choi, S.-K. (2011) The analysis of men's wear color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women -Focusing on tone in tone colorat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4), 69-77. 

  6. Kim, E.-Y. (2019, May 12). BTS처럼 입어볼까? '핑크' 입는 남자들 [Would you like to try a BTS? Men wearing 'Pink'].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12/2019051200257.html 

  7. Kim, H.-S., Kim, K.-H., & Mun, Y.-K. (2008).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톤에 따른 코디네이션의 유형 및 특성분석: 2008 - 2009 S/S 남성복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ordination according to color tone in collection: 2008-2009 focusing on S/S men's wear]. Proceedings of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Fall Conference, Korea, 83-85. 

  8. Kim, Y., Cho, J.-y., & Choo, S. (2004).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in the segmental market of domestic men's wear bran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8(1), 33-43. 

  9. Korea Color Design Institute. (2010). KS표준색 C&D 155a [KS Standard color, C&D 155a]. C&D Mall. Retrieved from http://cndmall.com 

  10. PANTONE. (n.d.-a). PANTONE CAPSURETM. PANTONE. Retrieved from http://www.pantone.kr/product/detail.html?product_no67&cate_no87&display_group1 

  11. PANTONE. (n.d.-b). PANTONE FASHION, HOME + INTERIORS Color Guide. PANTONE. Retrieved from http://www.pantone.kr/product/detail.html?product_no155&cate_no49&display_group1&page_45#use_review 

  12. Park, s., Yang, s., & Bang, m. (2013). A study on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of men's wear in Korea - Focusing on 11 S/S -12 F/W Seoul Colle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7(1), 23-35. doi:10.17289/jkscs.27.1.201302.23 

  13. Park, Y.-R., & Kim, E.-r. (2006). Color scheme of pattern design for men's shirts - French style for me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Design Studies, 2(2), 55-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