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솔린 풀 화재에서 인체 호흡량 변화를 고려한 연소가스 농도 측정 결과 분석
Analysis on the Results of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Combustion Gases Considering Respiration Characteristics in Gasoline Pool Fir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4, 2019년, pp.83 - 88  

최승일 (동양대학교 건축소방안전학과) ,  강정기 (대검찰청 화재수사팀) ,  유우준 (동양대학교 건축소방안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솔린 풀화재 시 호흡량과 호흡주기 변화에 따라서 인체에 흡입되는 연소가스 농도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ISO 9705 룸코너 시험기의 1/4 크기인 구획공간을 제작하였으며, 호흡유량 (2, 6, 10) LPM 에 대해서 연소가스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는 경우(Infinity)와 호흡주기가 2 s와 5 s인 각각의 경우 일산화탄소와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구획 공간에서 가솔린 풀화재의 이론 발열량이 5.34 kW인 연소조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경우 모두 호흡주기에 비해서 호흡량이 증가함에 따른 농도 편차가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흡 주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산소 농도의 경우 최소값의 변화가 평균값에 비해서 더욱 크게 나타난 반면 일산화탄소 농도의 경우 평균값의 변화가 최대값에 비해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재 시 피난자의 호흡 특성에 따라서 실제 흡입되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고려하여야 보다 정확한 피난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ntration of combustion gases while considering low ventilation and respiration frequency. A one-quarter-size ISO 9705 room corner test was performed. The concentrations of carbon monoxide and oxygen were measured in each case with the continuous inhalation of combus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화재사고 시 유해 가스 흡입에 의해서 피난자가 사망한 시간이 방화와 실화를 판단하는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사건의 경우 실시간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농도에 따라서 피난 활동이 달라지기 때문에 인체 호흡량 변화와 유해가스 흡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기초 실험 자료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호흡 상태를 고려하여 호흡량과 호흡 주기 변화에 따른 일산화탄소와 산소농도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화재 시 환기량은 주위로부터 흡입되는 기체와 인체의 에너지 대사 과정 및 혈액으로부터의 세포호흡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받게 된다(14). 즉, 화재시 피난자의 분당 환기량에 영향을 주는 외호흡과 내호흡의 상관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호흡 특성에 따라서 인체에 흡입되는 연소 생성물의 실제 농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기초 연구로 구획 공간에서 가솔린이 연소하는 동안 발생되는 연소가스에 대해서 호흡량과 호흡 주기 변화에 따른 농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 H. Sung, K. C. Ro and H. S. Ryou, "Numerical Analysis on the Flow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Inspiratory Flow Rate in a Human Airway", Korean Society For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pp. 148-154 (2012). 

  2. R. D. Treitman, W. A. Burgess and A. Gold, "Air Contaminants Encountered by Firefighters",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41.11 (1980). 

  3. R. G. Gann, J. D. Averill, K. M. Butler, W. W. Jones, G. W. Mulholland, J. L. Neviaser, T. J. Ohlemiller, R. D. Peacock, P. A. Reneke and J. R. Hall, "International Study on the Sublethal Effects of Fire Smoke on Survivability and Health: Phase I Final Report", NIST Technical Note, 1439 (2001). 

  4. E. A. Mason and B. Kronstadt, "Graham's Laws of Diffusion and Effus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Vol. 44, No. 12, p. 740 (1967). 

  5. E. A. Mason and R. B. Evans III, "Graham's Laws: Simple Demonstrations of Gases in Motion: Part I, Theo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Vol. 46, No. 6, p. 358 (1969). 

  6. K. H. Sung, Y. S. Gong and S. G. Kim, "Gas Mask Removal Efficiency of CO, HCl, HCN, and SO 2 Gas Produced by Fir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57-60 (2015). 

  7. S. S. Kim, N. W. Cho and D. H. Rie, "A Research for Assessment Fire Toxic Gas of Construction Material Using FT-IR and FE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27-31 (2011). 

  8. J. U. Sim and N. W. Cho, "Study on the Effect of Toxic Gas Filter Effect of Wet Towel during Fir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52-56 (2018). 

  9. K. T. Kim, "Influence of Hot Environment on Human Ventilatory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to Isocapnic Hypoxia at 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pp. 800-805 (2010). 

  10. D. A. Shelley, B. L. Sih and L. J. Ng, "An Integrated Physiology Model to Study Regional Lung Damage Effects and the Physiologic Response", Theoretical Biology and Medical Modelling, Vol. 11, No. 1, p. 32 (2014). 

  11. Y. Tang, M. J. Turner and A. B. Baker, "Effects of Alveolar Dead-space, Shunt and V/Q Distribution on Respiratory Dead-space Measurements",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95, No. 4, pp. 538-548 (2005). 

  12. K. S. Shin and H. D. Ha, "The Effects of an Hand, Leg and Back Load V E Capacity", Journal of Liveral Arts and Sciences Korea Maritime University, Vol. 5 (1997). 

  13. K. J. Lee, "Cardiopulmonary Survival for First Aid", ROYAL AMC Animal Medical Center, pp. 12-17 (2006). 

  14. S. R. Lee, J. Y. Jeong, C. I. Kim and H. S. Ryou, "An Experimental Study of Smoke Movement in Tunnel Fires According to Ventilation Method",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pp. 691-699 (20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